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촬영 공정연구 - QTAKE와 N캠촬영을 중심으로 -

        박관익(Park Kwan-Ik),차승재(Tcha Seung-Jai)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21 영상기술연구 Vol.- No.36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future film industry will develop due to the COVID-19, and the study of real-time video sharing and real-time composition, which is almost in its infancy. Due to the disease called the COVID-19, as most people have more diverse knowledge and encounters in cyberspace than encounters with each other, the neologism of “on-tact” will be more developed and created. It’s only natural for us to move towards a future that comes from better technology and science fiction movies. In the future, a disease worse than Corona will occur again, and humanity will do its best to overcome it and culture will develop. Another culture will emerge from this effort and we will absorb it very quickly. New on-set innovation in non-face-to-face shooting QTake & Ovid Smart, Virtual Studio and N-Cam shooting completely transform the shooting scene. We’ll live in an era where we’ll be seeing the set in the office and checking the cuts in the bedroom. This phenomenon came to us quickly simply because of the COVID-19 pandemic, but it is a predicted future. In the future, the video industry will complete the film without staff meeting each other, and viewers will be able to see it directly through IPTV or OTT. You will forget all the forms and methods of the past. Those who do not absorb will of course be slaughtered and disappear,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future.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ed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QTAKE and N -cam shooting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of the video industry in a situation where academic considerations for non-face-to-face shooting were insignificant due to the COVID-19. Epidemic. Since the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prior study on QTAKE and N-cam shooting, and it is judged to be valuable as basic data for future technology discussions and industry directions. The effect must be analyzed analytically.

      • KCI등재후보

        실용음악 지망생-프로 뮤지션 간의 내적-외적 직업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상호 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박관익(Park, Kwan Ik) 한국대중음악학회 2018 대중음악 Vol.- No.21

        본 연구는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실용음악’에서 음악 산업계의 주체인 실용음악 지망생과 프로 뮤지션 간의 직업 만족도 차이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이를 위해 직업 만족도라는 개념을 상호지향성 모델(co-orientation model)에 적용하여 실용음악 주체들 간의 직업 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하는지 논의하고자 하였다. 직업 만족이란 직업 활동에서 오는 단순한 감정적 상태일 뿐만 아니라 직업 활동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의 인과관계 일치 혹은 불일치에 따른 결과물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호지향성 모델은 서로 다른 두 집단이 동일한 하나의 대상을 지향할 때 지향하는 대상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는 사회과학 모델이다. 이러한 연구 방법 론을 통해 실용음악 생산주체인 프로 뮤지션 100명과 실용음악 지망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바탕으로 독립표본 t검정,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해 각 대상 간의 직업 만족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두 집단 간의 내적 만족도에 대한 편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데 비해 외적 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두 집단이 ‘뮤지션’이라는 직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관점을 비교해 보면, 두 집단 모두 동일한 음악적 소양을 갖고 동일한 목표를 지향하고 있는 데 반해, 실용음악 지망생은 실제 프로 뮤지션이 느끼는 직업적 환경과 뮤지 션이 받는 처우에 대한 인식이 충분치 않은 것에서 비롯되는 차이라고 볼 수있다. 게다가 이러한 인식의 차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충분한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직업 시장에 뛰어들게 되는 일반적인 현실도 뮤지션의 직업 만족 도를 떨어뜨리는 중요한 이유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뮤지션의 외적 처우에 관련된 문제는 음악인 또는 음악시장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우리 사회 전반의 인식과 뮤지션을 바라보는 관점에 상당 부분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결 방안을 찾아가야 할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실용음악 지망생과 프로 뮤지션 간의 직업 만족도의 차이를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정의하고, 그 격차를 줄이거나 해소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찾는 노력은 음악인 스스로 선결 가능한 영역에 속한다 할 수 있으 므로 우선하여 고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망생과 프로 뮤지션 간의 인식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구체화하여 좀 더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해결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업계의 현실과 그에 대한 개인적 인식의 차이를 줄여 뮤지션 지망생 스스로가 업계 환경에 대한 현실적 이해를 바탕으로 충분한 준비를 갖출 수 있게 하고, 업계 진출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외적 충격을 완화하여 직업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 고자 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음악 산업의 양적, 질적 측면을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This study is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an applied music applicants and a professional musician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music industrial world in “Applied Music.” To this end, this study is intending to discuss which factors caused the perception gap of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subjects of applied music by applying the concept of job satisfaction to co-orientation model. Job satisfaction can be defined as output consequent on not only a simple emotional state caused by job activities but also causal relationship agreement, or disagreement in all elements related to job activities. The co-orientation model is a social science model which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an aimed object when two different group aim for one and the same object. Through such a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0 professional musicians and another 100 applied music applicants who are the subjects of applied music. On the basis of the survey, this study looked into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job satisfaction between individual objects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atch-ing sample t-tes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ntrinsic satisfaction deviation between the two groups hardly ever appeared, whereas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extrinsic satisfaction occurred significantly. This perception gap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standpoint of a job as a ‘musician’; in other words, both two groups have musical knowledge, and move toward the same goal, whereas the applied music applicants have inadequate perception of the vocational environment felt by an actual professional musician and the treatment received by a musician; therefore, the perception gap between the two groups can be considered as being derived from an aspirant’s inadequate perception of the above two matters. Moreover, it can be said that even the general reality where an applied music applicants plunges into the job market in an insufficient state of accurate understanding of, and inadequate preparation for such a difference in perception works as a main reason for lowering a musician’s job satisfaction. However, it might be safe to say that the problem related to external treatment of a musician is the one, whose solution has to be found in a long-term point of view rather than a problem of a musician, or the music market itself because it has a considerable association with the general perception of a musician in society, and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a musician. In relation to this, it might be desirable for a musician to preferentially give deep thought to this problem because defining various determinants in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an applied music applicants and a professional musician, and endeavoring after the substantial plan, which can reduce, or resolve the disparity naturally belong to the area where a musician him/herself can make a prior decision. This paper was intending to arrange a momentum for inquiring into a more objective, quantified solution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ac-tualizing the reasons for the perception gap between an applied music applicants and a professional musician. Through this, this study, from various perspectives, tried to help build their adaptability to the job by getting aspirants for a musician to get fully prepared for a job by themselves on the basis of realistic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music world environment by decrea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of business circles, and personal perception of it, and by alleviating an external shock that could happen in time of the entry into the related business circles. This study is convinced that the above process will be resultantly a driving force which makes the qualitative, quantitative aspects of the music industry in Korea grow.

      • KCI등재

        PC게임 장르에 따른 게임 테마음악의 위치화 연구 : 음악종류, 음악의 구조적 요소, 이미지를 중심으로

        박관익(Kwan-Ik Park),황경호(Kyung-Ho Hwang),이형석(Hyung-Seok Lee) 한국게임학회 2020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PC게임을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인 음악의 기능적 역할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PC 게임의 장르별 테마음악을 분석 유목을 통해 구분한 후 다중 대응일치분석을 사용하여 ‘음악종류’, ‘음악의 구조적 요소’, ‘이미지’ 간의 거리를 시각적으로 위치화하여 변인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게임 장르별 음악의 종류와, 음악의 구조적 요소, 이미지의 특성별 공간의 위치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unctional role of music, which is one of the main elements that make up PC games. To this end, theme music by genre of PC game was divided through analysis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by visually positioning the distance between ‘music type’, ‘structural element of music’ and ‘image’ using multiple correspondence matching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location between the types of music by game genre, the structural elements of music,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 KCI등재

        별점 평가 중심 대중음악 평론 방식 보편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일동(Joe, Ildong),박관익(Park, Kwan Ik),정병욱(Chung, Byungwook)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8

        이 글은 현재 예술 장르를 떠나 평론의 보편적인 방식처럼 여겨지는 별점 혹은 수치로 환산되는 평가방식에 대해 대중음악 평론의 영역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이 현상을 양적 평가를 다른 질적 평가보다 신뢰하는 현대사회의 사고방식/가치체계와 연결지어 사고해 본다. 이를 통해 역사적, 미학적, 철학적 관점에 입각한 논리적 수사의 구사를 통해 전문성을 인정받고 존재 가치를 증명해 온 평론의 역사를 일별하고, 현재의 변화가 지닌 의미를 추적한다. 글의 구성은 평론이라는 글쓰기 형식이 대두되게 만든 역사적 배경과 그로 인해 형성된 평론의 성격과 특성에 대한 모색, 최근 중요한 평가방식으로 부상한 별점 평가에 대한 고찰, 미디어 환경 변화와 평론의 현재에 대한 비판적 검토로 이뤄져있다. 평론은 문화산업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선에 존재하면서 평가 대상의 형식적 측면은 물론, 역사성, 미학, 가사, 패션 등 다양한 측면을 아우르며 해석하여, 이를 수사적으로 기술하는 작업이다. 평론은 작품에 대한 논쟁을 이끄는데, 이는 홍보의 방편이 되기도 한다. 2000년대 이후 대중음악을 둘러싼 미디어․기술 환경이 변하면서 예술장 자체가 변화하기 시작했다. 평론을 위한 미디어 역시 변화했다. 나아가 평론 글쓰기 방식도 달라졌는데, 대표적인 변화가 별점으로 대표되는 직관성을 강조하는 양적 평가의 보편화이다. 온라인 환경에서 평가 참여자의 폭도 확대되었는데, 전문 평론가와 일반 수용자의 별점이 다른 경우도 자주 발견된다. 이는 두 집단이 대중음악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어떤 측면을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어느 정도의 비중을 두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 자체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기도 하다. 별점 평가가 불러온 여러 논란은 대중음악 평론의 기준에 대한 논의를 불러올 뿐 아니라, 글쓰기 방식 자체에 대한 성찰 또한 불러오는 계기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evaluation methods converted into Star-classification or figures, which are considered as a universal method of criticism regardless of the current popular music criticism. Furthermore, we consider this phenomenon in connection with the modern society’s mindset/value system which trusts quantitative evaluation more than qualitative evaluations. Criticism has historically been recognized for its expertise through the logical rhetoric based on historical, aesthetic,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We take a glimpse of the history of these criticism and find the meaning of current changes. The composition of the article includes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led to the rise of the writing style of criticism and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itique formed thereby. Subsequently we review about the Star-classification, which has emerged as an important evaluation method in these days, and check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critical examinations of the present state of criticism. Criticism is a work that exist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interprets it in various aspects of the evaluation target, historicality, aesthetics, lyrics, and fashion, and describes it rhetorically. Criticism leads to debate about the work, which is also a means of publicity. Since the 2000s, the media and technology environment surrounding popular music has changed, and the art field itself has begun to change also. Furthermore, the method of writing criticism has changed, and the most representative change is the generalization of quantitative evaluation that emphasizes intuition represented by star-classification. The number of evaluation participants has also increased online, and in the process, it is often found that star-classification of professional critics and general audiences are different. This is partly because the two groups have different views of popular music, but also because very rare to discuss on which aspects, how, and how to evaluate them. The various controversies brought about by the star-classification make it possible to discuss the criteria for popular music criticism and reflexivity on how to wr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