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절초 잎의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

        박경란(Kyung-Lan Park),김정미(Jeong-Mee Kim) 한국차학회 2017 한국차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천연식물자원인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잎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구절초 잎 추출액 의 휘발성 성분을 연속증류 추출 장치(SDE) 법으로 포집하여 GC-MSD로 분석 동정한 결과, 구절초 잎의 주요 휘발성 화합물은 hydrocarbon 류로 검증되어 alcohol류, aldehyde 류, ester류, terpenoid류 등의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다. 향기 성분의 면적 비율(peak area %)이 가장 높은 것은 1,8-cineole 로 구절초 잎의 주 향기 성분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높은 면적 비율을 보인 향기 성분으로는 alcanfor, thujone, borneol, camphor 순으로 높았다. 테르펜계 알코올 성분으로는 borneol, terpineol, myrtenol, verbenol 등이 검출되었다. 케톤류로는 cycloheptanone이 함유되어 있었고, 유기산 에스터류로는 bornyl acetate 및 thujenol acetate가 함유되어 있 었다. Terpene계 탄화수소류로는 pinene, terpinene, cadinene, caryophyllene, thujanone도 다량 검출되었다. 따라서 향과 기호성 뿐만 아니라 기능성 성분으로 주목받고 있 는 테르펜계 성분 등을 함유한 구절초와 같은 식물의 향기성분의 활용과 그 생리 효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lavor components in the leaves of Chrysanthemum zawadskii. The volatile components in its leaves were extracted using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 (GC-MSD). The leaves of C. zawadskii were contained alcohols, aldehydes, ketones, esters, carboxylic acids, terpenoids, etc. The major flavor components of C. zawadskii were 1,8-cineole, alcanfor, thujone, borneol, decane and camphor. The peak area (%) of 1,8-cineole was the highest one among the flavor components. Alcohols were determined to be borneol, terpineol, myrtenol and verbenol. Decane, bicycloheptane, and butene were also detected and the carboxylic acid esters including bornyl acetate and thujenol acetate were identified. The terpenoids in its leaves included pinene, cadinene, caryophyllene, and thujanone. The leaves of C. zawadskii had many flavor components consisting of aldehydes, esters, and terpenoids as volatile compounds.

      • KCI등재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 및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박경란(Kyung Lan Park),강성태(Sung Tae Kang),김민주(Min Ju Kim),오희경(Hee Kyung Oh)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9

        본 연구에서는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구강질환 세균에 대한 죽엽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죽엽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76.26%, 조회분 10.61%, 조단백질 5.10%, 수분 6.30%, 조지방 1.73%였고, 비타민 A 및 E의 함량에 비하여 비타민 C 함량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1.66 mg/g, 42.78 mg/g으로 나타났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죽엽 추출물 0.04% 이상에서, Streptococcus sobrinus에 대해서는 0.16% 이상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서는 0.02% 이상에서 강한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S.mutans, S. sobrinus, P. gingivalis, P. intermedia는 죽엽추출물 0.32% 농도에서 각각 60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죽엽 에탄올 추출물이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죽엽이 구강질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ral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leaves.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were 6.30%, 5.10%, 1.73%, 10.61%, and 76.26%, respectively. Vitamin C content was higher than Vitamin A and E contents. Among organic acids, citric acid content was the most abundant organic acid, followed by succinic acid, acetic acid, malic acid, and formic aci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21.66 mg/g and 42.78 mg/g, respectivel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extracts of bamboo leaves for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were determined to be 0.04% and 0.16%, respectively. MICs of extracts of bamboo leaves for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Prevotella intermedia were determined to be 0.02%. Extract of bamboo leaves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mutans, S. sobrinus, P. gingivalis, and P. intermedia at a concentration of 0.32%. At this concentration, extract of bamboo leaves inhibited growth of these pathogenic bacteria up to 60 h.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bamboo leaves ethanol extract against oral pathogenic bacteria, suggesting that bamboo leaves could be an effective natural agent for oral hygien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