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술치료가 위탁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여학생 중심으로

        민윤희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 2010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위탁가정 청소년을 여학생중심 대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 15회기를 실시하여 미술치료가 위탁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질적 분석하여 알아보았다. 사전. 사후 검사에는 KFD와 KSD를 실시하여 질적 분석 하였고, 질적 분석의 주관적인 점을 고려하여 양적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양적분석의 측정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M. 1965)와 청소년 자기보고식 행동평가척도(K-YSR)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실시, 양적 분석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위탁기관으로부터 대상자의 개인력과 문제행동에 관한 자료들을 참고하여 대상에 맞는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시하였고 회기별 언어적, 비언어적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보호관찰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자아탄력성,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민윤희,최성열,장성화 한국교정복지학회 2017 교정복지연구 Vol.- No.47

        이 연구에서는 보호관찰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자아탄력성 등을 설명하고, 이들 요인과 문제행동과의 인과적 구조모형을 경험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 307명을 대상으로 SPSS 20.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자아탄력성, 문제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자아탄력성은 문제행동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자아탄력성, 문제행동 간에 서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자아탄력성은 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영행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했던 연구모형이 통계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of effectively improving the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maladaptive behaviour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by focusing on their personal strengths and temperament. This study seeks to find ways of promoting subjective well-being and improving the maladaptive behaviour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To this end, personal strengths intervention is used based on the standpoint of striving for a positive behaviour stat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maladaptive behaviour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and analysed the correlations among family strength, school adaptation, ego resilience, and the adolescents’ behavioural problems. The influence of family strength and school adaptation, with ego resilience as a mediator, on behavioural problems was investigated to reveal indirect/direct effects and structural causality among behavioural problems.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adolescents on probation. A total of 307 questionnaires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20.0 and AMOS 20.0 using differential calculu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family strength, a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adolescents,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ir behavioural problems. This implies that an unhealthy family environment leads adolescents to grow up under great stress. Thus, family strength served as the main factor that leads to these adolescents being socially stigmatized. The estimates of structural paths indicate that a healthy famil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go resilience. However, in this study family interactions appeared to cause behavioral problems, thus showi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ego resilience.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민윤희 ( Yoon Hee Min ),장성화 ( Sung Hwa J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3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성공적인 학습물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치효능감, 학교적응 등을 설정하고, 이들 요인과 학습몰입과 인과적 구조모형윷 경험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341명을 대상으로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1에서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은 학습몰입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사회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은 학습몰입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몰입 간에 서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치효능감, 학교적응은 학습몰입에 집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했던 연구모형이 통계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fl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4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y using the SPSS 18.0 and AMO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Flow on Learning.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directly affected the learning flow. But,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indirectly affected the learning flow. Therefore, prevention of Flow on Learning elementary students can use to map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a variety of in-depth policy research is to Suggest the need for such.

      • 뇌병변장애를 가진 ADHD 청소년의 미술치료가 주의집중문제와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숙경,민윤희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 2013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뇌병변장애를 가진 ADHD 청소년의 주의집중문제와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 기 위해 ADHD 청소년의 주의집중과 공격행동의 변화를 사전과 사후를 비교하는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시 에 소재한 W특수중학교 다니며, H재활원에서 생활하고 있는 1명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시 기간은 2012. 8. 1~2012. 11. 30까지 주 1회 방문하여 50분씩 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총 30회기를 실시하였다. 장소는 연구대상자가 생활하고 있는 방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미 술치료가 뇌병변장애를 가진 ADHD 청소년의 주의집중문제에 감소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연구대상자를 CBCL 6-18로 사전․사후로 실시한 결과 주의집중 문제에 대한 사전검사에서는 백분위 점수 99와 T점수 78로 임상범위 에 해당되었지만 미술치료 회기를 마친 후 사후검사 백분위 점수 85와 T점수 61로 각각 백분위 점수 14점과 T 점수 17점이 낮아지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미술치료 중 가만히 앉아있지 못하고 안절부절못하며 지나치게 많은 움직임을 보이던 행동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미술치료가 뇌병변장애를 가진 ADHD 청소년의 공격 행동이 감소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연구대상자를 CBCL 6-18로 사전․사후로 실시한 결과 공격행동에 대한 사전 검사에서는 백분위점수 100과 T점수 74로 임상범위에 해당되었지만 미술치료 회기를 마친 후 사후검사 백분위 점수 96과 T점수 68로 각각 백분위 점수 4와 T점수 6씩 낮아지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기에게 관심을 많 이 가져주기를 요구하고, 물건을 부수고, 지시를 따르지 않고, 감정 기복이 심하고, 고집을 부리고, 짜증을 부렸 다. 그러나 미술 치료를 통해 지시에 따르고, 미술치료 재료를 찢거나 부수지 않는 등의 공격행동이 감소하였다. HTP의 심리검사로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그림크기의 감소와 나무그림에서의 공격행동이 많이 감소하였으며, 아 버지의 부재로 남성상의 부정적인 표현이 긍정정인 표현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그림을 그리는 동안 언어적 비언 어적 표현이 긍정적인 표현으로 변화되었음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와 다수의 관찰연구와는 다르게 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지적장애인의 경우 지적장애로 인하여

      • KCI등재후보

        대학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독립과 진로신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주연,민윤희,장성화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9 상담심리교육복지 Vol.6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독립과 진로신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3, 4학년 대학생들의 중심으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측정도구의 신뢰도,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3단계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독립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신념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게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독립과 진로신념이 진로준비행동에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고, sobel test 결과에서도 매개효과의유의성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has mediating effects in correla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career belief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Kyunggi. PASW 22.0 was employed to conduct frequency, percentage,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of the study questi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don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independenc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is found to have effec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career belief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is found to have effec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astly, in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behavior, career belief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has mediating effects, and so does it in correlation between.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smart phone addiction

        장성화,최성열,이주연,민윤희,유숙경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4

        This study fin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mental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correlation among sub-factors, and verifies that mental health affectsschool adjustment and that smart phone addiction plays the role of a mediating variable. Wecollected data that targeted mental health, smart phone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438adolescents. We analyzed data with SPSS 18.0 and AM0S 20.0 programs, and verified the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arameter estimated at .05 significant level. The results are as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variables of mental health, school adjustment,and smart phone addiction can be seen. Second, we analyzed the covariance structure ofwhether smart phone addiction plays the role of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between mental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or not. And it is the proper structural model ofmental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smart phone addiction. In other words, smart phoneaddiction plays the role of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school adjustment as we assumed in this study. Finally, we sugges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and follow-up study drawn from this study results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권수경(Su Kyung KWON),민윤희(Yoon Hee MIN),장성화(Sung Hwa J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5 상담심리교육복지 Vol.2 No.2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인터넷 중독이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지역 중 · 고등학생 남녀 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은 모든 하위변인에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중독의 하위변인인 생활장애, 현실장애, 긍정적 기대, 금단, 대인관계, 일탈행동, 내성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일상생활장애, 내성 및 금단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변인이, 현실장애는 학교생활적응, 학교친구적응, 가족유대가, 긍정적 기대는 학교교사적응, 학교수업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생활적응이, 대인관계는 학교친구적응이, 일탈행동은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는 자기통제력의 하위변인, 학교적응의 하위변인,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을 예측변인으로 설정하고 인터넷 중독의 하위변인들을 준거변인으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청소년의 일상생활장애에서는 학교적응의 회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교생활적응과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 중 가족 간 의사소통이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즉, 일탈행동에서 학교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교생활적응이 가장 큰 설명력(6.8%)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가족건강성의 가족 간 의사소통이 더해지면 3.1%의 설명력을 갖게 된다. This study recognized these problems and addiction in the adolescents self-control, school adjustment, the family strenghts was to evaluate the impact on health. Daejeon in subjects enrolled a total of 250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nducted the survey. The m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dolescents of the self-control, school adjustment, family strength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self-control, school adjustment, family health in an otherwise sub-factor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Internet addiction disorder the sub life, real problems, positive expectations, withdrawal, interpersonal relations, deviant behavior,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to be resistant. In addition, Internet addiction and self-control, school adjustment,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family health, The daily life of adolescents disorder, resistance and withdrawal of all sub-variables and school adjustment, the real failure in school adjustment, school adjustment friends, family bonds, the school teachers expect a positive adjustment, school adjustment, school adjustment friends, school life Adaptation, interpersonal adaptation and high school friends, the self-control deviant behavior, school adjustment, health of family members from all the sub-reg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is study of self-control sub-variables, school adjustment variables of the child and family health as predictors of sub-set of variables and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as a sub-criterion variables was carried ou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daily lives of disabled children in the school adjustment regression equ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School adjustment variables of the child and family health of the school life of adaptation interfamily communication of sub-factors were significant as a result. In other words, deviant behavior of the child in the school adjustment variables,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greatest variance (6.8%) were carrying. Interfamily health of our families, additional communication will have a variance of 3.1%.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 ( Sung Hwa Jang ),민윤희 ( Yoon Hee Min ),이동률 ( Dong Ryul Lee ),이미애 ( Mi Yea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대전지역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6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무성의한 응답지 20부를 제외한 총 345부를 가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하위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교환경적응은 창의성과 비본질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교사적응은 본질동기, 내재적 동기 그리고 자율성이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수업적응은 자율성, 비본질동기, 수업동기 그리고 본질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친구적응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생활적응은 본질동기, 계속동기, 내재적동기 그리고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적응 전체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변인으로는 자율성, 비본질동기, 내재적동기, 본질동기, 그리고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dapt to the school to verify the effect of three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to 365 people attending was conducted, except the vegetative part of the response over 20 have a total of 345 parts by SPS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18.0. The first, study i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ll the sub-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reativity and adaptation to the schoo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non-intrinsically motivated, adapt to the nature of a school teacher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autonomy, significant impact, adaptation of school autonomy, non-intrinsically motivated, motivation, and classroom significant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chool friend adaptation of a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assessment of the impact is significant, the nature of school adjustment motivation, continued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assess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In addition, school adjustment of the variables that best explain jeoncheeul autonomy, non-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in order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and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 variety of approaches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 또래관계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

        이미애 ( Mi Yea Lee ),민윤희 ( Yoon Hee Min ),장성화 ( Sung Hwa J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부모자녀의사소통과 또래관계가 인터넷 중독 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D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각 3학교의 남녀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의사소통, 또래관계 인터넷 중독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증과 Pearson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인터넷 중독의 하위영역 차이는 여자에 비해 남자인 경우, 6학년 보다 5학년이 중독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의사소통, 또래관계 및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살펴보면, 인터넷 중독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자녀의사소통와 또래관계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의사소통의 하위변인들과 또래관계의 하위변인들을 예측변인으로 하고 인터넷 중독 하위변인들을 준거변인으로 한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건전한 인터넷 문화를 만들기 위한 관심과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peer relationship, and internet addiction in elementary. The participants were 33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city. T-test, Pearson``s coefficient of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were more addictive to internet than girls, and 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ore addictive to internet than 5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ose elementary who were lack of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tended to be addictive to internet. And highly addicted elementary to internet had lower peer relationship than others. Finally,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and peer relationship were examined as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암환자 가족 아동의 공격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김수현(Soo-Hyun KIM),민윤희(Yun-Hee MI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8 상담심리교육복지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Winnicott의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암 환자 가족을 둔 아동의 공격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9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주 1∼2회(회기소요시간 50분) 사전-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총 17회기를 진행하였다. 심리검사 도구는 공격성검사와 대인관계 스트레스 검사로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고, 그림 진단검사로 KSD와 KFD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질적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 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관계 미술치료는 초기에 가정과 학교에서 보였던 아동의 공격적인 언행이 현저히 감소하여 공격성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관계 미술치료는 아동의 자기표상과 타인표상이 건강해지며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암 환자 가족 아동의 공격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었으며 향후 암 환자 가족의 역기능 적인 요소를 감소시키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rt therapy based on the object relations theory of Winnicott on aggression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of a child who is the one of family members of a cancer patient. The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total 17 sessions which was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from September 1, 2017 through November 30, 2017, and involved a pre- and post-assessment session.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wo questionnaires(aggression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scale) and two projective drawing tests(KSD and KFD)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had an effect on the decrease of the child’s aggression. Secondly, the art therapy could make the self and other representation of the child healthy and reduc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Consequentially,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at the art therapy can exert influence on the decline in family dysfunction po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