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수손상 장애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 활동을 위한 음성인식 웨어러블 디바이스 도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문광태(Kwangtae Moon),김종배(Jongba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장애인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과 디자인 형태를 도출하기 위해 음성인식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Krueger와 Casey가 제시한 질문 방식에 기반하여 6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 분석에는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으로 진행되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참여자들은 필요 기능 및 요구 형태라는 두 가지 주요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 주제들은 ‘만능 리모컨’, ‘LCD 터치스크린’, ‘건강 상태 모니터링’, ‘셀룰러 기능’, ‘리버스 넥밴드 형태’, ‘스마트 워치 형태’, ‘목걸이 형태’라는 의미 단위로 귀결되었으며, 가전제품 제어, 즉각적인 피드백, 시각적 피드백, 주문 확인, 현재 심박수 확인, 적절한 심박수 테스트, 체온 자주 확인, 체온 상승 알림, Wi-Fi 없이 사용, 휴대폰 없이 사용, 넥밴드 유형, 이어폰은 불편함, 기능적인 목 움직임, 경험해본 유형, 고무 밴드, 신체에 부착, 손 기능 보조라는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음성인식 인터페이스 기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에서 필요한 기능과 디자인 형태를 제시하였다. 향후 척수손상 장애인의 만족스러운 일상생활을 위한 음성인식 인터페이스 기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에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 voice-activated wearable device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by identifying the functions and design forms needed for their daily liv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method proposed by Krueger and Casey, with six people who had suffered a spinal cord injury.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which comprised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hecking. As a result, two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participants: needed functions and needed forms. These themes were translated into the semantic units of universal remote control, liquid crystal display (LCD) touch screen, health monitoring, cellular functionality, reverse neckband form, smartwatch form, and necklace form, and included the following perceptions/functions: Control of home appliances, instant feedback, visual feedback, order confirmation, checking the current heart rate, testing for the proper heart rate, checking the body temperature frequently, notification of elevated temperature, use without Wi-Fi, use without a cell phone, neckband type, perception that earphones are uncomfortable, functional neck movement, types experienced, rubber band, need for attachment to the body, and assisting the hand func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necessary functions and design forms for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based on a voice recognition interface to facilitate the daily activitie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In the future, these findings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based on voice recognition interfaces to enhance the daily life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and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research on such devices.

      • KCI등재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작업수행 기술에 미치는 효과

        문광태(Moon Kwang-Tae),박혜연(Park Hae Yean),김종배(Kim Jong-Bae)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2

        목적 :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장애인의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작업 수행의 질과 만족도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뇌졸중 진단을 받은 심한장애인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정은 2019년 5월 21일부터 2019년 9월 7일까지 17주간 총 25회기(기초선 A 5회기, 중재 기간 B 14회기, 기초선 기간 A’ 5회기, 추적 기간 1회기)로 진행하였다. 중재는 연구자가대상자의 집으로 방문하여 진행되었다.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에 따라 중재 모델 선정 및 적용하였으며, 중재에는 과제 제공 및 피드백, 관련 정보 교육, 가정환경 수정, 지역자원 연계가 포함되었다. 작업기반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이후 일상생활에서 작업수행기술의 빈도 변화, 작업수행 만족도,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는 선형그래프와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손 닿는 곳의 상의 입기, 침대에서 양말과 실내화신기, 의자에 앉아 신발 신기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이 향상되었다. 작업수행기술 평가 결과 대상자의작업수행 기술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작업수행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을 향상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작업수행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뇌졸중 대상자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 유형별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보편화 되기를 기대해 본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on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disabled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ccup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Methods : In this single-subject ABA design study with follow-up evaluation, one severely disabled person diagnosed with stroke who lived in the community was recruited. The procedure consisted of a total of 25 sessions for 17 weeks. Intervention was according to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and the researcher visited the subject’s home. Individualized intervention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OTIPM. The intervention was composed of task assignment and feedback,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information-related caregiver education, and community resource network. The evaluation of each session included the changes in the frequenc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in daily life, and the changes in occupational satisfa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and maintenance of i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during follow-up. The results were visually analyzed using a bar graph and a linear graph.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improv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uch as putting on socks, shoes slip-on, and upper body dressing garment within reac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MPS, it was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was improved in all the subject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lso improved.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occupation-based rehabilitation can improve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of stroke home disabled people positively affect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in daily life. Therefore, I think it is meaningful that useful for them.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기기 적용의 사례연구

        양승완(Yang, Seung Wan),문광태(Moon, Kwang Tae),김종배(Kim, Jong Ba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현상으로 인하여 건강관리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에게 디지털 헬스케어기기를 적용하여 변화를 확인하고 인터뷰를 통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장애인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건강관리와 삶의 질의 융복합적인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효율적인 전략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를 받는 장애인 2명을 대상으로 산소포화도, 폐활량, 맥박, 혈압, 온도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헬스케어기기를 적용하여 이에 따른 삶의 질을 관찰하였다. 폐의 기능을 관찰하기 위해서 폐활량측정기 PF-200을 사용하여 최대호식기류(PEF),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을 측정하였으며 산소포화도와 맥박을 측정할 때에는 델로나 산소포화도 맥박측정기를 사용하였다. 혈압 측정에 사용된 기기는 오므론 혈압측정기 HEM-7121이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세이프스타트 온도측정계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척도로는 삶의 질 척도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디지털 헬스케어기기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차이점을 확인하였으며 평가 후 인터뷰를 통하여 장애인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기기의 적용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기기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것보다 대상자에게 맞는 적절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를 적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또한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수를 증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perform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disabled by applying digital health care devices to the disabled who have difficulties in health management due to the COVID-19 phenomenon, confirming changes, and conducting case studies through interview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bout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are and quality of life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effective strategies for integrated care in the local community. The quality of life was observed by applying a digital health care device capable of measuring oxygen saturation, lung capacity, pulse, blood pressure, and temperature for two persons with disabilities receiving integrated care in the local community. To observe lung function, the maximum expiratory flow (PEF)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FEV1) in 1 second were measured using a spirometry PF-200. When measuring oxygen saturation and pulse rate, a Delona oxygen saturation pulse meter was used. The device used to measure blood pressure was an OMRON blood pressure monitor HEM-7121, and a Safe Start therm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The quality of life scale WHOQOL-BREF was used as an evaluation scale to measur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find out how digital healthcare devices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e differences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the evaluation,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disabled through interviews after evaluation.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digital health care devic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future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apply a suitable digital health care device to the target person rather than select and provide a digital health care device.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a study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ubjects is necessary to generalize the results.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영욱(Kim, Youngwook),김민지(Kim, Minjee),문광태(Moon, Kwangtae)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해 향후 직업재활 영역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 과제와 전망, 재활 성공사례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정신장애인에게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 8명에게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전 동의를 통해 인터뷰 영상은 녹화되었고, 녹화된 자료는 Colaizzi의 6단계에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3개의 주제와 9개의 개념, 19개의 의미단위, 60개의 중심의미를 도출하였다.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상담자, 평가자, 중재자, 연계자로 나타났다. 향후 과제와 전망으로는 커리큘럼, 직업재활 수가체계 개편, 직업에 대한 인식 재확립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공적인 직업재활에 대해서는 취업 장소와 직업재활의 효과를 언급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직업재활 영역에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보다 전문성있는 직업재활 전문 작업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한 가이드라인과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ole, task, and prospects of vocational therapist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work experience of vocational therapists provi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mentally disabled people. Methods :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rovid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mentally disabled people by applying Zorgi 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terview videos were recorded with prior consent, and the record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llage 6-step phenomenon analysis method. Results : Three themes, nine concepts, 19 semantic units, and 60 central meanings were derived.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provi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was found to be counselors, evaluators, mediators, and links. Future tasks and prospects were curriculum, vocational rehabilitation expense system reform,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re-establishment. In addition, for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employment location and the effec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ere mentioned.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asks and prospects to be improv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rovid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could be used as guidelines and basic data to cultivate more professional vocational rehabilitation experts in the future.

      • KCI등재

        수·전동 휠체어 개발을 위한 수동휠체어 간 비교 사용성 평가 : 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김동완(Dong-Wan Kim),이윤환(Yun-Hwan Lee),장완호(Wan-Ho Jang),문광태(Kwangtae Moon),정성우(Seongwoo Jeong),김종배(Jongba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3

        본 비교 사용성 평가는 휠체어 사용자들이 지역사회에서 경험할 수 있는 지형 및 장애물이 설치된 연구 시설에서 지체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이동 보조기기에 대한 이해가 있는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었다. 수동휠체어 간 사용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휠체어 구매 의사결정 시 영향을 미치는 사용성과 사용자에게 더 적합한 수·전동휠체어를 만들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수·전동휠체어는 대만 K사 제품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참여자들은 3개의 시나리오, 12개의 과제로 구성된 평가 순서에 따라 개인 휠체어로 1회, K사 수·전동휠체어로 1회 총 2회 코스를 주행하였다. 주행 결과 한 명의 참여자는 K사 제품으로 주행 시 1회 오류를 범하였다. 과제 소요 시간과 RPE(Borg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Scale), DRS(Difficulty Rating Scale)를 통해 두 제품을 비교한 결과 K사 제품은 시간의 효율은 떨어졌지만(+0.2초), 노력의 정도(-2.38점)와 어려움의 정도(+1.24점)는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만족도는 ARS(Acceptability Rating Scale)의 비교를 통해 K사 제품이 더 수용할 수 있는 것(+1.1점)으로 확인하였고, SUS(System Usability Scale)의 점수를 분석한 결과 K사 수ㆍ전동휠체어에 대한 전체 참여자의 사용성 및 만족도는 75.2점으로 B등급/‘Good’ 정도의 사용성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제표준을 근거하여 사용성을 정의하고, 특정 집단인 휠체어 사용 장애인들을 직접 연구에 참여시킴으로써 학술적인 의의를 높였으며, 추후 국내업체에서는 실용적인 수ㆍ전동휠체어 개발을 위해 개발과정부터 실제 사용자의 사용성을 지속해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comparative usability test was conducted by researchers with an understanding of mobility aids. Five physically disabled subjects were enrolled in research facilities having terrains and obstacles that wheelchair users experience in the community. The usability of manual wheelchairs was compared, and usability factors that affect the users wheelchair purchase decis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manufacturing a suitable manual and power hybrid wheelchair. Participants maneuvered the wheelchairs under test conditions comprising 3 scenarios and 12 tasks. The effectiveness of the two products under assess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 comparison of the two products showed that the K product had a low driving efficiency (+0.2 seconds) but the degree of effort (-2.38 points) and difficulty (+1.24 points) were more efficient. The satisfaction was also confirmed to be more acceptable (+1.1 points) for Ks product. Analysis of the SUS (System Usability Scale) score determined that the overall usability and satisfaction of Ks manual and power wheelchair were 75.2 points, which is rated as B and Good usability.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ugmented by defining the usability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and by the direct participation of a specific group of wheelchair users. We propose the necessity for domestic companies to conduct continuous usability studies for the development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