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bavirin의 소아만성 B형 간염에 대한 치료효과

        황호연,하정옥,마인열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86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3 No.1

        소아만성 B형간염 환아 24명에게 항Virus제인 ribavirin을 15mg/kg/day로 14일간 경구투여한군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어 12개월간 혈청 HBsAg과 HBeAg을 추적 검사한 결과 두군 모두에서 HBsAg 과 HBeAg의 감소를 볼수 없었으므로 ribavirin의 소아만성 B형 간염에 대한 치료효과는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또한,ribavirin치료에 따른 특별한 부작용도 볼 수 없었다. To study the therapeutic effect of ribavirin, a broad spectrum antiviral agent, for chronic hepatitis B in pediatric patients, 2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hronic hepatitis B (elevated SGOT and SGPT and positive HBsAg and HBeAg for more than 6 months) at the pediatric department of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Mar. 1, 1985 to Sep. 30, 1986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Ribavirin was administered to 11 patients in does of 15㎎/㎏/day and 13 patients were control group and both groups were followed for 12 months. Serum HBsAg and HBeAg were measured with RIA(Ausria-Ⅱ and Abbott-HBe, respectively) and compared in P/N ratio (counts per minute of patient's sample/counts per minute of normal serum).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in P/N ratio of HBAg and HBeAg in both groups between prior to the therapy and 12 months follow-up period. It seems that ribavirin does not have the therapeutic effect on chronic hepatis B in children. Also, there were no noticeable side effects from ribavirin therapy.

      • 실명을 주소로 한 신경아세포종 1예

        마인열,하정옥,김춘동,이태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8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 No.1

        신생아세포종은 소아기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중 뇌종양 다음으로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원발 혹은 전이된 부위에 따라 다양한 임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실명을 주소로 한 경우는 드물다. 본 증례는 4세된 남아의 복부에서 기원하여 사골동으로 원위전이하여 갑작스런 실명을 주소로한 신경아세포종으로 cytoxan, vincristine, DTIC, adriamycin 및 VM-26의 병합요법으로 치료하여 실명은 그대로 있으나 복부와 사골동의 종괴는 현저히 감소하였고 환아는 건강이 양호한 상태이다. Neuroblastoma is the most common extracranial solid tumor of childhood which presents various clinical symptoms depending on the primary and metastatic sites. However, it has been rarely reported that sudden onset of blindness was the chief complaint of neuroblastoma. A four years old boy was admitted to th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chief complaint of a sudden onset of blindness due to a distant metastasis of abdominal neuroblastoma to the sphenoid sinus. On admission, both side pupils were dilated without light reflex, fundoscopy showed pale optic disk, electroretinogram was subnormal and visual evoked potential showed no response. The liver was palpable in 3½ finger breadth from the right costal margin and adult fist sized mass was palpable in the right flank. Skull X-ray showed destructed sphenoid bone and clinoid process and brain CT scan showed tumor mass in the sphenoid sinus and left orbit. Ultrasonogram and CT scan of the abdomen showed large tumor masses around the right kidney and para-aortic and retropancreatic lymph node. IVP showed displaced right calyceal system with preserved contour. Left supraclavicular lymph node which appeared after admission was biopsied and it showed poorly differentiated neuroblasts. He was treated according to the multiagent chemotherapy schedule for stage IV neuroblastoma patient of children's cancer study group. Adbominal tumor masses and sphenoid sinus mass were markedly reduced after 2 courses of the combination chemotherapy of cyclophosphamide, vincristine, DTIC, adriamycin and VM-26. Eventhough the blindness was not improved, the patient has been in good clinical condition.

      • 단기간의 당섭취 증가가 인슐린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김용운,마인열,이석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7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4 No.1

        인슐린 저항성이란 인슐린의 생물학적 효과가 감소하는 상태를 말하며 당뇨병의 중요한 병리기전이다. 인슐린 저항성은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전적인 요인이나 후천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제까지 가장 잘 알려진 인슐린 저항성의 유발인자로는 고혈당과 고인슐린증이 있다. 장기간의 고혈당이나 고인슐린증은 가장 중요한 인슐린의 작용조직인 골격근에서 인슐린 수용체의 결합능을 감소시키고 당섭취에 필요한 제 4형 당수송체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인자는 모두 골격근에서 당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인슐린 저항성은 말초조직이 세포내로의 과도한 영양소 섭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시키는 조절기전일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의 당섭취 증가가 더 이상의 당섭취를 억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고자 흰쥐에서 2시간 동안 다양한 조건으로 당섭취를 유도하고 1 시간의 휴식기간을 가진 후 인슐린 예민도를 측정하고 골격근을 분리하여 인슐린 수용체와 제 4형 당수송체를 분석하여 당섭취량과 인슐린 감수성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인슐린 수용체 결합능과 제 4형 당수송체량을 비교하였다. 실험군은 hyperinsulinemic glucose clamp 전에 시행한 당섭취의 조건으로써 5개 군으로 구분하였다. 제 I 군은 대조군으로 생리식염수만 주입하여 기초상태의 인슐린 농도와 혈당을 유지하였으며, 제 II 군은 somatostatin과 포도당을 주입하여 정상 인슐린농도의 고혈당을 유지하였으며, 제 III 군은 포도당을 주입하여 고인슐린증과 고혈당을 유지하였고,, 제 IV 군은 인슐린 (100 mU/kg/min)과 포도당을 주입하여 초고인슐린증(~4000 uU/ml)과 정상혈당 (~100 mg/dl)으로 유지하였으며, 그리고 제 V 군은 인슐린과 포도당을 주입하여 초고인슐린증과 고혈당 (~200 mg/dl)을 유지하였다. 체중, 공복시 혈당 및 인슐린 농도는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yperinsulinemic euglycemic clamp 전에 주입한 포도당의 총량(gm/kg)은 제 II 군이 1.88±0.151, 제 III 군이 2.69±0.239, 제 IV 군이 3.54±0.198, 그리고 제 V 군이 4.32±0.621이었다. Hyperinsulinemic euglycemic clamp 의 평형상태 당제거율(mg/kgmin)은 제 I 군이 16.9±1.74, 제 II 구닝 13.5±0.53, 제 III 군이 11.2±0.52, 제 IV 군이 13.2±0.92, 그리고 제 V 군이 10.4±0.41로 전체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각 군간의 비교에서 제 II,III,IV,V 군의 값이 제 I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전체 실험동물에서 포도당 주입량과 당제거율 사이에 역상관관계 (r=-0.701, p<0.001)를 보였다. 인슐린 슈용체 결합과 Western blot 으로 분석한 제 4형 당수송체량은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단기간의 당섭취 증가가 더이상의 당섭취를 억제할 수 있으나 인슐린 수용체 결합과 제 4형 당수송체의 숫적 감소없이 발생하였다. Insulin resistance is a prominent feature of diabetic state and has heterogeneous nature. However, the pathogenetic sequence of events leading to the emergence of the defect in insulin action remains controversial. It is well-known that prolonged hyperglycemia and phperinsulinemia are one of the causes of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but both hyperglycemia and hyperinslinemia stimulate glucose uptake in peripheral tissue. Therefore, it is hypothesized that insulin resistance may be generated by a kind of protective mechanism preventing cellular hypertrophy. In this study, to evaluate whether the acutely increased glucose uptake ingibits further glucose transport stimulated by insulin, insulin sensitivity was measured after preloaded glucos infusion for 2 hours at various conditions in rats. And also, to evaluate the mechanism of decreased insulin sensitivity, insulin receptor binding affinity and glucose transporter 4 (GLUT4) protein of plasma membrane of gastrocnemius muscle were assayed after hyperinsulinemic clamp studies. Experimnetal animals were divied into five gtoups according to conditions of preloaded glucose infusion: group I, basal insulin (14±1.9μU/㎖) and basal glucose (75±0.7㎎/㎗), by normal saline infusion; group Ⅱ, normal insulin (33±3.8μU/㎖) and hyperglycemia (207±6.3 mg/dl), by somatostation and glucose infusion; group Ⅲ, hyperinsulinemia (134±34.8μU/㎖) and hyperglycemia (204±4.6mg/dl), by glucose infusion; group Ⅳ, supramaximal insulin (5006±396.1μU/㎖) and euglycemia (100±2.2 mg/dl), by insulin and glucose infusion; group Ⅴ, supramaximal insulin (4813±687.9μU/㎖) and hyperblycemia (233±3.1 mg/dl), by insulin and glucose infusion. Insulin sensitivitu was assessed with hyperinsulinemic euglycemic clamp technique. The amounts of preloaded glucose infusion(gm/kg) were 1.88±0.151 in group Ⅱ, 2.69±0.239 in group Ⅲ, 3.54±0.198 in group Ⅳ, and 4.32±0.621 in group Ⅴ. Disappearance rates of glucose (Rd, mg/kg/min) at steady state of hyperinsulinemic euglycemic clamp studies were 16.9±3.88 in group Ⅰ, 13.5±1.05 in group Ⅱ, 11.2±1.17 in group Ⅲ, in group Ⅳ, and 10.4±0.01 in group Ⅴ.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amount of preloaded glucose and Rb (r=-0.701, p<0.001) when all studies were combined. Insulin recerptor binding affinity and content of GLUT4 were not siggificantly in all experimenta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reased glucose uptake may inhibit further tranport and lead to decreased insulin sensitivity.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