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장인 대상 미술심리교육에서 삶의 의미와 예술교육향유기대, 재참여의도 간 예술교육경험의 매개효과

        류은진(Ryoo Eunjin),김은진(Eunj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직장인의 정서적 문제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미술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자기 탐색을 통해 타인과의 소통, 동료들과의 일체감을 경험하도록 고안된 미술심리교육을 2018년 4월에서 6월에서 실시하였다. 여기에 참여한 3개 수업의 100명의 직장인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삶의 의미, 예술교육향유기대, 재참여의도 간 예술교육경험의 매개효과를 연구하였다. 개인변인인 삶의 의미는 삶의 의미를 찾고 그에 기반 하여 살아감을 의미하며 인간의 기본 욕구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과정 변인인 예술교육경험은 예술교육 참여자의 인지ㆍ정서ㆍ실천 경험을 의미한다. 결과변인 중 예술교육향유기대는 예술교육의 향유에 대한 기대를 재참여의도는 교육에 만족감을 느끼고 재참여 하고자 하는가를 의미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중회귀 및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삶의 의미와 예술교육향유기대 간에는 정서적 예술교육경험만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고, 삶의 의미와 재참여의도 간에는 실천적 예술교육경험만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 결과를 통해 미술심리교육에서 예술교육에 대한 기대는 정서적 활동과 더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반영하며, 참여자 간 상호작용을 통한 실천적 활동은 교육에 재참여 하고자 하는 동기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삶의 의미는 예술교육향유기대의 직접적인 유의한 효과도 있어,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학습자들은 예술교육을 통한 예술향유에 대한 기대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삶의 의미를 찾고 정서적 경험을 추구하는 직장인들을 위해 자기 탐색과 자기 개발을 돕는 미술심리교육과 같은 예술교육이 요구되므로 기업교육 및 성인교육의 한 분야로 이와 관련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From April to June, 2018, this study conducted a program of art psychology education designed to experience a sense of unity with colleagues throug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t, and to improve the ability of workers to cope with emotional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100 workers in the three classes of the program. Regarding meaning of life, which is an individual variable, and the experience of art education, which is a process variable, dividing participation in education into cognitive, emotional, practical.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PROCESS MACRO,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the expectation of enjoyment of arts education, only the effect of emotional art education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and between the meaning of life and the re-participation intention, only the effec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is demonstrates that workers valuing in the meaning of life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art psychology education in this study, and enjoyment of arts education is deeply related to emotional activities, and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practical activities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 In addition, the meaning of life has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enjoying art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learners finding the meaning of life have high expectations for enjoying art through art education. Therefore, since art education that helps self-exploration and self development through art, such as art psychology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continuous program implement as a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and adult education.

      • KCI등재

        한부모가정 느린학습자 아동에게 적용한 생태학적 접근 : 치료놀이와 발달영역별 중재 중심의 사례연구

        류은진(Ryoo Eunjin),옥정(Jeung Ok)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2

        In this study, ecological approach (attachment re-experience through Theraplay, interventions for each developmental area) were conducted for only a 7-year-old 6-month-old slow learning boy (called A) from a single-parent family, and counseling center, family, and children center of region’s children and school participated, As a result, as A became accustomed to parenting behaviors in Theaplay, their emotional expression increased, and interaction and familiarity between him and his mother in everyday life also increased. In addition, overall problem behaviors, and basic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maturity all increased. Efficacy factors include re-experie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s in Theraplay, study participants’ sharing of A’s achievement levels and discipline methods suitable for A, A’s repeated practice, and supplementation of child care by the local community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 가정의 느린 학습자 아동을 대상으로 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애착과 문제행동 및 발달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아동을 둘러싼 가정, 치료자를 포함한 상담센터, 지역아동센터 및 학교 기반에서, 총 21회기의 치료놀이와 발달영역별 중재가 이루어졌다. 영역별 중재는 문제행동, 인지 및 학습, 사회성 영역에서 대상아동의 특성에 맞춘 개입 전략을 사례회의를 통해 공유하여 지역아동센터 및 학교의 교사가 진행하도록 도왔다. 본 연구는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혼용하였는데, 양적 측정도구로 모-아 상호작용 척도, 아동문제행동 척도, 기초 학력성취도, 사회성숙도 검사가 시행되었고, 질적 분석은 동적 가족화(KFD), 회기별 치료놀이 및 아동행동관찰 등을 토대로 하였다. 그 결과 대상아동은 치료놀이를 통해 양육행동에 익숙해지고 정서표현이 증가한 것이 나타났고 일상에서의 모와의 긍정적 상호작용 및 친근함 표현도 증가하였다. 또한, 문제행동이 감소하였으며 인지 및 학습과 사회성 영역에서 발달지표가 향상되었다. 대상아동의 변화요인으로는 치료놀이를 통한 애착관계 재경험, 대상아동에 적합한 성취수준 및 훈육법 공유, 반복 연습 및 대상아동에 대한 돌봄을 지역사회 체계에서 보완한 점이다.

      • KCI등재

        중년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명수(Kang, Myung­-Su),류은진(Ryoo, Eun-Jin),이수경(Lee, Soo-Kyoung)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3

        본 연구는 다중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중년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일-가정 갈등,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삶의 의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대상자는 40세에서 60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맞벌이 중년 직장여성들로서 총 202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 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는데, 분석결과 첫째, 중년 직장여성의 일-가정 갈등은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과 유의미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나, 삶의 의미와는 직접적인 유의미한 관계를 갖고 있지 않았다. 둘째,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은 일-가정 갈등과 삶의 의미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 직장여성이 다중역할 수행에서 삶의 의미를 찾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과 상담에의 논의점 및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dentify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family conflict, social support, self-effectiveness and the meaning of life among married female workers who are performing multiple roles. The subjects were middle-aged married working mothers aged 40 to 60, they taked care of at least one child and worked more 10 hours in a week. The 202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showed in the lives of middle-aged married female workers as follows. First, the work-family conflict had direct effects on social support and self-effectiveness significantly. And the work-family conflict ha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but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meaning of life. Second, social support and self-effectiveness had complete mediation effects in relation between the work-family conflict and the meaning of life. Therefore, to find the meaning of life for middle-aged married female worker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ir social support and self-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suggested the discussion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 KCI등재

        초등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퍼즐게임의 선정 준거 개발

        박주연(Park, Ju-Yeon),류은진(Ryoo, Eu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초등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해 교수목적과 교수상황에 적합한 퍼즐게임 선정 준거를 개발하여, 퍼즐게임 활용을 위한 합리적인 판단 근거 제공 및 현장적용을 돕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SW교육과정과 퍼즐게임의 특성 및 매체 평가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퍼즐게임 선정을 위한 준거를 추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프로그래밍 교육용 퍼즐게임 선정 준거로 학습내용에서 7개 영역, 14개 세부지표, 교수상황에서 12개 영역, 23개 세부지표가 선정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퍼즐게임을 프로그래밍 교육에 활용하기 위해 합리적인 교육매체의 선택 및 교육매체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퍼즐게임 선정 준거가 교육현장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developed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puzzle game for elementary programming education to facilitate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puzzle game. Methods For thi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rogramming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zzle game and evaluation of the medium,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proper puzzle game were extracted through Delphi investigation. Results In the research results, 14 detailed indexes were selected in seven areas in the learning content as a criterion for selecting a puzzle game for programming education, and in the teaching situation, 23 detailed indexes were selected in 12 areas.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puzzle game selection criteria in this study will be effectively us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programming education.

      • 만성콩팥병 환자를 위한 전환학습 프로그램 개발

        강명희(Kang, Myunghee),김현정(Kim, Hyunjung),류은진(Ryoo, Eun Ji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만성콩팥병 3-4단계를 진단받은 환자를 위해 비판적 성찰과 합리적 담론으로 구성된 전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평가하기 위해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환자의 질병관리 태도와 습관의 변화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SSURE 설계모형과 TLO 전환학습모형을 병합하여 전환학습 프로그램은 기획, 설계, 개발되었으며, 만성콩팥병 환자 5명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 집합교육 6회가 실시되었다. 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전환 과정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은 평가되었다. 평가결과에 따르면 인지적 영역인 질환 지식은 증가되었으나, 정의적 영역인 건강관리태도에는 특별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행동적 영역인 생리적 지표에서는 사구체여과율과 크레아티닌은 급격한 변화가 없었고 칼륨의 경우 전환 행동을 시행하면서 시행착오를 겪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을 마친 학습자 모두는 전환 과정 중 비판적 성찰, 다른 사람들과 정보 공유, 실천계획 수립, 행동을 위한 지식습득에서 변화를 보였으나, 전통적인 가족관계 혹은 직장관계에서 새로운 역할로의 전환에 대해서는 편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전환학습프로그램 개발의 전략이 재구조화 될 수 있을 것이며, 평가 방법도 더욱 정교화 되어 타당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of disease management applying the principl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from critical reflection and rational discourse for learners with a chronic kidney disease stages 3 to 4. For this, the ASSURE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and the TLO model of transformative learning amalgamated to be applied, and this study conducted six sessions of meeting education with the transformative learning program developed here for six months on the subjects of five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Effects of transformative learning were evaluated in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reas, and transformational experienc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ogram evaluation, disease knowledge in the area of cognition was increased, but health management attitude in the area of affection showed no specific change. Physiological index in the area of behavior showed no rapid change in glomerular filtration rate and creatinine, and in case of kalium, it showed experiencing the trials and errors in the onset of transformative behavior. Lastly,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ll the learners who completed the curriculum showed critical reflection, information sharing with others, practice plan establishment, and knowledge learning for behavior, but it was found that they didn"t feel comfortable with transforming into new roles in traditional family relations or work relations. Based o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procedure models utilizing the principles of transformative learning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