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깨 종실의 항산화 성분 정량분석 연구

        柳守魯,李正日,姜三植,崔彰烈 韓國作物學會 1992 한국작물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고항산화 양질 육종의 체계확립을 위해서 참깨에 있는 특수성분인 sesamin, sesamolin의 표준물질을 동정하고 그 분석기술을 개발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참깨로부터 sesamin, sesamolin 성분을 분리하여 화학적 구조를 분광학적 방법(UV, 1 H와 13C-NMR, MS)으로 확인하여 sesamin, sesamolin의 표준물질을 동정하였다. 2. 참깨 lignan성분의 추출 및 분리에는 Unsaponifiable fration 보다 MeOH 냉온처리가 더 효과적이었다. 3. 검량선의 회귀직선의 방정식은 sesamin에서 y=53924.43+1277.93x(r=0.9993)이었고 sesamolin의 경우는 y=11034.95+1188.38x(r=0.9994)로 추정되었다. 4. 한국산 참깨의 lignan 성분함량은 단백깨의 경우 sesamin 0.42% sesamolin 0.3%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s on the lignan components from sesame seed. Two major lignans, sesamin and sesamolin,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means of spectral methods,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by HPLC from sesame variety Danbaeggae. Separation was achieved by isocratic elution and reversed phase chromatography Develosil ODS column. The content of the major lignan components were about 0.42% and 0.30% for sesamin and sesamolin, respectively.

      • KCI등재

        온도와 일장이 참깨의 항산화성분에 미치는 영향

        柳守魯,李正日,李孝承 韓國作物學會 1993 한국작물학회지 Vol.38 No.4

        참깨품종의 온도와 일장에 따른 항산화성분 함률차이를 조사하여 참깨 재배기술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무분지형 단백깨와 수원깨 및 분지형 안산깨와 한섬깨를 공시하여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실에서 온도와 일장을 달리 처리하여 시험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장과 온도처리에 따른 참깨 항산화함량의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2. 온도의 차이에 따라 20/15℃ (주간온도/연간온도)에서 sesamin 0.22%, sesamolin 0.16% 인데 비하여 30/25℃ 에서는 sesamin 0.28%, sesamolin 0.19%를 보여 저온조건 보다는 고온조건에서 항산화 성분함량이 높았다. 3. 일장의 차이에 따라 11시간 일장에서 sesamin 0.24%, sesamin 0.26%, sesamolin 0.20%와 큰 차이가 없었다. 4. 따라서 참깨 항산화성분 함량은 일장의 길이보다는 온도의 차이에 의해 크게 영향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Sesame cultivars were treated with temperature and daylength to determine the environmental variance of Antioxidant content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phytotron with 11, 13, 15hours of daylength and 20/15, 25 120, 30/25~circC (day / night) of temperature treatment. Varietal differences of antioxidant content were significant by the temperature and daylength treatment. Antioxidant content was incrased at higher temperature(25/20~circC , 30/25~circC ) and daylength(13hours) but decreased at lower temperature (20/15~circC ), short daylength (l1hours) and long day length (15hours) condition. Sesamin content were showed 0.06% difference as maxium by the temperature treatment, while 0.03% by the daylength treatment. Sesamolin content were showed 0.03% difference as maxium by the temperature treatment, while 0.01% by the daylength treatment. The antioxidant content was influenced by the increased temperature than daylength.

      • KCI등재

        참깨 초형별 등숙에 따른 항산화성분 함량의 변화

        柳守魯,李正日,崔彰烈,姜三植 韓國作物學會 1993 한국작물학회지 Vol.38 No.1

        참깨 종실의 등숙진전에 따라 항산화성분, 함유률 및 천입중을 조사분석하므로써 품질향상을 위한 신품종육성과 재배기술 개선에 기초정보로 이용하고자 무분기형 단백깨와 수원깨, 분기형 안산깨와 한성깨를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기형 참깨는 sesamin 함량, sesamolin 함량이 축적시기가 개화후 10일경부터 무분기형 참깨는 개화후 20일경부터 급격한 함량증가를 보여 분기형의 참깨에서 축적시기가 다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후 43일 이후에는 약간의 함량감소를 보였다. 2. 참깨 과성에 따라 sesamin 함량은 3과정 참깨에서는 개화후 10일부터 40일까지 완만한 함량증가를 보인반면 1과성 참깨는 개화후 10일부터 30일까지 급격한 함량증가를 보였으며 sesamolin 함량은 3과정 참깨는 개화후 10일부터 50일까지 완만한 함량증가를 보인반면 1과정 참깨는 개화후 10일부터 30일까지 급격한 함량증가를 보여 1과성 참깨에서 축적시기가 다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3. Sesamin 함량, sesamolin 함량, 함유률, 천입중의 급격한 증가시기는 개화후 20일에서 40일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여 이 시기가 동화저장양분이 종실로 전환하는 시기일 것으로 생각된다. 4. 2차 회귀방정식에 의해 최대에 달하는 시기는 Sesamin 함량 43일, sesamolin 함량 45일, 함유률 47일, 천입중이 48일로 추정되었다. 5. 따라서 참깨의 유질이 가장 우수한 생리적 성숙기는 개화후 43일에서 48일 사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n antioxidant component as affected by process of grain filling in different plant types of sesame. Sesamin and sesamolin as antioxidant components, oil content and seed weight were investigated for two plant types with different by branching habit. The sesamin and sesamolin contents in grains followed a pattern of increase immediately after flowering in branch type and monocapsule habit than non-branch type and tricapsule habit. But they started to decrease around 45 days after flowering, which oil content and seed weight continued to increase until maturity. The sesamin content increased quickly up from 10th to 40th day after flowering and showed almost maximum at 43th day after flowering. The sesamolin content increased quickly up from 20th to 30th day after flowering and showed almost maximum at 45th day after flowering. The oil content increased quickly up from 20th to 30th day after flowering and showed almost maximum at 47th day after flowering. The seed weight increased quickly up from 20th to 40th day after flowering and showed almost maximum at 48th day. The sesamin content, sesamolin content, oil content and seed weight showed almost maximum at from 43th to 48th day after flowering. So that this period was considered to be of physiological maturity.

      • KCI등재후보

        Thin-layer chromatographic separations of unsaponifiable components in seed oil of wild and cultivated sesame

        Su Noh Ryu(柳守魯),Jung Il Lee(李正日),Chul Whan Kang(姜哲煥) 한국육종학회 1995 한국육종학회지 Vol.27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s on the unsaponifiable components in sesame seed. Four major lignan, sesamin, sesamolin, sesamol and sesangolin were analyzed to provide fine separation of unsaponifiable component fractions of seed oil in four wild and three cultivated sesame varieties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The mean content of unsaponifiable components extracted from cultivated sesame oil was 2.4% (ranged 2.2 to 2.7), while that of wild ones showed 3.3% (ranged 2.3 to 4.0). The mean content of unsaponifiable components of wild species was higher than that of cultivated ones. Silicagel plates and chloroform/diethyl ether (9 : 1, v/v) as mobile phase on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were utilized in TLC analysis. In one-dimensional TLC separation, sesamin, sesamolin, sesamol, sesangolin and tocopherol were identified as spots at the Rf values of 0.66, 0.76, 0.52, 0.66 and 0.88, respecitively. Sesamin and sesangolin were appeared at same spots with Rf value of 0.66. In two-dimensional TLC separation, sesamin and sesangolin showed different TLC pattern. This two-dimensional system could be adopted to provide pure fractions in preparative experiments for sesamin and sesangolin measurements of seed oil. Some other minor spots were also observed in S. alatum and S. radiatum showing void of sesamolin but containing sesangolin.

      • KCI등재

        율무 품종의 전분함량 및 호화 특성

        李正日,柳守魯,許輪淳,金律鎬,金光鎬 韓國作物學會 1994 한국작물학회지 Vol.39 No.1

        율무전분의 호화특성을 조사하여 품질개량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보존 및 일본도입 36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전분, 아밀로스 함량 및 호응집성(Gel consistency)과 아밀로그램 특성을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율무품종의 전분함량차이는 50.9~78%로서 평균 60.5%를 함유하였다. 2. 율무전분의 아밀로스 함량은 0~7.2%의 범위였고 gel의 길이는 평균 94mm로써 전형적인 찰전분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3. 호응집성이 강산종, 추전종, 중리재래 등은 medium에 가깝고 대부분 품종이 soft에 속하였다. 4. 공시율무의 amylograph의 호화온도, 최고점도, 최저점도 및 break down은 각각 69.0~75℃ , 210~520 BU, 205~425 B 및 5~135 BU의 범위로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5. 품종간 차이가 현저했던 아밀로그램 특성은 break down type이었고 일반적으로 율무 품종은 set back이 낮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s on the starch quality improvement breeding of Job's tears. Starch, amylose, gel consistency and amylogram characteristics of seeds were investigated in 36 varieties of domestic and introduced Job's tears. Starch content was distributed between 50.9 and 78% with a mean of 60.5%. The variation observed in amylose content ranged from 0 to 7.2% with the average was 5.2%. Kangsanjong, Chujeonjong, Chungrijong showed medium gel consistency. However, many Job's tears tested showed soft gel consistency. Varietal differences of amylogram characteristics was also found at break down. In general, job's tear starch showed lower value of setback.

      • KCI우수등재SCOPUS

        산약(山藥)의 기내배양(器內培養)에 미치는 배지(培地) 및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과 활성탄(活性炭)의 영향(影響)

        이효승,이정일,류수로,김석동,김성민 한국약용작물학회 1994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2 No.1

        마산약(山藥) 경절편(莖節片)의 기내조직(器內組織) 배양(培養)을 위해서 적정배지(適正培地)가 선발(選拔)됨에 따라 이에 적합시(適合時) 되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활성탄(活性炭)의 처리농도(處理濃度)를 구명(究明)함으로서 기내조직(器內組織) 배양(培養)에 의(依)한 증식율(增殖率)를 높이코져 무기강기성(無機강基性)이 낮은 1/8MS, White에 IAA와 NAA를 1~4mg / l 로 하고 활성탄(活性炭)을 0, 1, 3, 6g / l 수준(水準)으로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1/8MS 배지(培地)의 경우 1~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3g / l 첨가(添加) 하므로서 Shoot 유기(誘起)와 식물체(植物體)의 재분화률(再分化率)이 모두 100%에 달하는 효과(效果)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效果)는 NAA처리시(處理時)에도 같은 경향(傾向)이 있었다. 2. White 배지(培地)의 경우 IAA 1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6g / l 첨가처리(添加處理)와 NAA 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 만이 식물체(植物體)의 재분화율(再分化率)이 l00%에 달하였으나 그 외(外) 처리(處理)에서는 대부분(大部分) 저조(低調)하였다. 3. 발육상태(發育狀態)를 보면 1/8M /S 배지(培地)의 경우 IAA 2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油處理)와 NAA 4mg / l, Kinetin 2mg / l 활성탄(活性炭)을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 하므로서 모두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2.7개(個)이고 발육상태(發育狀態)도 활성탄(活性炭)0g / l, 3g / l, 6g / l 처리(處理)보다 양호(良好)하였다. 4. 그러나 White 배지(培地)의 경우 IAA 1~4mg / l, NAA 1~mg / l 그리고 Kinetin 2mg / l 처리(處理)의 대부분(大部分)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거의 1개체(個體) 정도(程度)이도 발육상태(發育狀態)도 불량(不良)하였으나 NAA 4mg / l Kinetin 2mg / 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1g / l 첨가처리(添加處理)에서 만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개이고 개체당(個體當) 발근수(發根數)가 월등(越等)히 많았다. 5. 실험결과(實驗結果) 마 경절편(莖節片) 배양(培養)의 Shoot유가(誘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배지(培地)는 1/8MS+1AA 2mg / l+Kinetin 2mg / l+활성탄(活性炭) 1g / l 이였으며, White+NAA 4mg / l+Kinetin 2mg / l+활성탄(活性炭)1g / l 로 처리(處理)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結果)를 얻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propagation condition through stem node tissue culture of yam supplemented with concentration levels of growth regulators and activated charcoal in 1 /8MS white media. For shoot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yam stem node tissue wre more effectivein combination of auxin, kinetin and activated charcoal than combination of auxin and kinetin. Shoot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were more effective in 1/8 medium suplemented with 1AA 2mg / l, kinetin 2mg / l and activated charcoal 1g / l than in white medium, but in case of white medium, Shoot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wre effective in culture medium supplemented with NAAa 4mg / l, kinetin 2mg / l and activated charcoal 1g / l. Growth status in optimal propagation condition from yam stem node tissue brought the results of multiple plant, elongated plant height and increase in number of leaves and roots, but tissue culture effect by kinds of media in number of multiple plant were more effective in 1 /8MS medium than in white med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