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새문안교회의 첫 한국인목사 차재명, 그의 한국교회사에서의 전환기적 위치

        류금주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5 피어선 신학 논단 Vol.4 No.1

        The Rev. Jae-Myeong Cha was the first Korean minister in charge of the Sae Mun An Presbyterian Church, which had been called as ‘the Mother Church’ of Korea. The length of the term of his ministry in this church extended over forty years. Incidently his ministry started with the transitional stage when the Korean churches switched over from the ages of Mission to the ages of Church, and it came to an end under the brutal atmosphere of Japanese military reign which had unceasingly menaced the existence of Korean churches. As the first Korean minister of the Sae Mun An Church, the Rev. Cha’s sense of the evangelical mission ranged over to that of Dr. Horace G. Underwood the founder of this church. Underwood, as the first minister-missionary to Korea, had long cherished to complete his divine mission as it was set up from above, id est, the building modern Korea and her churches on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Gospel. With this sense of mission, he founded the Sae Mun An Church in Seoul the capital city of modern Korea, and that was one of the reasons why this church had been called as ‘the Mother Church’ of Korea. As the minister of this ‘Mother Church’ of Korea, the Rev. Jae-Myeong Cha had never lost for a while the enlarged sight of his ministry extended over to the territory of the entire churches of Korea. He assumed his missions were to cover the whole area of the Korean churches, and to make connection between the period of the Mission and that of theChurch. He assured himself that it was his assigned tasks to be completed within his defined time of ministry. When he was the first Moderator of the Korea National Christian Council in 1924 and after that as the Accountant of this Council for several years, the Rev. Cha accomplished with great efforts building a bridge between the Western missionaries and Korean pastors as well as the Presbyterian churches and the Methodist churches. In reality the Korea National Christian Council was the first ecumenical organization which called to set up uniting the two councils of the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es. There had been two Councils: one was the General Council of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in Korea founded in 1905 among the Missions, and the other was the Federal Council of Presbyterian and Methodist Churches founded in 1918 among the Korean churches. These two Councils were finally united in 1924, and the Rev. Cha was its first Moderator. It is to be noticed that the Rev. Cha connected the past and the future of Korean churches by compiling the Chosen-Yesukyo-Changrohoe-Saghi [An Annals of Chosen Presbyterian Churches] on one side, and by drawing Korean churche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Sunday School Education on the other. While he was serving for a considerable length of time as a board member of the Foreign Missions of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he envisaged and cherished the brilliant world which came together as a one Body of humanity by the Gospel propagated thoroughly by the Korean churches. Actually such was the lofty dream of Dr. Horace G. Underwood. The unfortunate accident of the expulsion of Rev. Jae-Myeoung Cha from the Kyeong Seong Presbytery in 1938 on the basis of his consent at his own personal decision to the appointing himself as the Trustee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demonstrates incidently two critical problems which troubled Korean churches in those days. Firstly, it exposed the struggle and jealousy between the Kyeong Seong Presbytery and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was then suspected by the churches in Seoul which were members of the Kyeong Seong Presbytery that it was in every case manipulated by the North Western churches. Secondly, it indicates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he Korean churches, id est, the transition from the ages of Church to the ages of Surviving. In 1939 the Rev. Cha willingly accepted t... 차재명은 한국의 ‘어머니 교회’로 불리는 새문안교회의 첫 한국인 위임목사였다. 그는 새문안교회에서 1920년 12월부터 1941년 8월까지 만 20여 년의 시간을 목회했다. 그의 목회의 시작은 한국 교회가 선교의 시대에서 교회의 시대로 전환하던 시기와 맞물리고 있었다. 그리고 그는 일제말의 군국주의 전횡이 한국 교회를 휘몰아칠 때 그 압박을 견디던 중 새문안을 떠나게 되었다. 한국의 첫 목사선교사 언더우드가 세운 새문안교회, 이곳의 첫 한국인목사로서 차재명이 감당했던 사역의 시야는 근대 한국 교회의 기틀을 잡아가면서 걸머졌던 언더우드의 사명의 중량에 가 닿았다. 차재명은 교회의 시대에 임한 한국 교회 전반을 향해 일하고 있었다. 선교의 시대와 교회의 시대 사이의 연계 그것이 그의 사명의 정계(定界)였다. 그는 기왕의 선교사와 한국인 각각의 장감연합기구를 하나로 합친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의 초대회장과 그 이후 수년간 동 기구의 회계로 일하면서 선교사와 한국 교회 사이에서, 장로교와 감리교 사이에서 가교(架橋)의 역할을 수행해 갔다. 그가 『朝鮮예수교長老會史記』를 편찬한 일이나 한국의 주일학교교육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인 일은 한국 교회의 과거세대와 미래세대를 연계하는 사명의식에서였다. 한편 1929년 제18회 총회에서 장로교 총회장으로 선임되던 무렵 차재명은 줄곧 총회 외국전도부에서 일하고 있었다. 언더우드가 꿈꾸던 한국과 세계가 복음으로 하나 되는 일이 외국전도에 기울인 그의 노력에서 구체화 되고 있었다. 한편 1938년 차재명이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이사를 수락한 문제를 두고 벌어졌던 경성노회와 총회와의 갈등은 우선 당시 한국 교회 내에 실재했던 서북 교회와 서울 교회 사이의 갈등을 노출시켰을 뿐 아니라 나아가 한국 교회가 교회의 시대에서 일제 말 군국주의 전횡 아래서의 생존의 시기로 옮겨갔음을 드러내주는 일이었다. 1939년 차재명이, 그의 교회 위주의 보수적인 신학에도 불구하고, 조선신학교 기성회 이사로서 활동한 일은 일제말 신학교육의 중단과 그로 인한 한국 교회 미래의 단속을 염려한 그의 충심에서 비롯되었다. 그것은 서울과 서북 그 신앙지형(信仰地形)을 넘어선 것이었다. 그것은 한국 교회의 ‘어머니 교회’인새문안교회의 첫 한국인목사로서 한국 교회 전반을 향해 가진 그의 사명의식에서 촉발되고 있었다.

      • 차상진의 사역과 그 역사적 위치 :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그의 사역을 중심으로

        류금주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4 피어선 신학 논단 Vol.3 No.2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is one of the significant examples of the unitive movement which were sprung from the historic Pyeng Yang Revival in 1907. Sang-Jin Cha served as the first Dean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for 7 years who was affiliated with Presbyterian Church. It had been a lengthy time which constituted as much as one third of his ministry as a Presbyterian divine. He was ordained minister in the year of 1916, and his service to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covered the whole span of his ministry in the sense that he served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directly and indirectly. In that sense it is to be ascertained that he committed himself to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throughout the whole span of his life-long ministry. The period fell on that of the time when the Kyoung Sung Presbytery to which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affiliated separated itself from the Kyoung KI Presbytery in 1932. For illustrations, he paid condolence as the moderator-elected of the Kyoung Ki Tchoong Chung Presbytery to the Underwood family when the first President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passed away; he supported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in a great extent as then the minister-in-charge of the Seung Dong Presbyterian Church; he dispatched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students as evangelists to the Kyoung Ki Province even after his resignation from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As we have seen above, his works and endeavours whatever in Korean Churches had been ever centered upon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Furthermore, his distinguished ecumenical spirit for the two major denominations(Methodist and Presbyterian) reached at large to the grand ecumenical spirit of the great H. G. Underwood. His ecclesiastical theology of the Cross and his strong conviction that Korean Churches firmly founded upon the Rock of Jesus Christ were noticeably identical with the theology of Underwood. Actually Underwood visualized that the christianized Korea should step into the stage of the world in order to bring about the united Christendom of three nations of the Far East. He had been visibly and thoroughly presented to the Korean churches as the real and the object lesson of the United Church of Korea,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when he acted as the Dean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from 1922 to 1929. He was the first Presbyterian Dean of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under the Japanese reign of Korea, and at the same time he was the first Presbyterian officer after Underwood the founder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Prior to Sang-Jin Cha the position of the Deans was occupied by the Korean Methodists only. The position of the President was also held by the Methodist Missionaries except Underwood the first President. Then there is no wonder that the Presbyterian students flourished after Sang-Jin Cha was nominated as the Dean. Furthermore, the period when Sang-Jin Cha served as the Dean was the only period when the united academic management was practically carried out by the Methodist missionary President and the Korean Presbyterian Dean. The period of the Dean-ship of Sang-Jin Cha was the significant time of transition when the chief management of the administration was held by the Presbyterian Presidents and Deans after the decease of Underwood. Accordingly it is to be said that the period when Sang-Jin Cha was serving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was the only period when every mission and every church in Korea were working together hands in hands as the ecumenical partnership. He was rightly celebrated as the real and the object lesson of the united Christian educationin Korea.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은 1907년 대부흥운동의 결과로 생겨난 장감 연합 교육사업의 대표적 실례 중 하나이다. 차상진은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첫 장로교 원감으로 7년여의 시간을 봉직했다. 그것은 목사 차상진의 사역의 거의 1/3에 달하는 오랜 시간이었다. 그런데 1916년 목사로 임직하여 그 사역을 시작한 벽두부터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이 소재한 경성노회가 1932년 경기노회로부터 분립하던 무렵까지 차상진의 사역은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을 구심으로 하여 드넓게 펼쳐지고 있었다 . 1916년 경기충청노회장에 선임된 차상진이 그 첫 임무로 동 성경학원의 설립자이자 초대 원장인 언더우드 박사의 유족을 위문한 일이나 승동교회 위임목사 당시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지원이나 피어선기념성경학원에서 물러난 후 동 성경학원 학생을 전도인으로 파송한 것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차상진 사역에서 나타나는 피어선기념성경학원 구심성은 단순한 사업적 문제에서만이 아니었다. 차상진의 장감 연합 정신은 동 성경학원의 설립자언더우드의 연합 정신에 가 닿고 있었다. 차상진의 십자가의 교회주의와 장감 양교회가 공히 예수 그리스도의 반석 위에 세워졌다는 그의 굳건한 사상은 기독교한국을 중심으로 동북아의 삼국이 기독교국으로서의 연합을 이룰 것이라는 언더우드의 사상과 다르지 않았다. 한편 1922-1929년까지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원감으로 봉직하는 내내 그는장감 연합의 실체이자 실물교육으로서 현존하고 있었다. 차상진은 일제하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에 등장한 첫 장로교 원감이었다. 동시에 그는 설립자 언더우드 이후 첫 장로교 임원이었다. 차상진 이전의 한국인 원감은 모두 감리교 목사였을 뿐 아니라 장감 양 선교부의 선교사들이 맡아왔던 원장 역시 초대원장 언더우드 이후에는 모두 감리교 선교사였던 것이다. 차상진 원감의 부임 이후 장로교 학생들이 크게 증가한 것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었다. 나아가 차상진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재임 기간은 유일하게 장감 연합 학사운영의 실물교육이 가능했던 때였다. 차상진의 재임기간은 언더우드 서거 후 계속된 감리교 원장과 원감의 학사운영 주축이 다시 장로교 선교사 원장과 원감으로 옮겨지던 과도기였다. 따라서 차상진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재임기간은 감리교 원장과 장로교 원감, 서양 선교사 원장과 한국인 목사 원감이 나란히 재임했던유일한 경우였다. 그는 장감 연합 교육의 실체이자 실물교육으로서 피어선기념성경학원 내에 현존하고 있었다.

      • Christian leadership Ⅰ

        류금주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003 전인간호과학연구 학술모음집 Vol.2 No.-

        먼저 훌륭하신 고신대 간호대학생 여러분을 만나게 되어서 반갑습니다. 저는 전문적으로 강의하는 사람이 아니고 제가 간호 현장에서 느낀 것들을 같이 나누는 시간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제가 지난주에 개인적으로 굉장히 곤란하고 어려운 일이 있었습니다. 저희 집 양반이 서울 아산 병원에서 심장 혈관 이식 수술을 받았거든요. 강은실 교수님이 저에게 강의 부탁을 했을 때, 그런 상황에서 못하겠다고 말씀 드렸는데 매우 간곡하게 다시 말씀 하셔서 하나님께 모든 것을 맡기자, 하나님이 알아서 해주실 것이라고 생각하고 제가 yes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그곳에 있는 동안에 하나님께서 고신 의료원에 매우 관심을 가지시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수술이 끝나고 회복 스케줄이 너무 너무 앞당겨 지는 겁니다. 그래서 그저께 남편을 퇴원시키고 이렇게 가벼운 마음으로 고신 의료원으로 올 수 있었던 것을 생각 할 때, 이건 저를 생각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이 아니라 고신 의료원에 대한 하나님의 마음이 얼마나 애틋하시고 정말 사랑하시는 지를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제 바람직한 기독 간호사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나누려고 합니다. 저는 어떤 문제가 있을 때도 그 문제를 끝까지 파헤치는 습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 제목으로 파헤치자면 먼저 바람직한 사람은 누구인가? 어떠한 사람이 과연 바람직한 사람인가? 그리고 그 다음에 기독인으로 어떠해야 하는가? 그 다음에 간호사 기독 간호사로서는 어떠해야하며 지도자는 또 어떠해야 하는가? 이것에 대해서 단어를 분석해 놓고 흘려놓고 생각해보고, 마지막으로 그렇다면 크리스천 리더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 이렇게 해서 결론을 맺고자 합니다. 저에게 주어진 시간이 길지가 않기 때문에 조금 제가 서둘러야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먼저 바람직한 사람이라는 것은 제가 생각할 때 먼저 ‘자신감이 있어야 되겠다.’ 그 다음에 ‘용기가 있어야 되겠다.’ 그 다음에는 ‘책임감이 강한 사람이어야 되겠다.’ 그다음에 ‘대범한 사람이어야 되겠다.’ 이렇게 제가 4가지로 나누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 KCI등재

        韓國敎會 地域理解의 變化 : 地域移動의 問題를 中心으로

        류금주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05 신학논단 Vol.41 No.-

        The idea of localization in Korean Church had a great mark in the latter part of 1960's. This period made the very epoch separating Korean church history in two parts, i. e. the church under the cross and the church upon daylight. Only after the restoration from the catastrophe of Korean War, Korean church could draw virtually new and independent church image on the whole aspects. When we think of that fact, we could understand the idea of localization has paralleled with the stream of whole history in Korean church. There are two distinct stream of the idea of localization in Korean church. The one is 'concentric' and the other is 'eccentric' Before the latter of 1960's, the localization of Korean church grew farther and farther according to the movements of Korean people. But it had a passive character, which was resulted by from the emigration and the refuge from the Japanese imperial regime and the national war of 1950 to 1953, This incurred a 'homesickness' for the place where they should leave with no right of choice. In turn, this passive character proved to be the inclination of being concentric in the idea of localization. They must return to the centre from which they could not but left. But a new epoch appeared. The time of 'urbanization' came with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 after the middle of 1960's. Korean church changed her idea of localization. The place she ought to rest is the place her congregation are going to. After all, the eccentric of localization were sought after very actively. Furthermore the evangelization was vitalized in Korean church at this period. On the one hand, a special character appealed in the churches from North Korea who moved to South Korea in the time of Korean War. In the middle of the period of being eccentric, these churches showed an inclination of being concentric. For example, they liked to use their original name in the churches they have pioneered at home and abroad. It seems hard to be changed for these tendency of the churches until the recovery of their home, the original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