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2세와 만3세 영유아의 표현언어 분석

        도미숙(Suk Mi Do),오은순(Enu soon Oh)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영유아의 자유놀이 상황에서 만2세와 만3세 영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중 표현언어 발달을 살펴보고 분석해 보고 비교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2와 만3세 영유아 12명으로 만2세 영유아 6명과 만3세 영유아 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영유아들의 자연스런 표현언어 발산을 위해 6종류의 놀이 환경을 조성하였고 6종류의 놀이 환경은 그림책 읽기, IPTV 애니메이션, 블록놀이, 점토놀이, 병원놀이, 콩 주머니 던지기이다. 자료 분석은 선행연구결과(신경혜, 1994; 정옥분, 2003; 김정미, 2009; Bandura, 1973)에 따라 8가지 범주로 분류해 보았다. 분류된 8가지 범주는 의성어, 모방/반복 언어, 부정어, 혼자언어, 상황에 적절한 언어, 설명 언어, 질문/요청언어, 음운언어이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2세 영유아가 놀이상황에서 사용하는 표현언어를 살펴본 결과 모방/반복언어(30.89%)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상황에 적절한언어(24.49%)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부정어(13.72%), 질문/요청언어(12.59%), 의성어(11.21%), 혼자언어(5.72%), 설명언어(0.91%), 음운언어(0.46%)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만3세 영유아는 상황에 적절한언어(42.62%)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질문이나 어떤 일을 요청하는 질문/요청언어(16.82%)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모방/반복언어(14.77%), 의성어(9.16%), 부정어(6.73%), 혼자언어(6.73%), 설명언어(2.99%), 음운언어(0.19%) 순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로 의성어 발달의 차이는 만2세 영유아의 의성어의 표현언어 사용의 특징은 대부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의성어(63.27%)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다음으로 기타의성어(24.29%)를 사용하였다. 반면 만3세 영유아들은 기타의성어(38.76%)를 가장 많이 표현했으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의성어(36.73%)를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alyz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2-3 year old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in the free play situation constructed with one type of domain as free play environment for infants. A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Observation on expressive language used by 2-year-old infants in play time indicates that imitated/repeated language (30.89%) is used the most time, followed by language appropriate in a certain situation (24.49%), and negative language (13.72%), question/request language (11.21%), phonological words (11.21%), talking-to-oneself language (5.72%), descriptive language (0.91%), and onomatopoetic words (0.46%) are in order according to frequency of use. On the other hand, language most frequently used by 3-year-old infants is language appropriate in a certain situation (42.62%) and the next one is question/repeated language (16.82%). The following ones are imitated/repeated language (14.77%), onomatopoetic words (9.16%), negative language (6.73%), talking-to-oneself language (6.73%), descriptive language (2.99%), and phonological words (0.19%). The difference in language development based on 8 types summaries as follows.

      • KCI등재

        보육교사의 긍정성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오은순(Oh, Eun-Soon),김윤희(Kim, Yoon-Hee),박명숙(Park, Myeong-Suk),도미숙(Do, Mi-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긍정성과 그릿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릿이 긍정성과 직무스트레스 사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D 지역의 20개소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2018년 8월 9일∼8월 20일에 걸쳐 설 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설문지의 발송과 회수는 직접 방문 또는 우편으로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98부의 질문지 중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응답 및 결측치가 많은 질문지 63부를 제외하고 최종 235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 여 SPSS 프로그램으로 기초 통계와 상관분석,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구성하고 측정모형 분석 후 구조모형 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보육교사의 긍정성과 그릿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긍정성과 직무스트레스, 그릿과 직무스트레스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직접효과 검증에서는 보육교사의 긍정성은 그릿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긍정성과 그릿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그릿은 긍정 성과 직무스트레스 사이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릿은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중요한 요소임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and grit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on job stress and whether grit mediates between positive and job stress.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August 9 and August 20, 2018, targeting child care teachers in 20 day care centers in D area. The questionnaire was sent and collected in person or by mail. Of the 298 questionnaires retrieved, the final 235 par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ept 63 of which were missing or inaccurate responses and missing valu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basic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AMOS program were used as the SPSS program. After constructing the research model and analyzing the measurement model,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ositive and grit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 care teacher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and job stress, grit and job stress. In the direct effect test, the positiveness of the child care teache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grit. However, positiveness and grit did not appear to affect job stress.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revealed that grit completely mediates between positive and job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grit is an important factor in managing job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