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결혼이주자를 위한 지원정책 인지에 관한 연구

        노평선 안양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s birth rate was 1.08 in 2005, but increased to 1.23 in 2010. The birth rate has increased reportedly because of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Korea,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borns in Korea in 2010 was 5.7% higher than 2009, bu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borns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6.8% higher than 2009. The subjects who can contribute to resolving the low birth problem of Korea can be limited to immigrant women. It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right service policies for these women at the right time. This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service policies for immigrant women’ has performed the following analysis. The survey was performed in Seoul and in Gyeonggi region. The subjects were 140 immigrant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The results of survey were analyz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F-test, χ2-Test, T-test, and ANOVA Test using the SPSS Win. 17.0 program for the statistics. Then,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for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their understanding. The following we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considering the services provided by local centers or institutions for immigrant women, 67.1% responded that they are ‘aware’ and most of them responded that they learned about the services ‘through promotions of local centers or institutions.’ The most popular service they used was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was used by 65.3% and 87.3% of them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On the other hand, 64.4% of people who were unaware of the services provided by local centers or institutions responded that they have ‘no information.’ Second, in terms of specific training services that immigrant women need, 37.0% responded that they need ‘vocational training’ and the service they wanted to receive to help their families was ‘stable occupation of husband’ for 31.4%. Also, 27.1% chose ‘technical positions’ for job preference and 29.3% chose 'various training programs (cooking, culture, etc)' for preferred government-funded services. Third, in terms of immigrant women's satisfaction in Korea, the average score for ‘satisfaction in Korea after immigration’ was highest at 3.77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for ‘availability of information on polic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was lowest at 2.94 points. In terms of their desires in Korea, the average score for ‘desire for bilingual education for the offspring’ was highest at 4.33 points, whereas the average score for ‘parent counseling for childcare’ was lowest at 3.90 points. Fourth, 35.0% of immigrant women experienced problems with 'communication' in Korea. The subject of conflict was ‘husband’ for 36.4% and the subject of discussion was also ‘husband’ for 41.7%. In terms of prejudice or discrimination they experience in Korea, 54.3% felt discrimination when they experienced ‘language barrier’ and 33.6% said that the severity of prejudice or discrimination was ‘average.’ Fifth, in terms of immigrant women's relationships with the 'subject of conflict’ or 'subject of discussion' in case of problems in Korea, 'husband' was the most popular subject of discussion regardless of the subject of conflict. In terms of the experience of prejudice or discrimination in Korea and the severity such experience, immigrant women felt 'very severe' or 'severe' discrimination when ‘newspapers or TV news reported negatively about immigrant women.’ Sixth,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of service policies based on the general demographics of immigrant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ountry of origin (p<.001), duration of stay (p<.05), and place of stay (p<.01). Seventh, when asked whether the service policies are based on the needs of immigrant wo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occupation (p<.05). Eigh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migrant women's adaptation to Korea according to the degree of awareness of service policies (p<.001). Nin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ed of service policies for immigrant women in terms of language/learning/ emotional services for the offspring (p<.05) and bilingual education for the offspring (p<.05). Finally, the factors that affected immigrant women's awareness of service policies included ‘the Philippines as the country of origin,’ ‘place of stay,’ and ‘participation in service policies.’ In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re subjects are 'unaware' of the service policies. This is because there are limited places where immigrant women can meet other people. Considering that 72.2% of immigrant women cannot use the center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subjects of survey were not surveyed in their daily activity zone. Most subjects found the need for 'bilingual education for the offspring' and more information on service policies led to better awareness, manifesting that more active regional promotion would be effective. In the future, effective methods of promotion should be discussed based on the circumstances of society. 한국의 출산율은 2005년에 1.08명이었는데 2010년에는 1.23명으로 증가하였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정의 출산율이 기여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2010년 한국 출생아 수 증가율은 2009 년에 비해 5.7% 증가했지만 다문화 가정의 출생아 수 증가율은 2009년 대비 6.8%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대상자는 여성결혼이주자로 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여성결혼이주 자를 위한 지원정책을 적시에 가장 적절하게 제공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여성결혼이주자를 위한 지원정책 인지에 관한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은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실시하였는데, 설문 대상자는 결혼이주자 140명이다. 설문 결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SPSS Win.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F검증, 카이제곱 검증과 T-검증 및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지여부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분석을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정책에 있어 센터나 기관에서 시 행하고 있는 지원정책에 대해 알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알고 있 다’가 67.1%이며, 알게 된 경로는 ‘기관이나 센터의 홍보를 통해서’가 가장 많았다. 이용한 지원정책은 ‘한국어 교육’이 65.3%로 가장 많았으 며, 센터나 기관의 정책 지원을 받고나서의 만족도는 87.3%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나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지원정책을 모르는 이유는 ‘정보 가 없어서’가 64.4%로 가장 많았다. 둘째, 결혼이주자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정책에 있어 가장 받고 싶은 교육은 ‘직업교육’이 37.%로 가장 많았으며, 가정생활을 돕기 위해 가장 먼저 받고 싶은 지원은 ‘남편의 안정적 직업’이 31.4%로 가장 많았다. 취업 시 선택하고 싶은 직종은 ‘기술직’이 27.1%로 가장 많았으며, 정부 의 지원 사업을 선택한다면 ‘각종 교육(요리, 문화 등)’이 29.3%로 가장 많 았다. 셋째, 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 경험에 있어 ‘이주 후 한국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3.7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문화지원정책에 대한 정 보 취득’이 평균 2.94점으로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느끼는 정책욕구에 있어서는 ‘자녀의 이중 언어 교육에 대한 욕구’가 평균 4.3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자녀를 위한 부모 상담’이 평 균 3.90점으로 가장 낮은 욕구를 보였다. 넷째, 결혼이주자가 한국생활에서의 불편사항에 대해서는 ‘언어소통’이 35.0%로 가장 많았다. 주변사람들 중 충돌 대상에 대해서는 ‘남편’이 36.4%로 가장 많았으며, 의논하는 대상에 대해서도 ‘남편’이 41.7%로 가장 많았다. 한국에서 겪는 편견이나 차별을 느끼는 경우에 대해서는 ‘언어소통이 안될 때’가 54.3%로 가장 많았으며, 편견이나 차별을 겪는 정도에 대해서는 ‘보통’이 33.6%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결혼이주자의 주변사람들 중 ‘충돌대상’이나 한국에서 불편한 일을 겪을 때 ‘의논하는 대상’과의 관계에 있어 충돌대상이 누구이든 의논대상은 모두 ‘남편’이 가장 많았으며, 한국에서 겪는 편견이나 차별 을 느끼는 경우와 그 정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신문이나 뉴스 등에서 이주여성을 나쁘게 보도할 때’는 ‘매우 많이’ 또는 ‘많이’ 차별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결혼이주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원정책 인지여부에서 는 출신국가별(p<.001), 거주기간별(p<.05), 거주지별(p<.01)로 유의미한 차 이를 보였다. 일곱째, 결혼이주자에게 필요한 정책에 따른 정책인지 여부에서는 원 하는 취업직종별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다. 여덟째, 결혼이주자의 지원정책인지 여부에 따른 한국생활 적응상태에 서는 지원정책 습득정도별로 유의미한 차이(p<.001)를 보였다. 아홉째, 결혼이주자의 지원정책인지 여부에 따른 지원정책 필요도에 서는 자녀의 언어?학습?정서적 지원(p<.05), 자녀의 이중 언어 교육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자의 지원정책 인지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면 ‘출신국가의 필리핀’, ‘거주지’, ‘지원정책습득정도’가 지원정책 인지여 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지원정책에 대해 ‘아는 대상자’가 ‘모르는 대상자’에 비 하여 많았다. 그것은 결혼이주자를 만날 수 있는 곳이 한정되어 있기 때 문이다. 여성결혼이주자의 72.2%가 센터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서는 설문 대상자를 생활일선에서 직접 만나지 못했다는 한계를 나타낸다. 지원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자녀의 이중 언어 교육’에 대해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원정책에 대한 정보를 많이 알수록 지 원정책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홍보는 지역성을 살려서 많 이 할수록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앞으로의 과제는 홍보를 어떻게 효과 적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그 과제는 후진들이 현 실정에 맞는 해결책으로 제시해 주기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