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시리아 자지라 지역 역사의 재구성: 시리아 동방 정교회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사토노리코 ( Sato Norik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6 韓國文化人類學 Vol.39 No.2

        이 논문의 목적은 과거 동부 아트리나 지역에 거주하던 시리아 정교회 기독교도들의 지정학적 역사 재구성 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아트리나는 1915년에 기독교에 대한 박해와 대규모 학살이 자행되었던 곳으로, 현대 시리아 역사에서 여타 시리아정교회 기독교도들과의 관계를 보여 주는 지역이다. 시리아 정부는 종교에 관한 한, 다문화주의를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시리아정교회 기독교도들이 정부의 정책적 틀 안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할 때, 그와 같은 역사적 사건들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들은 기독교 정체성을 중시하며 고대 이래로 기독교 문화를 계승하여 왔다고 자부한다. 그러나 시리아 정부의 기본적인 입장인 아랍 민족주의는 아랍 민족 이외의 민족적 권리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시리아 정교회 교도들은 자신들의 민족적 기원마저 은폐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을 감내하여 왔다. 시리아정교회 기독교도들은 이와 같은 사회 역사적 배경 속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재규정하기 위하여 그들의 종교적, 민족적 기원을 재구성하고자 시도해왔다. 이와 같은 시도는 국가의 역사 재구성 과정이 엘리트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일반 대중의 참여와도 관련된다는 것을 보여 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시리아의 인도지원과 이라크 기독교도 난민들: 인도지원 수령자와 공급자가 담당하는 지원 사업에의 기대

        사토노리코 ( Noriko Sat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1 교육인류학연구 Vol.14 No.3

        이라크에서의 연합군 군사 활동으로 인해 많은 이라크 난민들이 생겨났다. 난민들의 대부분은 시리아와 요르단과 같은 주변국으로 피난하였다. 시리아는 120만 명의 이라크 난민들을 받아들이고 있지만, 시리아에 거주하는 이라크 난민들은 노동 허가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곤란한 상황에 있다. 이라크에서는 종교적 및 민족적 다문화주의를 허용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에 있다. 거기에서 이라크 기독교 교도난민들은 고향에 돌아갈 수 있는 가능성은 적다. 본 논문은 시리아의 거주하는 이라크 난민들에 대한 인도지원적 활동의 문제를 검토한다. 그 사례로서 시리아의 도시 알레포(Aleppo)에 거주하는 기독교교도들이 수강한다고 하는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검토한다. 그것은 IT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ICDL컴퓨터 훈련 프로그램이다. 이 직업훈련 교육을 기획하는 시리아의 기독교 교도들은 학습 과정 안에서 IT기술이외에 공부하는 기회를 기독교 교도난민들에서 주고자 시도한다. 이 학습 항목에 포함된 부분은 ``숨겨진 교육과정`` 이다. 그것은 그들의 교육과정을 통해 IT 기술을 취득함으로서 난민들에게 시리아에서 생활하는 방법을 주는 것이다. 그렇지만 ICDL을 공부하는 난민들은 그 잠재적 경제 가치를 인식하지 않는다. 본 논문은 이라크 난민에게 대한 직업훈련의 문제를 정치적 및 사회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The operations of the Coalition Forces in Iraq and subsequent sectarian conflicts among the Iraqi population have created massive population movements, and so many Iraqis have fled to the neighbouring countries of Syria and Jordan. Syria has had to shoulder the burden of hosting 1.2 million Iraqi refugees. Iraqi Christian refugees have little prospect of returning home, due to the present and continuing trend of weakening religious and ethnic pluralism in Iraq. The Iraqi refugees in Syria are officially regarded as temporary residents, and so are deprived of the means with which to establish their lives in Syria. This paper addresses the question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mes which have been organized to support Iraqi refugees in Aleppo, Syria, as a part of humanitarian operations. I present one such activity, called the ICDL(International Computer Driving Licence) training course, by which Iraqi Christian youth in Aleppo can participate and learn IT skills. The organizers seek to include in their teaching their idea that Iraqi Christians in Syria should acquire marketable skills in order to integrate them into Syrian society and improve their prospects of living successfully in Syria. Yet Iraqi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is course do not recognize its economic potential, but use the facilities as a place of refuge from the discrimination and hardship they suffer in their daily life in Syria. I examine the problems experienced by the vocational training organizers and their students due to th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related to these refugees.

      • KCI등재

        일본의 해양정책: “반응국가” 로부터의 탈피?

        사토노리코 ( Noriko Soto ),김진기 ( Jin Ki Kim ) 현대일본학회 2013 日本硏究論叢 Vol.37 No.-

        본 논문에서는 ``반응국가(reactive state)``의 시각에서 일본의 해양정책이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해양기본법이 성립하기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동중국해에 대한 일본의 해양정책이 국가전략, 국제체제의 성격, 국가기구라는 측면에서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양기본법 성립 이전과 이후 나타났던 세가지 현상에 대한 일본정부의 대응 또는 정책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해양기본법 성립 이전 양국 간 주요쟁점으로 부각되었던 2004년 춘샤오/시라카바가스전에 대한 중국의 채굴을 둘러싼 양국간의 갈등이다. 이 사례에서 일본이 나타내었던 대응태도는 양국 간의 문제를 해결하려 하기 보다는 중국과의 갈등을 피하고자 하는데에 중점을 두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양기본법 성립 이후 일본의 주요성청 또는 해양관련 기관에서 나타났던 연구결과물에 대한 검토이다. 해양기본법의 내용에는 동아시아 해역에서 중국과의 사이에서 발생할수 있는 거의 모든 사항들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양기본법 제정 이후 나타난 일본의 해양 정책이나 연구에서 중국과의 문제를 의식한 구체적 또는 실무적 차원의 대책이나 연구는 그다지 나타나고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해양기본법 제정 후에도 일본은 자신들이 주장하는 EEZ 내 중국의 조사활동이나 탐사활동을 제한하지 않았다. 셋째, 2010년 발발했던 일본 해상보안청의 순시선과 중국 어선의 충돌사건, 그리고 2012년 센가쿠/댜오위다오에 대한 일본정부의 국유화를 둘러싸고서 초래되었던 양국 간 갈등에 대한 일본의 대응태도에서도 일관성을 찾기는 어렵다. 결론적으로, 일본정부는 동아시아 해역에서 중국과의 사이에 나타나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할 구체적인 해양 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할 과제에 직면해 있으면서도 직접적으로 이 문제를 다루거나 제기하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문제의 핵심을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여전히``반응국가``(reactive state)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해양기본법 제정으로 해양에 관한 국가전략과 기구는 정비되었음에도 불구하고‘일본의 미국추수’라는 국제체제의 특성은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음을 나타내고 있는것이다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Japan`s ocean policy by referring to Kent Calder`s argument of Japan as a “reactive state” and focuses on the following three areas: Japanese national strategy for dealing with maritime resources and her territorial waters, the character of the international system for maritime security and development and Japanese administrative apparatus of maritime management. In order to pursue this goal, this article examines a shift in Japan`s ocean policy after the establishment of Basic Act on Ocean policy.The first section of this article examines Japan`s ocean policy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Act on Ocean policy in 2007.Japanese govemment was unable to pursue a systematic policy, due to the lack of coordination between Ministries which need to cooperate each other in order to tackle maritime issues. One of the typical examples that presents Japanese reactive rather than proactive approach to maritime issues is the development of Chunxiao/Sirakaba natural gas field in the Chinese EEZ, which is close to the EEZ border claimed by Japan and which may stretch underground into the disputed areas. The Second section of this article analyzes the research conducted by Japanese institutions, such as Headquarters for Ocean Policy, and Ocean policy Research Found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Act on Ocean Policy. Although the government needs to strengthen initiative relating to the development, Japanese research institutions fail to promote measures relating to the oceans in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anner, The third section of this article discusses Japanese ocean policy between 2010 and 2012 when the dispute over the territorial rights of SenKaKu/Diaoyu Islands between Japan and China culminated. Japanese lacks consistency in dealing with Chinese vessels coming into the territorial waters surrounding Senkaku/Diaoyu Islands, which Japanese claims are their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no clear vision of handling the matter, even after its nationalization of Senkaku/Diaoyu Islands. Heavy dependence on the United States for military and diplomatic support made Japan`s ocean policy still an ad hoc and expedient thing in spit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Act on Ocean policy.

      • KCI등재

        연구논문 : 시리아의 기독교인들: 공동체 역사의 재구축

        사토노리코 ( Sato Norik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5 韓國文化人類學 Vol.48 No.1

        시리아에 거주하는 다수의 시리아 정교회의 교인들(Suriyan)은 20세기 초두에 난민으로서 시리아에 이주한 사람들의 자손이다. 시리아에서 사회적 및 정치적 지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시리아 정부가 추진하는 아랍주의를 지지하는 것으로, 시리아 시민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리아 정부는 각양각색의 부족과 종교적 공동체를 시리아에 통합하기 위해서 종교적 다문화주의 정책을 추진해 왔다. 시리아의 아랍민족이 다른 종교를 신앙해 온 역사를 고려하면 시리아의 아랍문화는 복수의 종교문화의 융합에 의해 발전해 왔다고 주장할 수 있다. 시리아의 기독교인은 이 정책에 적응하는 방법으로 공동체의 창세신화를 재구축함으로써, 시리아 기원의 집단인 것을 증명하려고 시도한다. 본고는 그들이 그리스도(Christ)의 아브가르왕의 수건 전설(the Legends of the Holy Face of Edessa, or the Mandylion of Christ)을 재구축하는 과정을 검증함으로써, 시리아 정교회 교인들이 정치적 및 사회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을 검증한다. Syrian/Syriac Orthodox Christians (Suriyan) who live in Syria have a refugee origin. As a quest for their survival, these Christians have attempted to construct a model for their political identity and concentrate on communal activities, which fall within the wider framework of national politics. The Syrian government has attempted to integrate different religious, tribal and ethnic groups by adopting an ideology of religious-multiculturalism, which regards Christian heritage as one of the cultures of Syrians. The Syrian/Syriac Orthodox Christians reinterpret their origin myth which comprises the legends of the Holy Face of Edessa, or the Mandylion of Christ, and attempt to claim their apostolic origin and the continuity of their community in Syria since the time of ancient Christian Kingdom of Edessa. The legend becomes symbolic resources for these Christians to reclaim their Syrianness and to construct a secure position within the framework of Syrian national politics.

      • KCI등재

        Constructing a group identity within the Syrian nation: Religious multiculturalism and music practices among Syrian Orthodox Christians

        사토 노리코 21세기정치학회 2007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7 No.2

        This article discusses Syrian Orthodox Christians (Suriyan qadim/othodoks in Arabic) in Syria, who seek to reshape their musical tradition as a means of establishing a group identit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yrian nation. When religious multiculturalism is part and parcel of Syrian society, communal histories offer a further and richer dimension to national historiography by incorporating themselves into the national narrative. Syrian Orthodox Christians believe that their own church music is a religious and cultural heritage that demonstrates the origin of their community and its endurance in Syria since ancient times. The laity participate in singing hymns during church services. The hymn singing is supposed to act as a commemorating process of their own Syrian history and its heritage. These Christians emphasize their ‘Syrianness’, whilst stressing their cultural distinctiveness as descendants of the inhabitants of pre-Islamic Syria. This article focuses on how ordinary Syrian Orthodox Christians enact and promote such political ideologies through musical performance and religion.

      • London’s Bankside: A History Walk

        사토 노리코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15 생태환경과역사 Vol.- No.1

        Bankside, which is an area on the south of the River Thames, London, has transformed its characteristics during these two decades: From the area of poverty to one of the vibrant historical districts with tourist attractions and commercial interest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district has transformed its characteristics and how historical attractions at Bankside are designed for maintaining its cultural heritage and ensuring a safe and secure environment. Its redevelopment plan aims at promoting London’s heritage so as to attract tourists, as well as to increase business opportunities and profits from the presence of cultural heritage. It is an attempt to make Bankside a vibrant mixed-use area for business, tourism, and residence. Cultural heritage often celebrates the achievements of the past, which are presented and are tailored in a way of how present people evaluate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both its architectural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Bankside has been reconstructed in a way of presenting an idealized past of the district. The history of local residents, many of whom worked for such locally based shipping industry and were engaged in low paid work, is neither displayed nor celebrated as cultural heritage, which is a collective legacy for presenting to contemporary audiences or tourists. Links between business and local authority contribute to creating a clean and safe environment and generating new jobs and inflows of population into the area. While heritage tourism can result in revitalizing the area, it may increase alienation of the under-privileged section of local population.

      • KCI등재

        The Memory of the Massacre and its Relation to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Syrian/Syriac Christians in Syria

        사토 노리코 21세기정치학회 201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5 No.3

        This paper deals with two different communities of Syrian/Syriac Orthodox Christians in Syria, who experienced the Christian persecution (Sayfo) in present Turkey, at the end of the Ottoman era and so were obliged to emigrate from their homeland to Syria. Each of these communities has composed a ‘community of memory’ of the Sayfo,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their attempt to establish their present social position in Syria. In the process of constituting such collective remembrance, they allocate symbolic meanings to the Sayfo, which are significant for the constructing their ethnic/religious identities. The meanings which these Christians attach to their memory of the Sayfo incident have been nurtured in the socio-political environment of Syria under the regime of Bashar al-Assad, where the government has attempted to incorporate a variety of religious groups into its society, in an attempt to have their heritage acknowledged as being part of the culture of Syrians.

      • The Research on the Forestry under the Military Occupation in Post-War Japan

        사토 노리코 한국생태환경사학회 2018 생태환경과역사 Vol.- No.4

        Till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Japanese were obsessed by the belief that Japan suffered from the shortage of natural resources and needed to support expansionism overseas to increase the strain on natural resources. However, after the War, the 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 (SCAP) prevented Japan from its access to raw materials overseas. A considerable amount of wood was necessary to respond to the higher demands for lumber as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s for the reconstruction of bomb-damaged urban areas, fuelwood, and pulpwood. Forest resources were overused during the War, a large area of cutover land, which emerged throughout Japan. Moreover, a large number of Japanese immigrated to rural areas and sought an opportunity for employment. The American Occupation Forces adopted an integrated approach to forestation and afforestation to meet the present demands and create renewable resource harvest. General MacArthur and his SCAP staff in Tokyo were “New Dealers” who supported official intervention at a Japanese social reform and organized social scientific research projects which collected information useful for Japanese undertaking reforms of forestation policies.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American staff collaborating with Japanese scientists formulated forestry research for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in small-scale family enterprise and restoring the resources in forest lands. The paper investigates their approach to the forestry industry and what sort of research methods the Americans applied to the research for exploitative tendencies among labour suppl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