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험 상자와 영상 편지를 매개로 하는 비대면 물리 실험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의 활동 체계 분석

        남일균,임성민 한국물리학회 2022 새물리 Vol.72 No.3

        이 연구는 실험 상자와 영상 편지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비대면 물리 실험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활동체계에서 발생하는 모순과 이로 인한 활동 체계의 변형을 문화역사활동이론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서 비대면물리 실험 수업은 실험 재료가 들어간 상자를 사용하여 가정에서 실험을 수행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영상편지 형태로 제작하여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학습을 이끄는 수업을 의미한다. 연구 대상은초등학교 6학년 학생 25명이며, 3가지 물리 주제로 총 36차시 분량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녹화 영상, 연구자의 자기문화기술지, 학생들이 제작한 영상 편지 및 각종 수업 산출물을 근거로 활동 체계를 6가지요소별로 분석하였다. 수업 초기에 나타난 모순은 모든 주체가 실험에 성공하고 영상 편지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활동 체계를 등장시켰다. 이는 온라인 도구를 매개로 모두가 참여하여 서로돕고 배우는 실천공동체의 학습을 이끌었다. 이 연구는 급격히 도입된 비대면 과학 수업에서 온라인 도구를이용한 실험중심 비대면 수업의 모순과 이를 통해 과학 수업의 변형과정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온라인 교류도구는 STEAM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학생의 과학정체성을 어떻게 만드는가?

        남일균,권성기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9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교류도구로 매개되는 온라인 STEAM 학습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교류도구는 공동체 구성원이 온라인 학습 맥락에서 자신의 생각과 실행을 전달하기 위해 문자 메시지, 비디오 및 사진을 사용하는 온라인 매체를 의미한다. 연구대상은 지방 중소도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한 개 학급 25명의 학생들로 3개의 주제를 다루는 24차시 STEAM 온라인 수업이 6개월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모든 수업은 녹화되었고, 주요 일화에 대한 수업자의 자기문화기술지와 학습산출물이 문화역사활동이론(CHAT)에 의해 분석되었다. 생각과 말을 매개하는 교류도구, 협업 공동체, 비계제공자로서 교사, STEAM 학습 공동체에서 상호 작용을 유지하는 규칙, 분업으로서의 학생들의 동등한 책임, 그리고 학생들의 주체성을 증진하기 위한 문화적 도구들은 활동체계가 객체를 지향하도록 했습니다. 이 사례연구는 온라인 학습맥락에서 학생들의 과학 정체성을 기르기 위해 과학학습공동체 참여를 이끄는 사회 문화적 요인들을 분석하고 제안합니다.

      • KCI등재

        소외계층학생 과학학습지도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배경요인별 자기효능감

        남일균,임성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초등과학교육 Vol.38 No.2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has been reported as a major factor in the instruction of the curriculum.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cience learning instruction for underrepresented students from the viewpoint of science education for all,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lf-efficacy about science instruction for underrepresented students will be an important factor of science education for thes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science instruction for underrepresented students. To this end, th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elf-efficacy test tool (Lee & Im, 2010) was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of science teaching for underrepresented students into a total of 24 items using 5 Likert scales. Through using the test tool consists of 3 dimensions as Learning Efficacy, Teaching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81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surveyed and the reliability of test tool was ver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by using the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tting 5 as the standard perfect score, the average score of self-efficacy per dimension was shown as 3.29 in Learning Efficacy, 2.89 in Teaching Efficacy, and 3.39 in Outcome Expectancy. We confirmed the tendency and difference of self-efficacy of the research object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factors in whic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relating to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underrepresented students. Also, we verifi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terest in science subject matter, teaching science and their perception of the value of science learning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self-efficacy on science teaching for underrepresented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과학인성 검사 도구 개발

        남일균,임성민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rvey tool of scientific character for elementary student which connects scienc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effectively by figuring out traits of elementary students’ character being presented in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For this, we adapted the theocratical model from the previous research which defined scientific character as the competencies being able to practice in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of science. Based on this model, we developed the survey tool as ‘Scientific Character Inventory for Elementary Student’ to assess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haracter as the competences to practice the virtues being pursued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verifi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confirmed all the items could be summarized into 28 items and eight constructs such as scientific problem-solving, self-management, self-reflection, communication, interpersonal skill, community participation, global citizenship, and environmental ethics awareness. We found that minimum reliability coefficient of constructs was over than 0.5 and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total items was 0.878. And also, there was modest relationship between each construct and the total score of scientific charact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ed survey tool can be useful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reveals constructs of scientific character which can be raised in concrete context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o as to suggest the survey tool to assess this.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교수학습 맥락에서 발현되는 초등학생의 인성적 특성을 파악하여 과학교육과 인성교육을 효과적으로 접목 하는 초등학생용 과학인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 었다. 이를 위해 과학인성을 구체적인 과학 교수학습의 맥락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역량으로 정의하는 선행연구의 이론적 모형을 차용하 였으며, 이에 기반하여 초등학생의 과학 교수학습 맥락 속에서 추구 하는 덕목을 실천 할 수 있는 역량을 측정하는 ‘초등학생 과학인성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한 검사 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 하였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초등학생 과학인성 검사 도구는 과학적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역량, 자기성찰역량, 의사소 통역량, 대인관계역량, 공동체참여역량, 세계시민의식, 환경윤리의식 등의 8개 하위 구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고 문항은 최종 28개 문항으로 정리되었다. 최종 정리된 과학인성 검사 도구의 각 하위 구인별 신뢰도 계수는 최소 0.5 이상이고 검사 도구 전체로는 0.878 의 신뢰도 지수를 나타내며, 산출된 하위 구인들과 전체 과학인성 점수 사이에 양호한 수준에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가 과학인성교육의 성과를 평가 하는 도구로서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과학교과를 통해 기를 수 있는 인성의 구인들을 구체적인 과학 교수학습 맥락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밝히고 이를 평가하는 도구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 KCI등재

        협력적 관계 형성 물리 수업을 통한 초등학교 과학수업의 활동체계 변화

        남일균,임성민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협력적 관계 형성 물리 수업을 통하여 초등학생들의 과학인성이 어떻게 향상되고 이와관련된 과학수업의 활동체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중소도시 농어촌지역의초등학교 4학년생 24명을 대상으로 7가지 물리 주제에 대한 28차시 분량의 협력적 관계 형성 물리 수업을2달에 걸쳐 실시하였다. 협력적 관계 형성 수업은 구조화된 협동, 협력적 의사소통 사용, 그리고 집단성찰의 3가지 준거로 조직화되었다. 초등학생들의 자기보고식 글쓰기를 바탕으로 과학인성의 하위 구인에따라 계통도 분석을 한 결과, 학생들은 협력적 관계 형성 물리 수업을 통해 공동체참여역량, 대인관계역량, 의사소통역량의 과학인성 하위 구인을 향상하였다. 문화역사활동이론을 적용하여 과학수업의 활동체계를분석한 결과, 활동의 주체들은 수업 시간의 갈등과 이러한 갈등의 해결에 대한 집단 성찰 활동을 통하여협력적 의사소통의 규칙을 교류담화로 발전시켰으며, 모둠별 경쟁 구조가 유발한 소외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연대감의 증가로 이어지면서 공동체의 목표를 위해 모든 주체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협력하는 방향으로의 활동체계 변화를 가져왔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activity system of the science class has been changed so as to increase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haracter through physics classes focusing on collaborative relationships. For this study, 28 physics classes dealing with 7 subjects focused on foster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three criteria: structured cooperation, collaborative communication, and collective reflection were taught for 2 months to 24 elementary students. Network analyses of self-report essays revealed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showed the improvement in community particip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The result using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to analyze the classes showed that the subjects of the activity system develope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into transactive discourse through collective reflection on the conflicts being caused by their competition and the efforts to solve those conflicts. As efforts for resolving isolation and conflicts led to increased solidarity, the activity system changed as every subject joined and cooperated more actively to achieve the goal of the community.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들이 초등학교 물리 단원 지도와 관련하여 생성한 질문 분석

        남일균,임성민 한국물리학회 2020 새물리 Vol.7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824 questions that 11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d produced regarding the instruction of physics units in elementary science.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questions, more questions were about knowledge content than the situation of knowledge. Though each unit had a proportionally equal number of questions, the questions in each unit concentrated on certain topics. Regarding the nature of question, information questions out numbered thought questions. The thought questions were biased by a comprehension-type questions that sought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 or law while the other types of questions were relatively small in number. Also,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estion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background factors, but a tendency was found for females and those who majored in natural sciences in high school to have more questions than their counterpart groups. Relating to the variables of teaching and learning physics, value recognition about teaching physic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the knowledge and the information categories. 이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 110명이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물리 관련 단원에 대해 궁금해 하는 질문 842 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초등교사들은 질문의 내용에 있어서는 물리학 지식 자체에 대한 질문이지식의 맥락에 대한 질문보다 훨씬 많았다. 초등학교 과학 교과의 물리 관련 단원별로 비교적 고르게질문을 생성하였으나, 하나의 단원 내에서는 특정 주제에 편중되어 있었다. 질문의 성격에 있어서는 정보형질문보다는 사고형 질문이 많았다. 사고형 질문은 주로 기본 개념이나 법칙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추구하는 이해 유형에 편중되어 있고 다른 유형의 질문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예비 초등교사들의 개인변인에 따라 생성하는 질문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한 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해, 고등학교 이과 출신이문과 출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질문을 생성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확인할수 없었다. 예비 초등교사들의 물리 교수학습과 관련된 변인 중에서는 물리교수에 대한 가치인식의 정도가맥락 범주와 정보형 범주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