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 폭력 행동을 중심으로 Focuced on Violent Behaviors

        민성길,이호분,육기환,남궁희승,류경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4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집단치료를 문제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에 시행하여 청소년 문제행동과 폭력행동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 청소년 문제행동과 폭력행동에 대한 개입의 모델을 제시하려하였다. 방 법 : 교사들에 의해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으로 의뢰된 27명의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들에게 15 회기에 걸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같은 중학교 2학년 남녀 학생 20명으로 이들에게는 치료를 실시하지 않았다. 대상군과 대조군을 치료 전후에 자기기술형 비행척도, 폭력행동척도를 작성하게 하였으며, 담임 교사로 하여금 대상군에게 치료전후에 교사용 문제행동 척도, 문제행동 적발빈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1) 자기기술형 비행 척도, 폭력행동 척도로 평가한 결과 대상군에서는 치료 후에 비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대상군에 대한 교사용 문제행동 척도, 문제행동 적발 빈도조사에서 치료 전후에 문제행동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치료효과를 조별로 비교하면 자기 기술형 비행척도는 조별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고. 2조는 교사용 문제행동 적발 빈도 조사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4) 문제행동의 호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대상군의 성별, 문제행동정도와 치료자였으며, 폭력 행동의 호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대상군의 문제행동정도였다. 결 론 : 문제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는 그들 스스로 평가한 문제 행동 감소의 효과는 있었으나, 교사가 평가하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폭력행동에 대해서 특이한 효과는 보여 주지 못하였다. 하지만 대상군의 성별, 문제행동의 정도, 치료자에 따라서는 문제행동의 감소, 폭력행동의 감소 모두에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군의 선정과 치료자의 숙련도에 따라서는 인지-행동치료가 청소년 문제행동과 폭력행동에 대한 적절한 치료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on improving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especially violent behavior. Method : The subjects were 27 middle school students referred by their teachers for behavioral problems. We devided them into 4 teams and treated them for 15 session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The control group were 20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no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e assessed their behaviors pre-and post intervention by two series of scale, ie. self ratings and teacher ratings. Self ratings included 'misbehavior scales' and 'violent behavior subscale' ; teacher ratings included 'teacher-children rating scale' and 'detection of misbehavior scale'. Result : 1) In self-rating scales, the misbehavior of the subject group decreased more than the coltrol group, but not the violent scal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f improving effect in misbehavior scales. 2) In teacher rating sca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in the behavioral problems of the subject group. 3) By tea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t intervention effects among 4 teams in self rating misbehavior scale. Team 2 improved on all scales except teacher-rating detection of misbehavior scale. 4) Determinant factors of intervention effect on behavioral problems were the degree of baseline behavioral problems, sex of subjects and therapist. Conclusion :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But the effect of therapy depends on sex, the degree of behavioral problems of subjects and the therap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