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아 심장종양의 산전 진단과 산후 결과

        남가현 ( Ka Hyun Nam ),황한성 ( Han Sung Hwang ),곽동욱 ( Dong Wook Kwak ),박용원 ( Yong Won Park ),김영한 ( Young Ha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 전 및 후의 태아 심장종양의 초음파상 모습을 평가하고 결절상 경화증 등 연관 문제들을 기술하고자 함이다. 방법: 1996년부터 2006년까지 단일 기관에서 산전에 태아 심장종양을 진단받고 출생한 환아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10예의 태아 심장종양 사례가 발견되었다. 출산 당시의 산모의 평균 연령은 30.2±2.4세였고, 진단 당시의 임신주수는 30.6±5.4주였다. 심장종양은 5예에서 단일 종괴였고 나머지 5예에서는 다수였다. 종괴의 크기는 7 mm에서 34 mm로 다양했다. 대부분의 종괴는 우심실에 위치하였으며 (n=9), 좌심실 (n=6), 심실 중벽 (n=4), 우심방 (n=1)에도 위치하였다. 1예에서 태아 부정맥이 있었으나 출생 후 2일째 정상화 되었고, 다른 1예에선 경도의 심혈류장애가 발견되었다. 생후 추적관찰기간은 2개월에서 36개월로 다양하였다 (평균 18.9±13.1개월). 대부분의 사례에서 종양의 크기는 생후 줄어들었다 (n=6). 하지만 태내에선 변화없는 경우가 많았다 (n=5). 10예 중 3예에서 결절성 경화증이 진단되었고 수술적 치료를 요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태아 심장종양과 태아 심장종양의 심장 기능에 대한 영향은 이차원 Doppler 심초음파로 충분히 평가할 수 있었다. 태아 심장종양은 출산 전과 후 모두에서 혈역학적 면에서는 태아 안녕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태아 심장종양은 결절성 경화증의 조기 진단의 단서가 될 수 있으므로 관련 산모 및 태아에 대한 철저한 산전 상담 및 관리가 필요하다 하겠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appearance of suspected fetal cardiac tumor and their evolution until delivery and in the postnatal period, and to document the associated problems including tuberous sclerosi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cases born in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Seoul, Korea, between September 1996 and August 2006, and diagnosed as fetal cardiac tumor prenatally. Results: 10 cases were found in all medical records. The mean age of the mothers on delivery was 30.2±2.4 and the mean gestational age on diagnosis was 30.6±5.4 weeks. The cardiac tumors were single in five cases and multiple in the other five cases. The size ranged from 7 to 34mm. Most of the tumors were located in right ventricle (RV, n=9), left ventricle (LV, n=6), but they also located in interventricular septum (IVS, n=4), right atrium (RA, n=1). In one case, fetal arrhythmia was found, which was normalized in two days after birth, and in another case, mild intracardiac flow obstruction was noted. The duration of postnatal follow-up ranged from 2 months to 36 months (mean, 18.9±13.1 months). In most cases the tumor masses decreased after birth (n=6), but had no change in utero (n=5). Three of them were diagnosed as tuberous sclerosis after birth, and none of them needed surgical intervention. Conclusion: Fetal cardiac tumors and their effect on the fetal cardiac function could be well evaluated by two-dimensional and Doppler echocardiography. The fetal cardiac tumors may have little effect on the fetal well being both prenatally and postnatally from the cardiovascular standpoint in most affected fetuses, but are important in the early diagnosis of tuberous sclerosis and in suggesting careful follow-up and management.

      • KCI등재

        난치성 골반내 가성낭종의 치료에 있어서 초음파유도하 가성낭종의 흡인술과 경화치료술의

        남가현 ( Ka Hyun Nam ),이광훈 ( Kwang Hun Lee ),김영한 ( Young Han Kim ),이산희 ( San Hui Lee ),양효인 ( Hyo In Yang ),권자영 ( Ja Young Kwon ),박용원 ( Yong Wo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2

        Patients who underwent laparotomy often experience recurrent pelvic pseudocysts and they may need to undergo another laparotomy. Nowadays, many less invasive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ultrasound-guided aspiration of pelvic pseudocysts and sclerotherapy were developed and were replacing laparotomy. We report a case of intractable pelvic pseudocyst treated successfully with ultrasound-guided cyst aspiration and sclerotherapy using acetic aci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Lamotrigine을 복용한 간질 여성의 임신 예후

        이마리아 ( Maria Lee ),남가현 ( Ka Hyun Nam ),권자영 ( Ja Young Kwon ),박용원 ( Yong Won Park ),김영한 ( Young Ha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2

        목적: 본 연구는 항간질약을 복용하는 간질 여성에서 lamotrigine 복용 여부에 따른 임신 예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6년 2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본 병원에서 산전진찰을 시행 받고 분만한 총 138명의 간질 여성에 대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9명의 환자는 항간질약을 복용하지 않아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Lamotrigine을 복용한 군과 Lamotrigine을 제외한 항간질약을 복용한 군으로 분류하여 선천성 기형, 자연 유산, 저체중출생아, 임신 종결, 자궁내태아사망, 조기 분만 그리고 불량한 산모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유의확률이 0.05 미만일 때 유의한 것으로 보았다. 결과: 항간질약을 복용한 129명의 산모 중 8건 (6.2%)의 선천성 기형이 발생하였다. Carbamazepine 단일제제 사용 군에서 4건, valproate 단일제제 사용 군에서 1건, valproate와 carbamazepine 복합제제 사용 군에서 3건의 선천성 기형이 발생하였다. Lamotrigine을 복용하지 않은 군에서만 8건 (8.7%)의 선천성 기형이 발생하였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lamotrigine 복용 군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P=0.047). 특히 복합제제와 단일제제 사용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복합제제 사용 군 중, lamotrigine을 포함하지 않는 복합제제 사용 군에서 선천성 기형 발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49). 자연유산, 저체중출생아, 임신 종결, 자궁내태아사망, 조기 분만 그리고 불량한 산모의 예후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간질이 있는 여성에서 임신 중 Lamotrigine 복용은 복합제제 사용 군에서 다른 약제를 포함한 복합제제를 복용한 경우보다 선천성기형 발생을 감소시키는 데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gnancy outcomes in women with epilepsy using lamotrigine (LTG).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epilepsy and gave live singleton births in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Seoul, Korea, between February 1996 and December 2007. Nine patients who were not taking antiepileptic drugs (AEDs)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We subdivided the enrolled patients into 2 groups; patients exposed to LTG and others exposed to other AEDs. Congenital malformation, spontaneous abortion, small for gestational age, termination of pregnancy, intrauterine fetal death, preterm delivery, and adverse maternal outcomes were documented to evaluate the pregnancy outcom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129 cases were found in all medical records. The overall risk of congenital malformations in the AED group was 6.2% (n=8), which included 4 cases to carbamazepine (CBZ) monotherapy, 1 to valproate (VPA) monotherapy, and 3 to VPA+CBZ polytherapy. Congenital malform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non-LTG groups than in the LTG group (8.7% vs. 0%, P=0.047), especially in non-LTG polytherapy group (20.0% vs. 0%, P=0.049). The rates of spontaneous abortion, small for gestational age, termination of pregnancy, intrauterine fetal death, preterm delivery, and adverse maternal outcom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dministration of LTG in pregnant women with epilepsy could be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teratogenicity than administration of other AEDs in polytherapy.

      • KCI등재

        골반장기탈출증을 동반한 복압성 요실금에서 tension-free vaginal tape (TVT)과 transobturator tape (TOT)의 치료 성적 비교

        양효인 ( Hyo In Yang ),정현주 ( Hyun Joo Jung ),전명재 ( Myung Jae Jeon ),남가현 ( Ka Hyun Nam ),최지훈 ( Ji Hoon Choi ),김세광 ( Sei Kwang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

        목적: 골반장기탈출증과 병합된 복압성 요실금 환자에 있어서 tension-free vaginal tape (TVT)과 transobturator tape (TOT)의 수술 후 합병증과 요실금의 치료 성적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POP-Q (Pelvic Organ Prolapse-Quantification)에 따른 2기 이상의 골반장기탈출증이 병합된 복압성 요실금 환자 중 TVT 혹은 TOT를 시행하여 1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2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 (방광손상, 수술 후 혈색소 감소, 요저류, 새로 발생한 요절박, 요로감염, 질미란, 질혈종)과 복압성 요실금의 치료 성적을 비교하였다. 통계 방법은 SPSS (version 12.0)을 이용하여 Student t-test, chi square test를 시행하였으며 P-value 0.05미만을 유의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두 환자군의 일반적 특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후 합병증은 혈색소 감소, 요저류, 요로감염에서 TVT를 시행한 환자군에서 TOT를 시행한 환자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혈색소 감소: TVT (25.51%), TOT (15.03%), P=0.04; 요저류: TVT (37.93%), TOT (21.05%), P=0.02; 요로감염: TVT (11.72%), TOT (3.75%), P=0.02]. 두 그룹간의 치료 성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골반장기탈출증이 병합된 복압성 요실금 환자의 수술적 치료로서 TVT와 TOT는 비슷한 치료 성적을 보이지만 TOT를 시행한 경우 수술 후 혈색소 감소, 요저류 및 요로감염의 수술 후 합병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o compare tension-free vaginal tape (TVT) and transobturator tape (TOT) for surgical treatment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associated with pelvic organ prolapse (POP). Methods: Two hundred seventy eight consecutive patients affected by SUI associated with POP more than stage II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Cure rat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hemoglobin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eriod, vaginal hematoma, bladder and bowel injury, vaginal mesh erosion, urinary retention, de novo urgency, urinary tract infection were compared. Student`s t-test and chi square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 P-value below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underwent TVT was 145 and TOT was 133.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cure rate. However, hemoglobin difference (TVT, 2.91±0.93 g/dL; TOT, 1.53±0.77 g/dL; P=0.04) was higher in TVT group than TOT group and urinary retention within 1 month (TVT, 35.17%; TOT, 21.05; P=0.02), and urinary tract infection (TVT, 11.72%; TOT, 3.75%; P=0.02) more frequently appeared in TVT group than TOT group.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vaginal hematoma (TVT, 6.89%; TOT, 6.76%; P=0.86), bowel injury (TVT, 0%; TOT, 1.5%; P=0.64), vaginal mesh erosion (TVT, 7.58%; TOT, 4.51%; P=0.47), urinary retention after 1 month (TVT, 2.76%; TOT, 3.00%; P=0.35), de novo urgency (TVT 7.58%, TOT: 6.01%, P=0.48)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Both procedures appear to be equally effective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SUI associated with POP. However, TOT seems to be a more safe procedure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 KCI등재

        산전 초음파에서 구강 내 종괴 소견을 보인 선천성 치은종

        류지원 ( Ji Won Ryu ),권자영 ( Ja Young Kwon ),남가현 ( Ka Hyun Nam ),박용원 ( Yong Won Park ),김영한 ( Young Ha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2

        Congenital epulis, a kind of hamartoma, is a very rare tumor, which appears in front of maxillary alveolar ridge in most cases, and accompanies no malformations. As the tumor protrudes from the oral cavity, it may lead to respiratory difficulties and feeding problem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pregnant women to receive comprehensive prenatal counseling with accurate diagnosis of the fetal oral tumor. We report a rare case of prenatal detection of oral tumor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which was confirmed to be a congenital epulis or granular cell tumor after bi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