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길랑바레증후군에 대한 ‘의학적 상상’

        나선삼 한국의철학회 2023 의철학연구 Vol.35 No.-

        Guillan-Barré Syndrome (GBS) is a rare neuropathic disease characterized by the monophasic progression of paralysis, affecting the limbs and the trunk, and by the high rate of recovery. The condition is frequently preceded by intestinal infection caused by Campylobacter jejuni, on the basis of which it is believed that the destruction of the myelin sheath covering the peripheral nerve is triggered by a mechanism called ‘molecular mimicry.’ This process occurs when antibodies created by previously generated bacterial infection mistakenly attack the nerve tissues by the misrecognition of molecular markers. This article engages with this interesting condition philosophically through the concept of ‘imaginary’ based on the author’s role as a physician of Korean medicine, the mainstream medical profession in South Korea associated with the practice of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EAM). With some epistemic freedom from the constraining ‘embrace’ of biomedical principles granted by that positionality, the author offers two imaginaries concerning GBS: one linguistic, the other EAM-based. For the linguistic interpretation, the author argues, based on studies on walking that illustrate the shared properties between walking and speech (having rhythm and cadence, as well as the intent to engage with the outside world), the paralysis of GBS can be analogous to that of speech, i.e. mutism or aphasia, in that those shared properties disintegrate. For the EAM-based interpretation, the author argues that given the non-musculoskeletal characteristics manifested in GBS, the condi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cold-damp disorder’(寒濕病), or diarrheal disease, in the imaginaries of EAM. These deliberations open the door for philosophical engagement with medical conditions for improving the clinical management of GBS. 철학의 분과로서 의철학을 논할 때의 ‘의학’은 서양생의학(western biomedicine)이다. ‘의학’의 지위를 획득한 다른 치료체계가 서양에는 존재하기 않기 때문이다. 반면 커리큘럼의 80퍼센트가 서양의학으로 채워진 국내 한의과대학을 졸업한 한의사에게 의철학의 대상은 ‘20퍼센트의 여지를 갖는 의학’이다. 한의사인 필자는 그 ‘여지’에 입각하여 한국적 의철학의 가능성을, ‘의학적 상상’(medical imaginary)이라는 개념과 길랑바레증후군이라는 신경질환을 통해 탐구해 본다. 먼저 ‘의학적 상상’ 개념과 연관하여 상상(imaginary)이 분석틀로 쓰여진 예를 과학기술사회학, 사회학 그리고 의료인류학 분야로 나누어 소개한 후, 한국 사회의 이원화된 의료체계 내(內)의 의철학적 문제를 탐구함에 있어 이 개념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론에서는 길랑바레에 관한 두 가지 상상을 제시한다. 먼저 보행을 리듬과 운율을 지니면서 주변 환경 그리고 타인과 상호작용을 하는 인간의 행위로 상정한 인류학적 연구에 기반하여, 보행 장애를 언어 장애와 연관하여 보는 ‘언어적 이매지너리’를 제시한다. 다음으로는 질환의 마비 증세가 설사 이후에 이어진다는 사실에 입각하여 이를 ‘한습병’(寒濕病)’으로는 간주하는 ‘한의학적 이매지너리’를 제시한다. 논문에서 필자는 다양한 의학적 관점들도 유연하게 검토하여 이매지너리에 입각한 논의가 분석적 수준에서 머물지 않고 임상적 기획이 될 수 있는 방향성을 탐구한다.

      • KCI등재

        한의학의 ‘위기’와 개혁의 길잡이로서의 불교의 자각론(自覺論)과 생태주의(生態主義)

        나선삼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4 佛敎學報 Vol.0 No.104

        중국의 문호개방에 따른 80년대의 동양학 붐, 전(全)국민건강보험의 실시, IMF 이후 찾아온 의료계열 열풍 등으로 2000년대까지 의대를 넘어선 인기를 구가하던 한의계에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다. 의료계에 반복되던 실체 없는 위기론과는 달리 최근 한의계의 언설에는 실체가 있어 보인다. 4프로 대를 유지하던 건강보험점유율은 2021년에 2프로 대로 추락한 바 있고, 양방과 치과의 꾸준한 성장과 대비되게 경제적으로도 침체의 늪에 빠져 있다. 양방과 치과에 대한 ‘상대적 위기’가 좀 더 정확한 표현이겠지만, 첩약시장을 잠식한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 양방 위주의 실손보험 영역의 확대, 감염병 관리주체인 한의사가 배제된 정부의 코로나팬데믹 대처 등을 보았을 때 한의계의 이러한 우려는 수긍 가는 면이 없지 않다. 필자는 한의계의 위기설을 한국의료의 전체 맥락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한의학의 역할 감소가 눈에 띄는 트렌드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는 이원화체제 하의 한국의료의 지형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서양의학의 대항추 역할을 해온 한의학의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한국사회는 생기술에 의해 서서히 포섭(biotechnically embraced)되어 가고 있다. 더불어 건강영역에 있어 과학주의 환원론(還元論)은 범람한다. 필자는 이러한 한국의료의 현실을 우려스럽게 바라보며 한의사의 역할을 재규정함으로써 이러한 불균형을 시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한의계의 개혁을 중요한 과제로 제시하며 자신들의 정체성의 상부구조의 역할을 한 도그마에 기반한 유의(儒醫)적 고전주의 전통에서 탈피하여 하부구조를 이루는 과학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작업을 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리고 이 작업에 불교의 자각론(自覺論)과 생태주의가 사상적 길잡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자각 중심의 태도는 임상추론의 귀납적(歸納的) 특성을 강화하여 현대의과학과의 접목을 가능케 하며 생태적 접근은 과학주의 환원론을 극복하는 데 도움 줄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과감한 개혁을 통해 한의학이 현대과학의 체계 내에서 자기완결성과 외부확장성을 가진 학문으로 거듭날 때 미래지향적인 한국적 신(新)의료의 모습도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이를 위해 이해당사자들에게는 행정편의주의와 직역이기주의를 넘어서는 태도가 그리고 당국자들에게는 의료이원화제도를 부담이 아닌 자산이라고 여기는 인식이 요구된다 하겠다. Korean medicine is a Korean form of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whose mainstream status has allowed it to be considerably biomedicalized in the form of institutional structures while maintaining an identity distinct from its Western counterpart. Therefore, its practitioners, or KMDs, are trained on what is called the superstructure of traditional East Asian medicine and on the infrastructure of biomedicine under the country's dual medical licensing system, by which MDs and KMDs have comparable sociolegal status. This paper is an attempt at analyzing the “crisis” that the KM community has encountered recently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rise of the health supplement markets and expansion of private medical insurance that hugely favored MDs. It concludes that for the Korean healthcare to counter the increased “biotechnical embrace” and the associated overflowing of reductionist tendencies in healthcare, the authorities should utilize Korean medicine wisely as a counterweight to balance biomedical excess rather than obliterate it through license unitarization. Arguing for the necessity of extensive reforms in the KM community, this paper proposes Buddhist principles of self-realization and ecological thinking as guides for its reform. It claims that the community should shed its reliance on Confucianist dogmas and focus on deepening its scientific basis so that Korean medicine develops into a form under which it shares its foundation with Western medicine but carves out its own identity as a medicine specializing in immunity. This study introduces clinical cases to support this argument and suggests curriculum reform as a way to achieve this objective.

      • KCI등재

        한의학은 철학이고, 서양의학은 과학인가?

        나선삼(Seon-Sam Na) 한국의철학회 2008 의철학연구 Vol.6 No.-

        한의학이나 서양의학 모두 이론만을 가진 학문이 아닌 실천을 구성요소로 성립된 학문이다. 의사의 주관과 상황에 맞는 적절한 변용(變容)을 중시하는 한의학의 모습을 철학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현대의 의료체계에서 의사의 의사결정의 과정을 철학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이분법(二分法)적인 가름의 배경에는 분리와 나눔을 지향하는 정치적, 인식론적 대립이 존재한다. 인식론적 우위를 지향하는 과학주의도, 또한 한의학의 동양문화적 완결성(完結性)을 주장하는 논의도 결국, 정치적 힘의 대결로 수렴된다면 우리가 미래에 가져야 할 통합적 의학의 성립은 요원해진다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통합의 단초가 될 수 있는 ‘몸’ 위주의 의료인류학적 담론을 소개하고, 그것을 통해 서양의학과 한의학이 조우(遭遇)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러한 작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의학의 본질에 대한 비판적 검토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EAM prizes subjectivity in practice while western bio-medicine tries to kill it as thoroughly as possible. So there goes the saying, ‘EAM is a philosophy and western medicine is a science.’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it’s a case of pre-reflective simplification in that EAM’s emphasis on subjective engagement in practice actually parallels the process of physicians’ decision making in modern bio-medical settings. Furthermore, medicine cannot be a pure science as many research findings have shown to us. Behind this simplified frame of reference lies the epistemological and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se two medicines. What’s necessary for us is a perspective that’s not parochial, but is able to resort to our inter-subjectivity. As one such option of possibility, this paper presents the arguments concerning the tactile and sensible ‘body,’ through which the new possibility of synthesizing the experiences gained in EAM traditions and the knowledge from the biomedicine could be explored and critically assessed in an entirely different dimensions of perspectives.

      • KCI등재

        Factors related to the parallel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with conventional medicin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in South Korea

        최병희,한동운,나선삼,임병묵 한국한의학연구원 2017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Vol.6 No.2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patterns of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behind their parallel use of the conventional medicine (CM) and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that includes traditional Korean Medicine (KM).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the self-administered anonymous survey method to obtain the results from inpatients who were staying in three hospitals in Gyeongnam province in Korea. Results: Of the 423 participants surveyed, 334 participants (79.0%) used some form of CAM among which KM therapies were the most common modalities. The results of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rallel use pattern was most apparent in the groups aged over 40. Patients with hypertension or joint diseases were seen to have higher propensity to show the parallel use patterns, whereas patients with diabetes were not. In addition, many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the patterns of the parallel use of CAM and CM. Conclusion: In the rural area of Korea, most inpatients who used CM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conditions used CAM in parallel. KM was the most common in CAM modalities, and the aspect of parallel use varied according to the disease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