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식민 담론과 한국 그리스도교 신학

        김항섭 ( Hang Seob Kim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3

        식민주의나 식민성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여전히 진행 중인 우리사회의 현실임을 고려할 때, 탈식민적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글에서는 탈식민 담론을 살펴보고, 이 담론을 그리스도교 신학이 어떻게 수용,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탈식민 담론하면 흔히 후기식민주의(포스트콜로니얼리즘)을 이야기하는데, 그 외에도 라틴아메리카를 기반으로 한 탈식민주의(디콜로니얼리즘)이 있고, 또한 그 이전에 식민지 과정에서 형성된 탈식민 비평도 있다. 따라서 탈식민 담론을 개별 담론의 공과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민족과 인간의 해방이라는 궁극적인 탈식민적 지향 아래 평가, 보완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그리스도교 신학은 대부분 후기식민주의에 초점을맞춰, 이 담론을 수용해 한국 사회나 교회를 진단하거나, 이 담론 자체를 비판적으로 수용, 보완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한국의 특수한 현실을 고려함이 없이 또 다른 수입 이론에 그칠 가능성이 있고, 후자의 경우 비판적으로 수용하나 후기식민주의의 근본적인 한계를 주목하거나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앞서 말한 탈식민적 지향이라는 관점 아래, 한편으로 기존의 탈식민 담론을 수정, 보완하고, 다른 한편으로 한국적 현실을 충분히 고려하는 탈식민적 비판이 요청된다.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ostcolonial issues, because the colonialism or coloniality is the question not only in the past but also in the progress of our history and society. In this article, we are going to overview the various postcolonial discourses and then analyze how the Korean theologians accept and react to these discourses in doing theology. We can observe three types of postcolonial discourse, the postcolonialism: evolved by some scholars from the ex-colonies of England in 1980s; the decolonialism: presented by Latin American scholars in 1990s; and the postcolonial critics: concurrent with the struggle process for national liberation in many colonies. These critics had considerable effects on both anterior discourses. In this paper, we are not going to review these discourses separately and examine the merits or demerits of each discourse, but our concern is to consider the perspective of the ultimate aim of postcolonial discourses, that is,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and the humanities. The Korean protestant theologians started to introduce the postcolonialism from the mid-1990s, but there was no introduction or discussion about the decolonialism until now. These theologians generally diagnose the Korean society and the church, utilizing the postcolonial analyses, or accept them critically, sometimes trying to complement them. But in the former case, the theological analyses can commit an error of introducing simply another import theory without relevant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peculiar to Korea. While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their critics aren’t incompetents in realizing or overcoming the fundamental limits of postcolonialism.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Korean theologians need to make the postcolonial discussion abundant in introducing the decolonialism and restoring the postcolonial critics emerged in the Korean history, and as well as to correct and complement the various postcolonial discourses in perspective of its ultimate purpose, considering the Korean peculiar rea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물질 만능, 경제 중심 시대와 가톨릭 사회교리

        김항섭(Kim, Hang Seob)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神學展望 Vol.- No.175

        오늘날 물질 만능적, 경제 중심적 사고나 행태가 우리 사회 안에 팽배하다. 이러한 사고나 행태는 기본적으로 사물을 매개로 이뤄지는 자본주의적 시장 교환에서 유래한다. 그리고 시장 경제를 완전한 기구로 보면서, 시장경제의 전면화를 주장하는 신자유주의적 경제 체제에서 더욱더 확대 재생산된다. 가톨릭 사회교리는 자본주의 체제와 결부된 이러한 물질주의, 경제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특히 이러한 물질주의, 경제주의가 곧 물질에 대한 우상 숭배로 이어지고, 이러한 우상 숭배는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고 본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관련해서는 특히 그 문화적 측면에 주목하면서, 단순히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나름의 사고나 행동 방식, 또는 가치나 윤리 체계를 갖추고 세계의 다양한 문화나 전통을 위협하는 것으로 비판한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로 더욱 심화, 확산되고 있는 물질주의, 경제주의, 또는 우상 숭배 앞에서, 현실을 더욱 실제적이고 포괄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고, 나름의 고유한 종교성으로 도전해 오는 신자유주의 모델 앞에서 더욱더 설득력 있는 가톨릭 영성을 개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Today, the materialistic thoughts and behaviors prevail in our society. These thoughts and behaviors come from the capitalistic market system, based on the exchange of materials and is more proliferative in the neoliberal capitalism which argues the total market, considering the market as a perfect society. Catholic Social Teaching has criticized these thoughts and behaviors related with capitalism. According to its Social Teaching, this materialism evolves into idolatry and blocks out the Christian mission. As to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its Social Teaching, focusing more its cultural dimension, criticizes that the globalization brings into crisis the different cultures and traditions in the world, with its own pattern of thought and behavior, that is, with its system of value and ethics.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expands more the materialism, economism ana idolatry. To cope with this new situation, we, Christians need to illuminate more practically and comprehensively these problems, and develop a more persuasive Catholic spirituality in front of the neoliberal model and its own “religious” enthusiasm.

      • KCI등재

        브라질 가톨릭 운동과 해방신학의 기원

        김항섭(Hang-Seob K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7

        이 글은 해방신학의 기원을 1950, 60년대의 브라질 가톨릭 운동의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브라질의 가톨릭 운동은 근대 세계에서 가톨릭의 영향력을 복원하려는 제도적 필요성에 의해 제창된 가톨릭 액션에서 출발하지만, 1950년대에서 브라질의 현실과 만나면서 급진화 과정을 거쳐, 50년대 말과 60년대 초반에 마르크스주의를 수용하면서 가톨릭 좌파로 발전한다. 그리고 이 운동들은 군부 정권의 탄압과 보수적인 교계의 외면으로 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쇠락의 길을 걷지만, 브라질 사회와 가톨릭교회에 남긴 발자취는 뚜렷하다. 무엇보다도 해방신학을 비롯한 진보적인 교회 흐름을 정초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두 운동 사이의 연계는 인적 차원이나 이념적 차원에 잘 드러난다. 특히 가난한 이들을 위한 선택과 연대, 가톨릭의 사회적 가르침에 대한 충실성, 구조적 접근을 통한 변혁적 전망, 반자본주의적 태도, 서구 신학에 대한 비판 등에서, 이후 해방신학에 나타나는 주요한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았을 때 브라질 가톨릭교회의 진보적인 전환은 해방신학이 아니라, 그보다 앞서 이뤄졌던 가톨릭 운동에서 시작되었고, 그러한 실천적 계기들이 신학적으로 종합되고 체계화되면서 해방신학이 태동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origins of liberation theology in the context of the Brazilian Catholic movement of the 1950s and ‘60s. The Catholic movement in Brazil was started as Catholic Action, promoted by the institutional necessity to restore Catholic influence in the modern world. But in the 1950s, this movement was radicalized and evolved into the Catholic left and embraced Marxism in the late fifties and early sixties of Brazil in an effort to respond to its context. And these movements were on the decline in the late sixties due to the oppression of the military regime and the conservative hierarchies, but their footprints left in Brazilian society and the Catholic Church are evident. Above all, it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of a progressive church movement and Liberation Theology. The link between the two movements is well represented on the human and ideological levels. Especially in the solidarity with the poor, the fidelity to Catholic social teaching, the transformational outlook through a structural approach, the anti-capitalist attitude, and the criticism of Western theology, this progressive movement anticipates the major features of later Liberation Theology. In this context, the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the Brazilian Catholic Church does not begin with Liberation Theology. It started with the Catholic movement that preceded this theology. Liberation Theology was born as such practical intuitions were synthesized and organized theolog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