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구비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정경(Kim Jong-kyoung)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30 No.-

        이 글에서는 구비문학의 연구대상을 ‘민족 문화의 원형’과 ‘기층 민중의 문화’로 바라보는 각각의 입장이 어떤 이론적 배경과 관점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했다. 여러 논자들이 지적한 구비문학의 위기가 한국 민속학․구비문학의 ‘역사화’에 대한 고민이 부재한 데서 비롯했다고 보고, 한국구비문학의 ‘역사화’를 시도해 보고자 한 것이다. 먼저 2장에서는 식민지기 민족학자와 식민지학자들이 조선인을 ‘민족’이라는 균질적인 대상으로 이해하는 메커니즘을 드러내려고 했다. 본고에서는 식민 통치로 인해 조선 민족의 실체를 직접 확인할 수 없는 상황, 훼손되고 상실된 상태로만 접할 수 있는 조선 민족의 본성이라는 인식이 상실 이전의 기원을 가능하게 만드는 조건이 되었다고 보았다. 민족주의자들의 “옛 민족적 뿌리”로 되돌아가려는 운동이 바로 그 뿌리를 발생시켰으며, 기원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오히려 실제적으로 존재했던 각양각층의 기층적 전통과의 단절을 가져왔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3장에서는 민중의 발견이 원시적인 한반도의 뿌리를 회복하는 작업이 아니라 민중에 의해 제공된 보편적 해방의 꿈과 가능성을 파악하는 작업으로 구비문학의 성격이 바뀌었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식민지 근대화의 과정은 민중이라는 개념을 통해 제국과 식민지 지배층들이 내세우는 보편성보다 더 보편적인 새로운 정체성-더 주체적이고 보편적이고 자유로운 개인-을 구성할 기회를 주었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사이버스페이스의 담론과 공동체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을 검토해보았다. 이 논의들에서는 구비문학 논의의 초점이 지속적이고 목적론적인 시간의 흐름 그리고 추상적이고 보편적이며 조화로운 공동체의 일부분에 관한 것에서, 우연적이며 특수하며 개별적인 정서 혹은 공감을 공유하는 각양각색의 집단이 생산해내는 집단적 발화에 대한 탐구로 옮아가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글에서는 사이버스페이스의 다양한 발화활동과 양상이 우리시대 구비문학 연구의 주된 대상인 것은 분명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사이버스페이스는 비역사적인 시간관을 지닌 공간이면서 동시에 복수적 정체성으로 특징화되는 공간이기에, 이에 관한 탐구에는 지금까지의 구비문학 연구가 고민해왔던 패러다임의 질적인 전환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grasp exactly wh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viewpoint of each object which looked at the object of the literature as the ‘prototype of national culture’ and ‘the culture of the upper class people’. It is the attempt to try the “historicalization” of the Korean oral literature, considering that the crisis of the oral literature pointed out by the various authors stemmed from the absence of the concern about the “historicalization” of Korean folklore and oral literature. First, in chapter 2, I tried to reveal the mechanism by which ethnic scholars and colonists understood the Korean people as a homogeneous subject, ‘nation’. In this article, I thought that it became a condition to make the origin before the loss of the recognition of the nature of the Korean people lost by colonial rule. The movement to return to the “old national roots” of the nationalists has created its roots and can say that efforts to regain its origins have resulted in a break with the hierarchical traditions of all the layers that existed in practice. In Chapter 3, I examined the change of the task of the literature to grasp the dreams and possibilities of universal liberation provided by the people. The process of colonial modernization gave the opportunity to constitute a more universal new identity than the imperial universality. In Chapter 4, I reviewed recent research on cyberspace discourse and community. In these discussions, the focus of discussing the oral literature has shifted from a universal and harmonious community to a number of special and contingent communities. In conclusion, this article clearly shows that the various activities and aspects of cyberspace are the main subjects of our study of the oral literature of our age. And since cyberspace is a space that has a non-historical time-space and is characterized by plural identities, I emphasized that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the paradigm that had been troubled with the study of the oral literature of the past so far has been demanded.

      • KCI등재
      • KCI등재

        여성 생애담의 자기생애 의미화 방식 연구 -자리매김과 자기반성적 언술을 중심으로-

        김정경 ( Jung Kyung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1

        본 논의는 생애담 이야기판의 의사소통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구비문학 연구에서 비교적 간과되었던 ``발화행위``를 중심으로 생애담을 분석하여, 생애담의 화자가 이야기 그리고 청자와 맺는 관계를 체계화하고자 하려는 것이다. 생애담의 이야기판에서 발화 주체는 발화된 주체와 자신을 분리하고 발화된 주체를 전달해야하는 메시지로 규정한다. 이 과정에서 발화된 주체를 구성하는 에피소드들은 발화 주체가 조사자의 위치에 자리매김 됨으로써 선택된다. 한편 발화 주체는 발화된 주체를 평가하는 언술을 반복적으로 제시하는데 이는 이야기를 듣는 청자들로 하여금 발화된 주체에 대해 일정한 태도를 갖게 한다. 그리하여 조사자는 화자와 등장인물의 위치에 자리매김 됨으로써 그들의 시선으로 발화된 주체를 평가한다. 이와 같은 자리매김 양상을 통해 우리는 경험담의 연행현장에서 발신자(``발화 주체``)가 가치 있는 메시지(``발화된 주체``)를 수신자(조사자)에게 성공적으로 전달하는 의사소통 상황을 예상하게 된다. 그러나 경험담의 화자들은 더 이야기할 것이 없다고 구연을 끝내면서도 자신의 이야기는 끝도 없다고, 밤을 새도 모자란다고 말한다. 아주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화자들은 세 시간을 넘기지 못하고 이야기를 마무리 하는데도 불구하고 끝까지 끝도 없다는 말을 덧붙인다. 이처럼 말로 다 못할 "그런 세상"을 살았다거나 밤새 해도 다 못한다는 언술이 생애담 구연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은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현상이 화자의 개인적인 특징이 아니라 생애담의 보편적인 언술이라는 점은 분명 그것이 생애담의 구연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군더더기처럼 보이는 이와 같은 언술 그리하여 의사소통 자체에 균열을 일으킬 수도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러한 발화가 반복되는 현상과, 모두 말하지 못할 것이라고 단정하고 모두 말하지 못했다고 단언하면서도 계속해서 자신의 삶을 이야기하는 현상을 검토했다. 본고에서는 이야기를 아무리 계속한다고 해도 청자들이 "그런 세상"에 도달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도달 불가능성이 즉, 이야기 안에 있는 이야기 이상의 무엇을 가리키는 "그런 세상"이 바로 화자의 삶의 가치를 보증한다고 보았다. 자신의 삶이 현실 속 수신자에게 이해되기에는 너무나 소중하며, 현실의 청자는 그것의 진면목을 파악하지 못할 수도있기 때문에 화자들은 다 말할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생애담의 화자가 자신의 진정한 생애라고 여기는 부분은 자신의 이야기가 아니라 이야기하지 못한 나머지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박점례 화자는 "그런 세상"이라는 결여와 자신을 동일시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has been focused on identifying the systematic feature of the self narrative, with an idea that the narrative and the communicative act are closely tied together. In order to identify the systematic features of the self narrative, the paper has been proceeded with a perlocutionary act and a locutionary act. Here the main intention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udience. On chapter 2,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communicative mechanism of self narrative. For this, "positioning" was adopted to divide the sequence of self narrative; then, the paper systematically sort out "le sujet de l`enonce" and "le sujet de l`enonciation". As a result, the paper found out that "le sujet de l`enonciation" was differentiated from "le sujet de l`enonce" in self narrative. In other words, "le sujet de l`enonciation" identify itself with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er is positioned at "le sujet de l`enonciation" or characters. On chapter 3, the paper intend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cliche "such life". On this chapter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such life" regarding an essential expression. Therefore, this paper, witnessed that impossibility of understanding "such life" guarantee the value of the speacker`s life. The speacker identify herself with the lack, that is "such life".

      • SCOPUSKCI등재

        나트륨-물 반응에 의한 전열관 표면에서의 부식과 반응특성에 대한 연구

        정경채 ( Kyung Chai Jeong ),정지영 ( Ji Yong Jeong ),병호 ( Byung Ho Kim ),태준 ( Tae Joon Kim ),최종현 ( Jong Hyeun Choi ),의식 ( Eui Sik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재질로 예상되는 페라이트 강을 사용해서, 액체 나트륨 분위기에서 미량 물누출 실험을 수행하여, 시편의 누출 부위와 표적표면에서 발생되는 재질의 부식현상. 나트륨-물 반응에 의한 온도 상승현상 등에 대한 특성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시편의 누출구멍 주변은 나트륨부위에서 나트륨-물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부식 및 침식에 의한 wastage 현상에 의해 손상을 입어 누출 구멍의 직경이 확대되었으며, 누출 부위에서의 손상은 초기 누출구멍 크기인 150㎛에서 200㎛정도로 확대되었고, 표적표면에 나타난 손상부위의 크기는 약 1000㎛ 정도로 분석되었다. 또한, 표적표면에서의 온도는 나트륨-물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반응열에 의해 약 70-80℃ 정도 상승하였으며, 손상부위 표명을 EPMA 및 EDX로 분석한 결과, 나트륨 산화물과 전열관의 모지 금속을 구성하는 Fe이나 Cr 등의 원소와 반응하여 (NaOH+Na_2O)ㆍFe_xO_y나 (NaCrO_2+Na_2Cro_4) 같은 형태의 복합산화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In this study we observed and analyzed the corrosion phenomena in a leak site and he effect of temperature at the target surface of heat transfer tube material by sodium-water reaction through water leakage in liquid sodium atmosphere. Surrounding of the leak hole of the specimen was damaged by the wastage phenomena due to corrosion and erosion of material, and the hole size, by damage of leak site, was extended from 150㎛to about 200㎛. Also, the damaged size appeared in the target surface was observed to be about 1000㎛ diameter. The temperature of target surface increased about 70~80℃ by the heat of sodium-water reaction even with a small leakage of 15mL water. From the results of EPMA and EDX analysis, damaged areas are found to be covered with complex compounds such as (NaOH+Na_2O)·Fe_xO_y or (NaCrO_2+Na_2CrO_4) mixed up with the sodium oxides by sodium-water reaction and the Fe or Cr element by matrix of tube material.

      • KCI등재

        조선후기 천주교 여신도의 주체화 방식과 생애 기술 방식에 대한 고찰

        김정경(Kim Jong kyo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9

        본고에서는 여성 순교자의 전기와 열녀의 전기를 비교하여 조선후기 여성이 주체화되는 양상을 검토하고, 그것이 그녀들의 삶을 서술하는 방식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에 대해 고찰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바에 따르면 지금까지 조선후기 천주교 여신도들이 이전 시기 또는 동시대 여성들에 비해 "근대적 정신"을 갖고 "주체적인 삶"을 살았다고 평가받았던 것은 그들 삶의 일부에만 주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천주교 여신도들을 "개별화된 개인 주체", 즉 근대적 주체로 보기는 어렵다. 이들은 가문의 이름으로 존재하던 전근대적 주체화 방식에서는 벗어났지만, 자율적인 개인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성인이 됨으로써 주체성을 획득했기에, 전근대와도 근대와도 다른 주체화 방식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열녀들이 죽음으로써 가문과 공동체 내에서 자신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주체의 지위를 획득했다면, 여성 순교자들은 순교를 통해 성인이 되어, 신에게 종속되고subjected, 주체화되었다subjected. 한편 본고에서는 주체화 방식의 이와 같은 변화가 그들의 삶을 서술하는 방식에도 차이를 가져왔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열녀전의 서술자가 열녀의 열행을 평가하고 있다면, 순교자전의 서술자는 서술대상이 순교하기까지의 과정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 순교자전의 서술자는 순교자의 곁에서 그의 생각과 행동을 보고 기록하며 그의 삶이 성인의 삶과 동일하다는 사실을, 누군가에게 보고하거나 사적인 편지로 지인의 근황을 전하는 것처럼 기술한다는 것이다. 이때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열녀전의 서술자가 제 3자 특히 사대부 남성의 시선으로 열녀의 삶을 보고 평가하는데 반해, 순교전의 서술자는 순교자 자신이 아니면서도 순교자의 시선으로 순교자의 내면을 읽어낸다는 점이다. 독자들은 순교자전을 읽으며 자주 1인칭 서사를 읽고 있다고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순교자전은 한 인물의 생애를 3인칭으로 기술하던 시기와 1인칭으로 기술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어느 시점 사이에 존재하던 '전'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천주교 여성 순교자들과 그녀들의 삶을 기록한 순교자전이 조선후기 천주교가 중세와 근대의 매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주체화의 측면과 글쓰기 방식의 측면에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aspect that subjectification of women compared to the biography of 'Yeolnyeo' and the biography of female martyrs and I investigated for any relationship that way to describe the lives of the women in those biographies. As a result we can not assume to these female martyrs have the "modern spirit" and "an independent life." In other words female martyrs can not be seen as modern subjects. They had been lived in the name of the family, lived in the name of the saint only. Not being an adult individual, being the Saint, they may be looked for other ways subjectification not modern but also pre-modern, In shorts, 'yeolnyeo' won her position by 'sunjeol', martyrs won her position by martyrdom. Changes in the manner in which the subject is a subject has changed the way that describe the subject. The narrator of the biography of 'yeolnyeo' evaluated the 'yeolnyeo', on the other hand the narrator of the biography of female martyrs only described the acts and lives of female martyrs. Whereas the narrator of the biography of 'yeolnyeo' evaluated the 'yeolnyeo' through the eyes of the men, the narrator of the biography of female martyrs described the martyrs through the eyes of the martyrs themselves, As a result this paper find out that the female martyrs and the biography of female martyrs are vanishing parameter in the Middle Ages to modern times.

      • 코로나방전 영상검출을 위한 시스템 성능 최적화 기술에 관한 연구

        정경열(Kyung-yul Chung),박창대(Chang-dae Park),임병주(Byung-ju Lim),한정은(Jeong-eun Han),권태(Kwun-tae Kim),최대석(Dae-seok Choi),심상용(Sang-yong Sim),용환(Yong-hwan Kim),용식(Yong-sik Kim)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10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In this paper, We are research for optimization of the composite corona discharge image diagnose system for degradation diagnosis of electric facility. The technologies to the optimization are composite chromakey, video capture buffering and lightweight video codec and minimize delay for user interface keystrokes.

      • KCI등재

        노년기 여성 생애담의 죽음의 의미화 양상 연구 -서사구조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김정경 ( Jong Kyoung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7

        본고에서는 자신의 생애를 서사화하는 방식이 곧 자신의 삶을 인식하는 방식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고 보고, 이들 간의 상관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특히 생애담의 종결 방식을 생애담 구연자가 죽음을 의미화하는 방식과 관련 지어 이해해 보려고 했다. 이를 위해 『시집살이 이야기 집성』에 실린 생애담 세 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을 진행했다. 2장에서 검토한 생애담은 삶의 의미를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발견하는 화자의 이야기였다. 이 생애담의 화자는 생의 의미를 어떠한 죽음을 맞는가에서 찾기 때문에, 이야기의 결말이 이전 사건들의 의미를 재규정한다는 점에서 소급형의 서사 구조를 갖는다고 보았다. 이 유형의 생애담에서 죽음은 삶의 이야기 전체에 허구적인 구조를 부여하는 종결의 기능을 하는 의미의 원천이다. 3장에서 살펴본 생애담의 화자는 삶을 그 의미를 찾아가는 여정으로 이해한다. 화자는 자신의 삶을 고난의 의미를 탐색하고 발견하는 과정으로 서사화하기에, 이 생애담은 탐색형의 서사 구조를 갖는다고 보았다. 이 유형의 생애담에서 죽음은 삶이라는 시련을 모두 겪고 난 뒤에 획득한 자격, 다시 말해서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 삶이라는 무대에서 영광스럽게 맞는 은퇴와 같은 것이다. 4장에서 검토한 생애담은 어떠한 상황 속에 내던져진 개인의 이야기이다. 이 생애담의 화자는 우연한 생존의 에피소드들을 병렬식으로 나열하고, 삶과 죽음을 언제 어떻게 벌어질지 모르는 사건으로 이해한다. 이 생애담에서 죽음은 삶이 그러했듯 자신의 행위 또는 앞서 벌어진 사건들과 어떠한 유기적 관계도 맺지 않는, 불가항력적인 사건으로 존재한다. This paper has been focused on identifying the feature of Women`s life stories. In order to identify the way of narrating the self, the paper has been focused 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way of narrating one`s lives and a way of recognizing one`s lives within the Women`s life stories. On chapter 2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narrational features of Kim Pilyou`s life story. She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of our life is how to die. So she was envious of her two mothers-in-law because they died as if they were slept. She was signifying one`s life retroactively at the moment of dying. As a result, the paper find out that these life story regarded the death as the source of meaning. On chapter 3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features of Han Misoo`s life story. She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of her life is to know the meaning of her life. She was signifying her life like a quest story. As a result, the paper find out that these life story regarded the death as a license or an evidence. After realizing the meaning of life, she didn`t care about her remaining years. On chapter 3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features of Han Misoo`s life story. She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of her life is to know the meaning of her life. She was signifying her life like a quest story. As a result, the paper find out that these life story regarded the death as a license or an evidence. After realizing the meaning of life, she didn`t care about her remaining years. On chapter 4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features of Shin C`s life story. She thought that the life and the death was an incident happened accidently. Her life story was a chain of survivals. In her story she described a private person as powerlessly. As a result, the paper find out that these life story regarded the death and the birth as an accident.

      • KCI등재

        자기 서사의 구술시학적 연구 - 여성생애담을 중심으로

        김정경 ( Kim Jung-kyou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4 No.-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tudy the oral poetics of self narration. And the thesis considers the oral poetics is different from literal poetics in communicative aspects of the situation. For example, the improvisation, the interaction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and the intimacy etc. The chapter 3 dealt with the motivation of the speech and the locutionary technique. The paper has been focused on the repetition of same cases and the hiding of specific cases. The chapter 4 dealt with the signifying lives throughout speech acts. Women endure their pains by creating the fictional world. They identify themselves reconcile the narrating self and the narrated self. In shorts, the thesis has started from the study on the women's personal narrative from a constructive point of view. As a result, the paper found out that self narration ends up reconciling the narrating self and the narrated self.

      • KCI등재

        여성의 잘 나이들기 조선 후기 천주교 여신도들의 죽음의 의미화 방식 연구 -이루갈다의 「옥중서간」을 중심으로-

        김정경 ( Jung Kyung Kim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3

        This paper has been focused on identifying the aspects of Roma Catholic`s religious martyrdom showed in the latter part of Chosun. Here the main intention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ways of signifying the death showed in Lee Rugalda`s letters. From now on, many investigator has been focused on Lee`s lifetime, in this paper I would take a central place in her text Okjoongseogan. On chapter 2,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narrative mechanism of Okjoongseogan. In conclusion, I found that Okjoongseogan is an organized narrative is equipped with ``beginning·development·crisis·peak-end``, especially the narrative of overcoming the difficulty. She signified overcoming of her physical desire as a trial and her lifetime as a eschatological narrative. On chapter 3, the paper intended to find out the social function and meaning of female Roma Catholic`s religious martyrdom. Confucian rules acknowledged female Roma Catholic`s fault, as a result, they admitted female Roma Catholic as subjects. ``Women cannot be punished but female Roma Catholic is exceptional.`` This rule made it clear that only Roma Catholic women can be admitted as subjects. In a conclusion, this paper found out that virginity hardship is a right to do religious martyrdom, and in the latter part of Chosun, the female Roma Catholic represent collapse of Confucian order and at the same time formation of new symbolic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