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7세기 말-18세기 초 석실서원의 강학 실제와 특징 -농암 김창협의 강학 활동을 중심으로-

        김자운 ( Kim¸ Ja-woon ) 한국서원학회 2020 한국서원학보 Vol.11 No.-

        본고에서는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반까지 김창협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석실서원 강학의 실제와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석실서원은 김상용과 김상헌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656년에 건립되어 조선후기 서울 지역 노론계의 대표적 서원으로 성장하게 된다. 그 계기 중 하나는 ‘충절서원’으로 출발한 석실서원이 ‘강학서원’으로 변모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조선후기 사회의 정치적 동향과 안동김씨 가문의 정치적 입지, 당시 서울·경지 지역의 문화적 특징과 서울 학계의 변화 등을 기반으로 김창협 형제는 전통 주자학의 의리론을 고수하던 당시 주류 노론과는 구별되는 매우 독특한 학풍을 지니고 있었고, 석실서원에서의 강학과 교류는 그들의 학풍이 서울 학계에 확산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김창협 사후 당쟁의 여파로 18세기 초반 한 때 침체되었던 석실서원은 18세기 중반 이래 김원행이 부활시킨 강학활동을 계기로 낙론의 학문을 전파하고 이후 전국 각지에서 정치적, 학문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한 많은 문인들을 배출함으로써 낙론의 본거지로서 학문적, 정치적 위상을 재정립하게 된다. 지금까지 정치사와 사상사 분야에서는 석실서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석실서원의 정치적 성격과 위상, 사상적 특징과 호락논쟁 사이의 연관성, 김원행 학문의 특징과 강학활동, 석실서원을 통한 지식과 지식인의 재생산이 조선후기 북학사상의 태동에 끼친 영향, 낙론 사상의 계승과 변모 양상 등이 상세히 구명되었다. 그러나 석실서원 강학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김원행이 제정한 석실서원 학규와 강규에 대한 소개, 그리고 김원행 시기의 강학활동에 집중되어 있을 뿐 김창협의 강학활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거의 시도된 바 없다. 그 이유는 김창협의 강학에 관련된 직접적인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농암집』에 수록된 시, 편지, 제문, 어록, 연보 등에 산견되는 기록을 최대한 검토하여 김창협 시기 이루어진 강학의 일상과 풍경의 단면을 들여다봄으로써 선행연구의 한계를 부분적이나마 보완하고,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반까지 김창협이 수행한 강학의 실제와 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김창협이 석실서원에서 본격적으로 강학을 시작한 시기, 강학의 운영 주기, 입원 자격과 조건, 강학 참여자들의 출신지역과 계층 및 배경, 서원에 유숙한 기간, 서원에 상주하며 강학에 참여한 문인들의 규모, 입문 절차와 입문 의례, 科業에 종사하는 유생들의 입원 허용 여부, 서원에서 공부한 서책, 강학의 방식과 형태, 강학의 절차와 강학 의례, 서원 공간의 활용, 김창협 부재 시 문인들의 학업 지도 등을 중심으로 김창협이 운영한 석실서원의 강학 실제와 운영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18세기 중반 김원행이 수행한 강학활동과의 차이를 일정부분 해명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과거 공부에 대한 김창협의 독특한 시각과 현실 대응관을 조명하였다. 그의 관점이 석실의 문인들을 교육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식으로 관철되고 있었는지를 석실 문인들의 과거 공부에 얽힌 몇 가지 일화들을 통해 소개하였다. 또한 과거 공부에 대한 그의 독특한 입장과 현실 대응은 퇴계와 율곡의 관점을 어떤 점에서 절충하고 넘어선 것이었으며, 김원행의 관점과는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지 구명하였다. 또한 김창협이 석실의 문인들에게 강조한 독서법과 공부론에 있어 그의 스승 이단상과 조성기의 관점을 어떤 점에서 계승하고 발전시켰는지를 아울러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김창협 사후 두 차례의 사화를 겪으면서 석실서원이 겪은 수난과 김창협을 이어 이재와 김원행에 의해 석실서원의 학풍과 강학이 어떻게 계승되었는지를 간략히 검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its characteristics at Seoksil-Seowon led by Kim Chang-hyup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Seoksil-Seowon was built in 1656 to commemorate the integrity of Kim Sang-yong and Kim Sangheon, and has grown into a representative seowon of the Noron community in Seoul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e of the reasons is that around the 18th century, Seoksil-Seowon changed from a seowon focused on integrity to a seowon focused on education. Based on the political trends of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olitical position of the Andong-Kim famil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changes in Seoul, Kim Chang-hyup brothers had a very unique philosophy that was distinct from the mainstream Noron at that time, which adhered to Chu Hsi's Neo-Confucianism. And education and exchange at Seoksil-Seowon played a key role in spreading their philosophy to the academic world in Seoul. In addition, Seoksil-Seowon, which was once stagnant in the early 18th century, has reestablished its academic and political status as the home of Nak-hak(洛學) since the mid-18th century. This was thanks to Kim Won-haeng restarting education at Seoksil-Seowon, preaching Nakhak and raising many disciples. So fa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eoksil-Seowon in the fields of history and philosophy. As a result, the historical, politic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oksil-Seowon were revealed, and Kim Won-haeng's philosophy and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introduced. However, the preceding research on education of Seoksil-Seowon mainly dealt with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m Won-haeng, and little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m Chang-hyup. The reason is that there are no direct data related to Kim Chang-hyeop's educational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acti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Kim Chang-hyup conducted at Seoksil-Seowon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by reviewing the education-related records in Kim's writings as much as possible. First, in Chapter II, I reviewed when was Kim Chang-hyup first started education at Seoksil-Seowon,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what was the qualification to enter Seoksil-Seowon, and whether those who were prepar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ere able to enter, how long they had been educated, what books they studied in the Seowon, and how they were educat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activities between Kim Won-haeng and Kim Chang-hyeop. In Chapter Ⅲ, I examined Kim Chang-hyup's unique perspective on the study for the civil service exam and his self-cultivation theory. And it was confirmed in what point his viewpoint was different from Toegye, Yulgok, and Kim Won-haeng. In the last chapter IV, I reviewed what kind of hardships Seoksil-Seowon suffered and how the educational practice of Seoksil-Seowon changed after Kim Changhy-up 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