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7세기 말-18세기 초 석실서원의 강학 실제와 특징 -농암 김창협의 강학 활동을 중심으로-

        김자운 ( Kim¸ Ja-woon ) 한국서원학회 2020 한국서원학보 Vol.11 No.-

        본고에서는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반까지 김창협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석실서원 강학의 실제와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석실서원은 김상용과 김상헌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656년에 건립되어 조선후기 서울 지역 노론계의 대표적 서원으로 성장하게 된다. 그 계기 중 하나는 ‘충절서원’으로 출발한 석실서원이 ‘강학서원’으로 변모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조선후기 사회의 정치적 동향과 안동김씨 가문의 정치적 입지, 당시 서울·경지 지역의 문화적 특징과 서울 학계의 변화 등을 기반으로 김창협 형제는 전통 주자학의 의리론을 고수하던 당시 주류 노론과는 구별되는 매우 독특한 학풍을 지니고 있었고, 석실서원에서의 강학과 교류는 그들의 학풍이 서울 학계에 확산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김창협 사후 당쟁의 여파로 18세기 초반 한 때 침체되었던 석실서원은 18세기 중반 이래 김원행이 부활시킨 강학활동을 계기로 낙론의 학문을 전파하고 이후 전국 각지에서 정치적, 학문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한 많은 문인들을 배출함으로써 낙론의 본거지로서 학문적, 정치적 위상을 재정립하게 된다. 지금까지 정치사와 사상사 분야에서는 석실서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석실서원의 정치적 성격과 위상, 사상적 특징과 호락논쟁 사이의 연관성, 김원행 학문의 특징과 강학활동, 석실서원을 통한 지식과 지식인의 재생산이 조선후기 북학사상의 태동에 끼친 영향, 낙론 사상의 계승과 변모 양상 등이 상세히 구명되었다. 그러나 석실서원 강학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김원행이 제정한 석실서원 학규와 강규에 대한 소개, 그리고 김원행 시기의 강학활동에 집중되어 있을 뿐 김창협의 강학활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거의 시도된 바 없다. 그 이유는 김창협의 강학에 관련된 직접적인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농암집』에 수록된 시, 편지, 제문, 어록, 연보 등에 산견되는 기록을 최대한 검토하여 김창협 시기 이루어진 강학의 일상과 풍경의 단면을 들여다봄으로써 선행연구의 한계를 부분적이나마 보완하고,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반까지 김창협이 수행한 강학의 실제와 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김창협이 석실서원에서 본격적으로 강학을 시작한 시기, 강학의 운영 주기, 입원 자격과 조건, 강학 참여자들의 출신지역과 계층 및 배경, 서원에 유숙한 기간, 서원에 상주하며 강학에 참여한 문인들의 규모, 입문 절차와 입문 의례, 科業에 종사하는 유생들의 입원 허용 여부, 서원에서 공부한 서책, 강학의 방식과 형태, 강학의 절차와 강학 의례, 서원 공간의 활용, 김창협 부재 시 문인들의 학업 지도 등을 중심으로 김창협이 운영한 석실서원의 강학 실제와 운영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18세기 중반 김원행이 수행한 강학활동과의 차이를 일정부분 해명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과거 공부에 대한 김창협의 독특한 시각과 현실 대응관을 조명하였다. 그의 관점이 석실의 문인들을 교육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식으로 관철되고 있었는지를 석실 문인들의 과거 공부에 얽힌 몇 가지 일화들을 통해 소개하였다. 또한 과거 공부에 대한 그의 독특한 입장과 현실 대응은 퇴계와 율곡의 관점을 어떤 점에서 절충하고 넘어선 것이었으며, 김원행의 관점과는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지 구명하였다. 또한 김창협이 석실의 문인들에게 강조한 독서법과 공부론에 있어 그의 스승 이단상과 조성기의 관점을 어떤 점에서 계승하고 발전시켰는지를 아울러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김창협 사후 두 차례의 사화를 겪으면서 석실서원이 겪은 수난과 김창협을 이어 이재와 김원행에 의해 석실서원의 학풍과 강학이 어떻게 계승되었는지를 간략히 검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its characteristics at Seoksil-Seowon led by Kim Chang-hyup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Seoksil-Seowon was built in 1656 to commemorate the integrity of Kim Sang-yong and Kim Sangheon, and has grown into a representative seowon of the Noron community in Seoul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e of the reasons is that around the 18th century, Seoksil-Seowon changed from a seowon focused on integrity to a seowon focused on education. Based on the political trends of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olitical position of the Andong-Kim famil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changes in Seoul, Kim Chang-hyup brothers had a very unique philosophy that was distinct from the mainstream Noron at that time, which adhered to Chu Hsi's Neo-Confucianism. And education and exchange at Seoksil-Seowon played a key role in spreading their philosophy to the academic world in Seoul. In addition, Seoksil-Seowon, which was once stagnant in the early 18th century, has reestablished its academic and political status as the home of Nak-hak(洛學) since the mid-18th century. This was thanks to Kim Won-haeng restarting education at Seoksil-Seowon, preaching Nakhak and raising many disciples. So fa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eoksil-Seowon in the fields of history and philosophy. As a result, the historical, politic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oksil-Seowon were revealed, and Kim Won-haeng's philosophy and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introduced. However, the preceding research on education of Seoksil-Seowon mainly dealt with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m Won-haeng, and little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m Chang-hyup. The reason is that there are no direct data related to Kim Chang-hyeop's educational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acti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Kim Chang-hyup conducted at Seoksil-Seowon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by reviewing the education-related records in Kim's writings as much as possible. First, in Chapter II, I reviewed when was Kim Chang-hyup first started education at Seoksil-Seowon,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what was the qualification to enter Seoksil-Seowon, and whether those who were prepar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ere able to enter, how long they had been educated, what books they studied in the Seowon, and how they were educat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activities between Kim Won-haeng and Kim Chang-hyeop. In Chapter Ⅲ, I examined Kim Chang-hyup's unique perspective on the study for the civil service exam and his self-cultivation theory. And it was confirmed in what point his viewpoint was different from Toegye, Yulgok, and Kim Won-haeng. In the last chapter IV, I reviewed what kind of hardships Seoksil-Seowon suffered and how the educational practice of Seoksil-Seowon changed after Kim Changhy-up died,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書院) 강학(講學) 관련 자료의 유형과 특징

        김자운 ( Kim Ja-w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8 No.-

        이 연구는 소수, 도산, 도동, 옥산, 돈암서원 등 5개 서원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서원 강학(講學)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유형화하고 서원별 강학의 특징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강학 자료를 분류하기 위한 타당한 분류 기준을 확립하고, 자료의 내용과 성격에 따라 크게 규약류·강학 시행 기록·강학 의례·강학 재정 관련 기록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규약류 자료를 통해서는 학파, 당파별 원규의 계승과 절목에 나타난 원규의 변용, 서적의 간행과 유통이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등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학 시행 기록 중강안류 자료를 통해서는 참여자의 규모와 소임 및 고강성적, 일기류 자료에서는 강학의 절차와 시행 방법 및 서원에서의 하루 일과, 강록류 자료에서는 통독 시 토론 방법과 문답의 수준, 토론 시 훈장의 역할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강학 의례에서는 정읍례나 상읍례의 정식적 의례 외에도 경독, 개접례, 파접례, 지례(贄禮), 수창시 등 관습적 의례를 살펴보았다. 넷째, 강학 재정 관련 자료를 통해서는 조선 후기 각 서원의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양사청, 강학계 등 강학 전담 재정기구를 설치하여 강학 개설을 시도하고자 했던 각 서원의 노력을 엿볼 수 있었다. 강학 의례 중 ‘지례’는 조선시대 관학에는 없었던 ‘택사(擇師)’의 교육적 의미, 근대교육이 결한 사제관계의 교육적 함의를 드러내며, 상읍례와 정읍례를 통해서는 도덕적 마음과 관계의 훈련이 의례를 통해 어떻게 훈련되고 내면화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원 강학의 마지막 절차가 시험이나 평가가 아니라 각자 강학에서 얻은 교육의 성과를 나누고 공유하는 수창시로 갈무리된다는 사실은, ‘이택지력(麗澤之力)’을 실현하는 교육공동체로서 서원의 의미를 잘 보여준다. 이 같은 서원 강학 의례의 교육적 의미는 관계에 대한 훈련의 문제가 매우 절실한 현대 교육에 하나의 대안으로서 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o classify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and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rch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osu-Seowon, Dosan-Seowon, Dodong-Seowon, Oksan-Seowon, Donam-Seowon.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nature of the archives, I divided educational archives into four types: the record of rules of Seowon education, the record of actual education, the record of ritual, and the record of financial. First, through the record of rules, I have identified how the rules are passed down and changed from Seowon to Seowon and impact of book publishing and distribution on changes in Seowon Curriculum. Secondly, through the record of educational practice, I have examined the siz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eowon education, the role of officers,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education, the daily routine in Seowon, the methods of discussion and questions in lectures, and the role of teachers in discussions etc. Third, through the record of rituals, I examined customary rituals such as Gyeongdok(敬讀), the rites for opening class(開接禮) and the last class(罷接禮), and the rites for Master-Disciple Relationshipe(贄禮) in addition to official rites such as Jeongeuprye(庭揖禮) and Sangeuprye(相揖禮). Fourth, through the record of financial, we could see howthe late Joseon Seowon tried to continue the education by setting up a financial institution dedicated to education despite severe financial difficultie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typification method of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that have been attemp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odel for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education archives of Joseon Seowon. However, this needs to be supplemented and discussed further. In addition, if a methodology can be developed to collect a wide range of materials that have been scattered over various materials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d typification of the materials, it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horizon of Seowon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와 교육적 의미

        김자운(Kim, Ja-woon)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6 No.-

        이 연구는 조선 서원의 강학 관련 의례를 검토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 서원은 보통 제향공간과 강학공간을 중심으로 크게 의례와 교육의 두 가지 기능을 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강학의 과정에서도 의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강학 절차는 문자를 매개로 한 지식의 전수 뿐 아니라 다단한 의례들이 긴밀하게 통합된 채로 이루어졌다. 이 의례들은 홀기라는 정형화된 형식을 갖춘 의례부터 비형식적, 관습적 의식에 이르기까지 성격이 다양하다. 최근 학계에서 통용되는 개념을 적용한다면, 강학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형식적, 비형식적 의례들은 제향의례와는 성격이 다르지만, 강학을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서원의 교육 이념을 실현하는 과정이자 중요한 매개체였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의례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조선 서원의 강학 의례에 대한 연구는 강학 의례와 관련된 자료를 소개하거나 특정 서원의 의례를 소개한 연구 및 관학의 의례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서원 강학 의례를 종합적으로 범주화하고 그 내용과 의미를 본격적으로 탐구한 연구는 아직까지 시도된 바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강학의 절차에서 시행된 형식적, 비형식적, 관습적 차원을 포함한 다단한 의례들을 ‘강학의례’라는 용어로 통칭하여 범주화하고 그 내용과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그런데 강학의 절차에서 시행된 형식적, 비형식적, 관습적 차원을 포함한 다단한 의례들을 ‘강학 의례’라는 용어로 지칭하기 전에 한 가지 검토해야 할 문제가 있다. 조선 서원에서 행해진 다양한 유형의 교육활동 중 과연 어디까지를 강학의 범주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가 그것이다. 이는 조선 서원의 강학 이념이 강학 실제를 통해 구현되는 과정에서 의례가 지닌 의미를 밝히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먼저 ‘서원 講學’의 범주 문제와 ‘강학 의례’의 관계를 검토하고 ‘강학 의례’의 범위와 개념을 규정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논의를 토대로 조선 서원의 강학 이념을 검토하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敬讀, 講會, 通讀, 庭揖禮, 相揖禮, 鄕射禮, 鄕飮酒禮, 開接禮, 罷接禮, 酬唱詩 등 서원의 강학 의례가 강학의 이념과 실제 사이에서 어떤 역할과 매개체로서 작동하였는가를 첫째, 강학 이념과 공부론의 내면화, 둘째, 麗澤觀善의 실현과 조선 성리학의 독자적 학파 계승, 셋째, 敎以禮樂의 실현, 넷째, ‘學校興’의 사명과 호혜적 배움의 실현이라는 네 가지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ituals related to Ganghak (講學) in Chosun Seowon and to reveal its educational meaning. Joseon Seowon is generally understood to have played two functions, ritual and education, centered on ritual space and educational space. However, even in the course of Ganghak(講學), rituals played a very important part. The course of Ganghak(講學) was carried out in a tightly integrated the rituals as well as the transfer of knowledge through letters. These rituals vary in character, ranging from formal rituals to informal and customary rituals. If the concepts commonly used in the academic world are applied, these various rituals performed in the course of Ganghak(講學) are different from those of Jehyang rites(祭享儀禮), but they are included in rituals in a broad sense in that they were a process and an important medium for realizing Seowon s educational philosophy. However, before referring to these various rituals as the term ganghak ritual(講學儀禮) ,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reviewed. It is the question of how far out of the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conducted in Chosun Seowon will be considered as the category of Ganghak(講學). This is directly related to clarifying the meaning of ganghak rituals in the education of Chosun Seowon. In Chapter II, the scope of Seowon Ganghak(講學) was first defi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t and the Ganghak ritual was reviewed. In Chapter Ⅲ, based on the discussion in Chapter Ⅱ, the philosophy of Ganghak(講學) in Chosun Seowon was reviewed. In Chapter IV, the role and meaning of various Ganghak(講學) rituals between 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Ganghak(講學) was examined from four perspectives.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公的 기반 변화와 그 대응

        김자운(Kim, Ja-woon)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2

        이 연구는 소수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서원 교육의 토대였던 공적 기반 변화와 그 대응 방식에 따라 서원교육의 정체성과 성격이 어떻게 변화해왔는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 서원은 공적 기반 확보를 위해 국왕에게 사액을 요청하여 국가의 공식적 승인과 지원을 획득함으로써 서원의 위상을 확립하는 한편, 지방관의 행 재정적 지원을 통해 서원교육의 실질적 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서원 운영에 있어, 관권을 배제한 향촌자치제를 강조했던 퇴계의 서원론을 따르던 영남 남인계 서원들 역시 조선후기로 가면서 경제적 기반이 약화되자 점차 관권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지방관의 행 재정적 지원 없이 서원교육의 유지는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였으므로, 교육 이념과 내용 면에서는 관권의 개입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한편, 행 재정적 지원 확보를 위해 서원에서는 끊임없이 관권을 개입시키고자 하는 이중적 태도를 취하였다. 이와 같이 관권의 개입과 배제라는 모순적, 이중적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조선시대 서원이 처했던 딜레마와 다양한 대응 방식을 소수서원 사례를 통해 엿볼 수 있다. 한편, 16세기 소수서원은 공적 기반 뿐 아니라 교육의 성격에 있어서도 사학보다는 관학에 더 가까웠다. 16세기 풍기군수 주세붕과 경상감사 안현은 서원을 관학과 다름없는 교육기관으로 인식, 관학에 버금가는 특전을 제공하고, 교육 내용에 있어서도 철저하게 과거 대비를 위한 교육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후 도학으로 무장한 사림들이 정계에 진출, 풍기군수로 부임하면서 서원을 관학의 연장선에서 바라보던 서원관에 변화가 일어났고, 서원교육이 이념적으로 관학에서 독립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17세기 풍기군수 이준은 지방관이자 동시에 사림의 일원으로서, 서원의 공적 기반을 제공하는 한편, 교육 이념에 있어 관학적 성격의 탈피를 주장하며 파격 논쟁에서 파격의 근거와 논리를 확립하였다. 우여곡절 끝에 그의 논리가 관철되면서 그는 서원교육이 관학적 성격에서 벗어나 주자와 퇴계가 주장한 서원의 사학 정신을 소수서원에 확립한 계기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18세기 소수서원은 과거공부만하던 관학적 속성에서 벗어나 비로소 주자의 사학 정신과 이념을 확립하고 이를 실천하는 도학서원으로 재탄생할 수 있었다. 18세기 소수서원은 이념적으로는 관학에서 독립하였으나 18세기부터 지방관의 전폭적 지원이라는 특혜가 사라지면서 서원교육의 공적 기반을 상실하였다. 이에 삼동거재와 윤번거재, 양사청의 설치 등 다양한 자구책을 동원하여 교육을 지속하고자 도모하였다. 그러나 18세기 말 양사청이 완전히 폐지되면서, 교육을 지속하기 위해 다시 관의 지원을 확보할 묘안을 강구해야 했다. 이에 겸원장 제도를 마련하여 다시 관권을 개입시킴으로써, 공적 기반을 확보하고 수령의 지원과 참여를 끌어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공적 기반 확보를 위해 의도적으로 관권을 개입시킨 결과 수령의 지원과 참여는 또 다시 과거공부의 폐단을 낳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19세기 서원의 지도자들은 과거공부가 도학을 방해하고 서원 본래의 교육이념을 해칠까 우려하며, 관권을 개입시켜 공적 기반을 확보하는 한편, 교육내용에서는 과거공부에 치우치지 않고 道學과 科業의 균형과 조화를 유지하기 위해 다방면의 노력을 강구하였다. 19세기 소수서원 동주 이가순과 강운의 사례에서 그 고군분투의 과정을 엿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rough a positivistic examination of Sosu Seowon, how the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 of seowon education have changed and how the public foothold of private academies changed during the Joseon Dynasty. Conventional views hold that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dynasty made a transition from centralized to decentralized, with the government yielding its educational authority to local literati, thus shifting the nature of education from a government-operated education system to a private education system. A micro-historical analysis of Sosu Seowon, however, shows the coexistence of government initiatives and the local literati’s educational influences, as well as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characteristics. This is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view that there was a linear change in the Joseon Dynasty education system. Sosu Seowon continuously secured a public foothold and maintained its identity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playing the role of a public academy at one time and a private academy at another, respon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changes in Sosu Seowon’s public foothold have been closely linked to changes in its educational ideology and content. Understanding Joseon Dynasty seowon education, therefore, requires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in the public foothold of seowon. Characterizing seowon education in a dichotomous way, without a thorough analysis, as “public” or “private,” or “government-centered” or “private academy-led,” might distort the realities of seowon educ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a case study,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in seowon education’s public foothold and its responses to changes of the times from the 16<SUP>th</SUP> to 19<SUP>th </SUP> centuries.

      • KCI등재

        조선시대 호계서원(虎溪書院)의 위상과 강학활동

        김자운 ( Kim Ja-wo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5 No.-

        호계서원(虎溪書院)은 퇴계의 선향이자 퇴계가 어릴 적 독서하던 곳이라는 연고로 퇴계를 주향하기 위해 안동지역에 최초로 건립된 서원으로, 17세기 이후 안동의 수원(首院)이자 예안의 도산서원, 경주의 옥산서원과 함께 영남지역의 대표적인 서원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같은 호계서원의 위상과 조선후기 병호시비의 근거지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동안 정치사회사 분야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호계서원 강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한 형편으로 19세기의 「호계강록(虎溪講錄)」을 다룬 두 편의 연구 외에 본격적으로 시도된 바가 없다. 이는 강학과 관련하여 직접적으로 확인되는 기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관련 인물들의 문집 등에 수록된 시, 편지, 연보, 행장 등 관련 기록과 맥락을 최대한 검토, 추적하여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호계서원 강학의 전체적인 흐름과 변화상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퇴계 문인들에 의해 건립된 호계서원이 퇴계의 서원관과 도학론을 충실히 계승하는 한편, 당시까지 매우 부진했던 안동향교의 교육기능을 대신하여 관학에 버금가는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퇴계의 이산원규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입원 규정에서만큼은 과거 입격자를 우선으로 규정한 호계서원의 원규, 안동부 및 안동향교와의 긴밀한 협력관계 속에서 설립, 운영되었으며 호계서원의 주요 인물들이 16세기 안동향교의 운영까지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17세기까지의 강학이 과업(科業)을 목적으로 한 거접 중심으로 시행되었고, 완공된 건물의 규모가 관학의 규모를 훨씬 능가하고 있다는 점 등을 통해 적어도 16세기의 호계서원은 관학에 버금가는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16-17세기 강학의 전개상을 개략적으로 검토하였다. 권호문의 문집 기록을 통해 16세기 강학은 ‘알묘례-강학-수창시’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16세기 강학은 퇴계 저술의 교정 작업과 병행하여 시행되었고, 강학과 교정은 때로는 일회적으로, 때로는 며칠씩 서원에서 유숙하면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 ‘누에 오르면 감발하는 효과가 있어 호연지기를 기르고 연비어략의 이치를 깨우치는 데 적합하다’고 하여 강당인 숭교당 외에 유식공간이었던 양호루가 강학 공간으로 자주 활용되었으며, 이는 ‘장수(藏修)와 유식(遊息)’을 아우르는 서원 강학의 목표와 의미를 드러내는 대목임을 지적하였다. 남치리의 원규에는 동몽 강학에 대한 규정이 없으나 배용길이 16세기 강회에 참여할 때마다 ‘소아(小兒)와 함께 동몽재에 우거하였’으며 동몽재의 규모가 15칸이나 되었다는 점, 또 18세기 김성탁이 15세의 나이로 호계서원 거접에 참여하였다는 기록을 토대로, 16세기부터 15세 이하 동몽들을 대상으로 동몽 강학이 시행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17세기 후반 김성탁이 ‘전례대로 수일간 거접에 참여하여 과거문자를 익혔다’는 기록에 따르면 17세기까지 과업(科業)을 목적으로 한 거접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4장에서는 18-19세기 강회의 변화상 및 심학적 성격과 실천적 학풍을 검토하였다. 18세기 후반으로 가면서 ‘알묘례-정읍례-상읍례-강독과 발문, 토론-강회 후 산수 유람-파재 시 수창시’의 순서로 강회의 절차와 방식이 체계화되었으며, 1765년 대산 이상정이 이끈 심경강회를 기점으로 강회 참여자의 명단과 강회의 전말, 문답 내용을 제명록, 차록, 강회록 등의 기록으로 남기는 관례가 정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 지방관의 흥학책과 그에 대한 적극적으로 대응으로 18-19세기 강회가 활성화되었으며, 18-19세기 호계서원 강회를 주도한 인물들의 사승관계 분석을 통해 호계서원 강회는 ‘퇴계로부터-학봉 김성일-갈암 이현일-밀암 이재-대산 이상정’으로 이어지는 학맥 형성에 핵심적인 매개체가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18-19세기에 가장 많이 활용된 강회의 주요 텍스트는 심경이었으며, 강회에서 공부한 내용을 더욱 궁구하여 체득하고 일상생활의 언어와 동작에서 실천하는 자만이 진정한 ‘강학인’이라 강조하고, 19세기 붕당의 폐해와 유림의 분열상을 극복하기 위한 해법을 서명(西銘)에서 찾고 일상에서 이일분수의 실천을 강조한 19세기 강회 등을 통해 이 시기 호계서원 강회의 특징과 경향성이 심학과 실천적 학풍을 지향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호계서원 강학의 전체적인 흐름과 변화상은 개괄적으로 추적하였으나, 강학의 가장 핵심에 해당하는 강회의 주요 내용과 문답 기록까지는 미처 분석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 수집한 자료 외에 향후 관련 자료를 좀 더 추적, 보완하여 본고에서 미처 수행하지 못한 강회의 주요 내용과 문답 기록에 대한 분석은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하고자 한다. Hogye-Seowon(虎溪書院) is the first Seowon established in Andong area to celebrate Toegye because it was a place where Toegye was reading when he was a child. After the 17th century, it has grown into a representative Seowon in the Yeongnam region along with Dosan-Seowon and Oksan-Seowon. Paying attention to the status of Hogye- Seow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political history. However, there are only two thesis on education in the 19th century on the study of Hogye-seowon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little data on education of Hogye- Seowon. Therefore, I tried to trace the overall flow and changes of Hogye Seowon educati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by investigating the data on Hogye-Seowon education as much as possible. In Chapter 2, I first analyz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Hogye-Seowon, and then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dongbu(安東府) and Hogye-Seowon. In 1576, Nam, chi-ri(南致利) creat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Hogye-Seowon, imitating Toegye's Isan-Seowon regulations. However,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addition, Hogye-Seowon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in a very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Andongbu.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Chapter 2 I confirmed that the 16th century Hogye-Seowon played the same status and role as the Andong-Hyanggyo. In Chapter 3, I review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Hogye-Seow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7th century. Through this, the operation status of children's education, the space used for educ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method were confirmed. In Chapter 4, I reviewe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system of Hogye-Seowon, the changes in textbooks and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chool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Hogye-seowon's educational system began to change systematically starting with the Simkyung-Lecture(心經講會) led by Daesan(大山) Lee, Sang-jung(李象靖) in 1765. An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book they studied hardest at Hogye-Seowon was Shimkyung(心經). In addition, the teachers at Hogye-Seowon put great emphasis on practicing what they learned in Seowon in their daily life.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Hogye- Seowon educa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an be found in the learning of the mind and practical academic practices. Through the education at Hogye-Seowon, the people who led the schooling were forming a academic network leading to “Toegye Lee Hwang(退溪李滉)-Kim, Seong-il(金誠一)-Lee, Hyun-il(李玄逸)-Lee, jae(李栽)-Lee, Sang-jeong(李象靖)”.

      • KCI등재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서원의 교육환경-세계유산 등재 전후 문화재청 정책과 서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자운 ( Kim Ja-woon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3 No.-

        2019년 한국의 서원 9개소가 연속유산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최근 서원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과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유네스코가 인정한 한국 서원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의 핵심은 첫째, 조선왕조의 성리학 교육기관을 대표하는 9개 서원이라는 점, 둘째, 몸과 마음의 전인적 수양을 위한 교육환경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산수 근처에 위치), 셋째, 중국에서 발원한 성리학을 한국의 교육적, 사회적 관행으로 토착, 발전시킨 문화적 전통의 우수한 증거라는 점, 넷째, 그 정신적 가치의 많은 부분이 계승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보존상태가 우수하다는 점이다. 유네스코가 지적한 바와 같이, 한국 서원의 ‘진정성 있고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해서는 ‘대중성’ 뿐 아니라 ‘정신적 가치’의 계승과 재해석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서원의 교육과 활용을 위해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과 각 서원의 실제 교육환경은 이 두 가지를 과연 얼마나 제대로 충족시키고 있을까?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세계유산 등재 전후 문화재청 정책을 비교하고, 최근 서원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진정성 있고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서원의 교육환경’을 모색하고자 한다. 세계유산 등재 이전부터, 서원의 활용은 2014년 정부 국정 과제의 일환으로 추진된 ‘살아 숨 쉬는 향교ㆍ서원 만들기’ 사업을 기점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으며, 2019년 세계유산 등재 이후 현재까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화해오고 있다. 또한 정부 국정 과제가 시작된 2014년을 전후로 문화콘텐츠와 관광학 분야에서는 문화재활용 사업 및 유교문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재와 유교문화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방향 모색과 모니터링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세계유산 등재 이전까지를 대상으로 대부분 특정 지역이나 특정 시기의 문화재 활용 사업에 국한되어 있어 최근 현황 및 향후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시사점 제공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세계유산 등재 이전과 이후로 문화재청 정책의 변화와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최근 운영되고 있는 서원 교육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진정성 있고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서원의 교육환경’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세계유산 등재 이전 문화재청 정책을 ‘살아 숨 쉬는 향교ㆍ서원 만들기’ 사업의 목적과 성격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둘째, 세계유산 등재 이후 문화 재청 정책 및 통합보존관리단 사업의 성과와 과제, 셋째, 최근 서원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성과와 과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유네스코가 한국 서원의 ‘OUV’를 인정한 가장 중요한 지점 중 하나는 서원이 ‘중국에서 발원한 성리학을 한국에 맞게 토착적으로 발전시킨 우수한 문화적 증거’라는 점에 있다. 즉, ‘중국의 것을 조선의 것으로’ 의미 있게 변용,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이제 우리 시대가 담당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는 단순한 모방과 계승을 넘어 현대의 상황에 맞게 그 가치를 변용, 발전시켜 ‘조선의 서원을 21세기의 서원으로’ 재해석하고 재탄생시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eowon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The use of seowon has been gradually revitalized starting with the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government in 2014 and the registration of the Korean seowon as a World Heritage Site in 2019. However, there is a lack of comprehensive research on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and the use of seowon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ies before and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comprehensively reviews the recent educational programs at seowon to seek 'seowon’s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To this end, first, we will review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y prior to World Heritage listing, focusing on the purpose and nature of the ‘Creating a Living Hyanggyo and Seowon’ project. Second, changes, achievements and tasks i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ies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will be reviewed. Third, I would like to review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recent educational programs at seowon.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that UNESCO recognized the ‘OUV’ of Korean seowon is that seowon is ‘excellent cultural evidence that indigenously developed Neo-Confucianism that originated in China for Korea’. In other words, it is a meaningful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seowon into Joseon seowon’. Now, the most important task of our time is not to simply imitate and inherit the value of the seowon. It is about transforming and developing its value, reinterpreting and reinventing the seowon of the Joseon Dynasty into the seowon of the 21st century.

      • KCI등재

        16세기 소수서원 교육의 성격

        金紫雲 ( Kim Ja-woon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8 No.-

        이 연구는 학교로서 조선조 서원이 수행한 교육의 성격과 그 성격의 변화 과정을 소수서원 사례를 중심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1543년 주세붕에 의해 창건된 이래 조선의 서원은 흔히 ‘官學’이 아닌 ‘私學’으로, ‘士林’이 그 설립과 운영의 주체가 되어 본받을만한 스승이나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道學’을 講明한 곳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조선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을 설립한 주세붕은 사림보다는 공신 계열에 가까운 인물이었고, 16세기 소수서원에서 행해진 교육도 道學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으며, 운영 주체나 학교의 성격 면에서도 官學과 私學의 구분이 매우 모호한 상태였다. 이는 학교로서 조선조 서원의 성격이 시대를 거치면서 변화해갔음을 말해준다. 그렇다면 16세기 소수서원에서는 과연 무엇을 목표로, 어떤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을까. 백운동서원은 설립된 지 3년만에 ‘이 서원에서 공부하면 5년도 안되어 모두 과거에 급제한다’고 회자될 만큼, 과거 공부를 가장 효율적으로 시키는 科學(科擧之學)의 명소로 급부상하고 있었다. 또한 1558년 스무살의 나이에 소수서원에서 공부하던 학봉 김성일은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 과거 공부만 하고 자신을 위하는 학문을 알지 못한다면, 이는 아주 부끄러운 일이다’고 하며 과거에 뜻을 접고 도학을 탐구하기 위해 소수서원을 떠나 도산서당으로 가서 퇴계의 문하가 되었다. 이 일화들은 16세기 소수서원의 교육 실제와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즉, 16세기 소수서원은 교육의 내용과 효과 면에서 무엇보다 科業을 충실히 수행하는 곳이었다. 그렇다면 16세기 소수서원 교육이 이와 같은 식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배경은 과연 무엇이고, 그 교육은 어떤 이념 하에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의미는 과연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또 16세기 이 후 소수서원 교육의 이념과 실제는 과연 어떻게 변화해갔는가? 본고는 이와 같은 물음에 답함으로써 조선조 서원 교육의 성격과 그 변화 과정의 일단을 살피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Seowon in Choseon dynasty focused on Sosu-Seowon. Choseon Seowon is usually regarded as a private school not a government-operated Academy. Also, people think Seowon was built and managed by gentry and they explored dohak(道學) in Seowon. However, Jusebung who established the first Seowon was more close to a meritorious retainer rather than gentry and the education in 16th century was somewhat different with dohak. In addition it was very ambiguous to regard Sosu-Seowon in 16th century as government-operated Academy or private school.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hoseon Seowon has gone to change over time. Then, what was the educational purpose of Sosu-Seowon in 16th century and how the education was accomplished? The government-operated Academy of Choseon was losing the educational function in 16th century. So Jusebung regarded Seowon as the replacement of government-operated Academy. As the result, the education in 16th century was focused on preparation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the result of this education was very effective. Although Jusebung did not inherit Chu hsi’s educational philosophy with Seowon, he successfully carried out his duty to reconstruct school as a local magistrate. Since the 17th century,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actice of Sosu-Seowon began to change, finally, Seowon was a place to explore and practice the do-learning(道學) not prepare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 KCI등재

        귀 지압이 간호사의 두통과 일상생활 두통 영향에 미치는 영향

        강혜원,김자운,김은미,문보배,정진영,이은진,Kang, Hye-Won,Kim, Ja-Woon,Kim, Eun-Mi,Moon, Bo-bae,Jung, Jin-Young,Lee, Eun-Jin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2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headaches and its impact on daily activities in nurses.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 to April 14, 2022. Nurses suffering from headaches were recruited from a hospital in a city. Twenty nurse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nurses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uricular acupressure for 2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put on the waiting list. Results: Auricular acupressure reduced headache over 2 week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uricular acupressure reduced the effect of headache on daily activities compared to control group. Headache effect on daily activitie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chang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repeat the study using various combinations of acupressure points other than the acupressure points used in this study or to use participants other than n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