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주부의 일상생활활동의 시ㆍ공간적 특성

        박순호(Soon-Ho Park),김은숙(Enn-Sook Kim) 한국인구학회 1998 한국인구학 Vol.21 No.2

        기혼여성의 사회진출이 증대되고 있는 사회 현실속에서 취업주부는 사적ㆍ공적 영역에서 임금노동자로서의 역할과 가사 및 자녀양육이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됨으로써 겪게 되는 부담이 크다. 이러한 취업주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전반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들의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 은 다음,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가족의 생애주기와 자녀와의 결합제약을 고려하여 일상생활활동의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로 전형적인 세대를 선정하여 세대 및 개인 속성과 관련하여 미시적이고 상세한 분석을 시도했다. 취업주부의 일상생활은 업무활동과 가사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출 활동의 공간적 범위는 업무가 있는 날에는 직장주변이나 거주지 중심, 업무가 없는 날에는 거주지 중심 또는 친척이 거주하는 장소에서 이루어져 거주지 주변에서 대부분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전업주부보다는 비교적 먼거리까지 활동이 이루어지나, 대체적으로 거주지 지향적 활동공간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구조적 제약뿐만 아니라, 직주간 거리 및 보육시설 입지 등과 같은 공간적 사상에 의해 더욱 가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arried women who follow occupations have remarkably increased. Economic-activies married women[EAMW] have experienced a great degree of role confilcts as the results of that they should play the role of wage workers and do duty as household affairs as well as raise children. To understand problems of EAMW and to make alterniative plans for EAMW, the daily life actives of EAMW should be examined.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daily life activities of EAMW. To obtain the goal this research generalizes the daily life actives of EAMW, classifies the patterns the activities, and analyzes the activities in the micro-level. The activities of EAMW mainly consist of formal business and household affairs. The spatial bounds of activities are influenced by weekdays and holidays. During the weekday their activities are mainly found around residences and/or work places; while, during the weekend, they are discovered around residences and/or around residences or relatives wh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EAMW move longer distance rather than a full-time housewife; however, the activities of EAMW are residential orientation like those of full-time housewives. The role conflicts of EAMW are mainly from social cultural structure, the distance between workplace and residence, and the location of public service institutes.

      • 한국과 일본의 보육정책 특성

        김은숙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보육정책의 특성을 고찰하고, 보육정책을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사회제도적 환경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한국의 보육정책은 정부의 공적 책임을 최소화하면서 민간의 참여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온 반면, 일본의 보육정책은 정부의 공적 책임을 명시하면서 동일 행정구역내 지역 · 세대소득간 격차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이렇게 상이하게 전개되어 온 양국의 보육정책 형성의 이면에는 일본이 한국에 비해 산업화를 일찍 경험함으로써 사회복지 공급을 위한 재정적 환경이 일찍부터 정비되었다는 점, 산업화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도시문제의 해결을 위한 지역주민의 조직화된 요구가 한국보다 빠른 시기에 사회적으로 표출되었다는 점, 그리고 일본의 각 지방자치체들이 이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던 점을 들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volution of the child-care policy in Korea and Japan and recommend come policy implications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socio-institutional conditions in child-care policy between both countries. The child-care policy in Korea had focused on minimizing public involvement while encouraging private participations for child care. On the contrary, the Japanese government have officially taken responsibility for the child-care by attempting to mitigate gaps in welfare service provision between classes and sub-urban areas. It is clear that Japan is more advanced than Korea in terms of introducing child-care service provisions and policy initiatives. The reasons for such a child-care service gap between two countries can be identified as follows. Firstly, needless to say, Japan experienced its industrialization earlier than Korea. We see that most economically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Japan, and Western Europe have established a well organised welfare service system. Second,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role of Japan's civic organizations. From the early 1960s, they have conducted social movements to force the government to activate the child-care policy. It is contrast to Korea that civic organizations have just begun to be interested in the child-care issues from the early 1990s. Lastly, in addition to the role of civic organizations, Japan's local authorities have played a critical role in localizing and initiating the child-care policy. Since the 1960s, they have made great efforts to find and meet the local-specific needs for child-care service. Such Japanese experiences would give us to think of making the child-care policy in Korea. As a first step to make the local-specific child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establish successfully, the decentralization of government functions and the efforts of local civil society should be crucial.

      • 일상 생활활동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동향

        이철우,김은숙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1997 社會科學 Vol.9 No.1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사회과학에서의 일상 생활활동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일상 생활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이론적 배경, 그리고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지리학 분야에서의 일상 생활연구의 과제를 밝힌다. 일상 생활에 대한 논의는 모두 삶의 구체성을 중시하고는 있지만 이러한 세계를 분석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념과 분석도구보다는 형이상학적인 수준에서 그리고 난해한 언어로 논의되어지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는 지금까지의 삶을 형성하는 기본 단위인 공간과 시간이라는 두가지 요소 가운데 공간의 생산측면이나 그것이 변증법적인 관계에서 환류되어 사회로 표출되도록 만드는 공간적 측면을 간과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일상 생활세계에 대한 연구는 사회구조가 어떻게 개개인에게 내면화되고 구체적인 형태로 드러나게 되는지, 또한 이러한 형태가 공간상에서 어떻게 재현되며 다시 사회안에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지를 밝혀야 한다. 즉, 일상 생활세계의 현실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기인하며 사회라는 커다란 틀 안에서 생성되고 공간에서 재현, 그리고 다시 사회 즉 개개인에게로 전이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일상 생활의 경험을 통해서 계속적으로 획득되며 생성되고 변형되는 ‘아비투스’개념은 앞으로의 일상 생활활동연구에 중요한 개념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인간행위의 원리인 아비투스와 이것이 생성되고 재현되어지는 공간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future task on daily life research of geography through reviewing previous research in social science. Although the arguments on daily life have put emphasis on reality of life, they are repeated by metaphysical and abstruse language rather than concrete concept and approach until now. This tendency results from overlooking space of the two. especially the productivity of space, though Life consists of space and time. The daily life researchers must consider spatial as well as social aspects and study agent, social structure and space by dialectic analysis. That makes the nature of real life understood. On the daily life research it has to be found not only how individual internalizes social structure and this gets into manifest shape, but also how this manifest shape represent on space and that makes human relation in society.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reality of daily life world results from interrelation with others, is created in society, is represented on space, and influenced each of individual, the concept of 'habitus', which is obtained, created, and transformed in the experience of daily life becomes important on daily life activities research. The future task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habitus of the principles of human action, and space that create and represent human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