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최적의 GIS 기반자료 확보를 위한 위성영상 융합기법 연구

        김수철(SooChul Kim),한정현(JungHyun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위성영상으로부터 적절한 정보를 추출하여 GIS(지리정보시스템)의 기반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간해상도와 분광해상도가 모두 우수한 양질의 고해상 영상을 확보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위성영상은 이 두가지를 모두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융합기술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하여 IHS · PCA · Wavelet 등의 융합기술들을 실험하였고 두가지 해상도를 모두 만족시키는 고해상 영상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실험 결과를 시각적 ·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IHS 융합기법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보였다.

      • KCI등재
      • KCI등재

        2010년 이후 에스닉 푸드를 둘러싼 한국의 음식문화 분석

        김수철(Kim, Soochul)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8 문화와 정치 Vol.5 No.3

        이 글은 현대 한국사회에서 음식을 매개로 펼쳐지는 일상생활에서의 문화 다양성 현상, 즉 ‘일상적 다문화주의(everyday multiculturalism)’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 특징과 이를 둘러싼 문화정치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2010년대 들어 한국사회에서는 세계화의 심화로 해외여행 증가에 따른 외국음식에 대한 지식과 경험의 확산과 음식에 대한 높은 대중적 관심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태원, 안산 등을 비롯한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음식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는 이주민에 대한 인터뷰를 통하여 에스닉 푸드를 매개로 한 이들의 한국사회 로컬화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의 에스닉 푸드가 서구 선진국에서 에스닉 푸드의 생산과 소비를 둘러싸고 나타나는 다소 이분법적인 음식문화정치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음을 주장한다. 즉, 이주민의 로컬화 과정에서 에스닉 푸드는 이주민들의 민족정체성이나 인종에 따른 위계화된 차이의 재생산으로 환원되기 힘든 보다 복잡한 역할을 하고 있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everyday multiculturalism, which is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politics taking place through the daily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ethnic food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Entering 2010, Korean society underwent deepened globalization process; more and more people in Korea seem to travel abroad and expand their popular knowledge and experience regarding foreign foods. Conducting deep interviews with migrants, who make a living through ethnic food restaurant and business in and around the city of Seoul, this article examines the localization process of those migrants through ethnic food. In doing so, I argue that cultural politics of ethnic food in Korea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one in the western societies. Ethnic foods in Korea play a more complicated role than often described in the western theories of ethnic food politics. They cannot be simply understood in terms of the hierarchical difference of ethnicity and race.

      • KCI등재후보

        공생과 타자

        김수철(Kim, Soochul)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7 문화와 정치 Vol.4 No.2

        이 논문은 초국가 이주 시대에 타자성에 대한 접근법을 도시 공간 이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검토해보고자 한다. 최근 초국가 이주 시대에 타자의 문제를 다루는 방식의 특징 중의 하나는 타자의 문제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위험, 그리고 위협과 연관 짓고 있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초국가적 이주와 정착 과정에서 생성되는 복잡한 공간화 과정들은 종종 통합 아니면 배제라는 이분법적 방식으로 귀결되어 버리는 반복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 이 논문은 초국가 이주 시대에 공생(conviviality)을 통한 타자의 문제에 대한 접근법이 어떻게 기존의 한계를 넘어선 문화정치에 요구되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고려될 수 있는지 검토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최근 도시 공간 이론 중에서 폴 길로이(Paul Gilroy)의 공생(conviviality)에 대한 논의, 안토니오 네그리(Anotonio Negri)와 마이클 하트(Michael Hardt)의 공통적인 것(the common)에 관한 논의, 그리고 리차드 세넷(Richard Sennett)의 투과 도시(porous city), 협력(cooperation)에 대한 논의들을 검토함으로써 이들 논의가 초국가 이주 시대에 타자의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통찰을 제공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This paper is a theoretical reflection on recent critical urban theories. Recently migrants, foreigners, and refugees become a common feature in many urban metropolitan places, while they are very often represented as threat, danger or uncertainty in contemporary urban politics in many regions. In this process, public response to and governmental policies on the transnational movement and settlement of so many peoples are often simplified as either integration or exclusion. While seeking alternative approaches on contemporary transnational migration and othering processes in urban metropolitan setting, some of the recent urban theories have attempted to seek out new perspectives on cultural politic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recent theoretical developments in contemporary urban theories — such as Paul Gilroy’s notion of ‘conviviality,’ Antonio Negri and Michael Hardt’s theory on ‘commonality’ and Richard Sennett’s idea of ‘porous city.’ In doing so, this paper argues that while raising a significant issue of how to deal with the others in urban theories, these theories provide alternative ideas on the emerging urban cultural politics of transnational migration.

      • KCI등재

        팬데믹과 비판적 로지스틱스 연구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수철(Soochul Kim) 한국공간환경학회 2021 공간과 사회 Vol.31 No.4

        이 논문은 팬데믹 이후 나타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의 모빌리티 체제의 구조적 변화와 연관된 지식/권력 체계와 기술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조망·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분석틀로서 비판적 로지스틱스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팬데믹 이후 우리 사회의 변화를 로지스틱스 관련 지식/권력 체계와 기술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조망하면서 이에 대한 비판적 접근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먼저,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로지스틱스의 개념과 기원에 대하여 살펴본다. 로지스틱스 지식/권력 체계가 가지고 있는 권력적 특성에 주목하는 논의들에 대하여 검토한다. 다음으로, 현대 로지스틱스의 특징적 양상을 글로벌 공급망의 구축을 통한 자본 축적 방식의 변화라는 시각에서 살펴본다. 여기에서 현대 로지스틱스를 특징짓는 중요한 두 가지 계기, 금융 시스템과의 결합과 디지털 기술의 활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결론에서는 오늘날 팬데믹이라는 역사적 국면에서 글로벌 공급망 자본주의(supply-chain capitalism)에 의한 자본 축적 방식의 변화는 비판적 로지스틱스 연구의 핵심 주제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오늘날 팬데믹 상황이 비판적 로지스틱스 연구 및 기존의 미디어문화연구에 주는 함의에 대하여 토론할 것이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ritical studies on logistics by examining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mobilities regime in Korean society, particularly the changes of logistics as knowledge/power system as well as logistical media technology, which emerged in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It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 critical approach to the logistic knowledge/power system and logistical media technology while looking at the recent changes in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the knowledge/power system and media technologies related to logistics. First,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oncept and origin of logistics focusing on the power-ridden characteristics of the logistic knowledge/power system. Next, this paper will address the two characteristic aspects of modern logistics in the shifting mode of capital accumul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lobal supply chains: the articulation of modern logistics with the financial system and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by the modern logistics. In conclusion, in the historical conjuncture of today s pandemic, the changes of the capital accumulation regime in the global supply-chain capitalism will be examined. It is also discussed how they are related to the core theme of critical studies on logistics. I will also discuss on the implications of today s pandemic situation for both critical studies on logistics and the existing media cultural studies.

      • KCI등재

        케이팝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전략에 대한 고찰

        김수철(Soochul Kim),강정수(Jeong-Soo KA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3 언론정보연구 Vol.50 No.1

        이 논문은 케이팝(K-pop)에서의 트랜스미디어(transmedia) 스토리텔링 현상과 전략에 대한 연구다. 이 논문은 최근 유튜브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확산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강남스타일> 사례를 중심으로 수용자들에 의해 제작되고 확산된 <강남스타일> 밈(meme) 비디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밈 비디오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해에서 수용자의 콘텐츠 소비, 생산과 유통을 포함한 디지털 수용자들의 콘텐츠 수용방식에 대한 이해, 즉 디지털 팬덤(digital fandom)에 대한 이해에 있어 핵심적이다. 이 논문은 온라인 대중음악 산업에서 팬 중심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고 앞으로 케이팝 산업에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을 고찰하고 수립하는 데 <강남스타일>의 성공이 주는 함의에 대하여 논의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ome issues regarding transmedia storytelling in the context of K?pop(Korean pop). Focusing on the recent success of ?Gangnam Style? by PSY, a Korean pop?singer, which has been widely distributed primarily through Youtub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diffusion and reception process of ‘Gangnam Style’ music video as Hallyu contents. Particularly, this paper analyzes a variety of ‘Gangnam Style’?meme videos, which has been also diffused through Youtube. This paper suggests that meme videos are a significant content as an object of study that is mainly distributed, received and produced by many contemporary popular music fans and thus helps us understand how fan?based transmedia storytelling works in online popular music industries. We conclude this study b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the success of ‘Gangnam Style’ contents including the meme videos in thinking about the meanings and strategi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in seemingly expanding popular music (particularly K?pop) industries in Korea.

      • KCI등재후보

        문화의 세계화와 리얼리티 텔레비전

        김수철(Kim Soochul)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12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32 No.-

        이 논문은 문화의 세계화 시대에 아프리카에서의 문화정치의 전개양상을 ‘빅브라더 아프리카 (Big Brother Africa)’라는 대중문화(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상품의 소비와 수용, 그리고 해석과정을 분석함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빅브라더 아프리카’는 아프리카 12개국에서 온 참가자들로 구성된 리얼리티 프로그램으로 2003년 이후 아프리카 46여 개국에 3개월여의 시간 동안 방송되었다. ‘빅브라더 아프리카’라는 대중문화 상품의 수용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 논문은 글로벌 시대에 아프리카 정체성 문제와 연관되어 아프리카에서 전개된 문화정치의 과정은 아프리카에서의 문화의 세계화가 일방적인 문화적 동질화 과정도 아니며 또한 아프리카를 글로벌 문화 흐름에서 고립되거나 혹은 글로벌 문화의 단순한 수동적 수용자로 바라보는 시각이 적절치 않음을 보여주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빅브라더 아프리카’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수용과 해석과정에서 나타났던 아프리카 내에서의 문화정치의 전개과정에서 글로벌 문화와 지역 정체성의 첨예한 갈등, 그리고 아프리카 정체성 문제와 관련되어 위로부터의 국가 민족주의와 통제된 미디어에 의해 제공되는 헤게모니적 담론과 이와는 달리 대중문화의 수용과정에서 아프리카의 젊은 세대들에게서 나타났던 아프리카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상상사이에 존재하는 갈등과 모순을 분석해봄으로써 아프리카대륙에서 문화의 세계화 과정의 현주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contemporary cultural politics in Africa by examining how ‘Big Brother Africa’, a reality program in 2003 was received, distributed, and interpreted in African countries. ‘Big Brother Africa’ is a reality program that has been live-broadcasted for about three months throughout the African continent. As an African edition of reality television blockbuster, ‘Big Brother’, this program recruited young participants from 12 different countries in Africa and caused many controversies in those countrie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dynamic reception processes of the popular cultural product. In doing so, it will demonstrate how the global meets the local in the areas like national identities, media, and popular culture. This paper argues that contemporary cultural politics in these countries, once revealed in the consumption and reception process of ‘Big Brother Africa’ as a popular cultural product, demonstrated that cultural globalization in Africa is much more complicated than what the existing perspectives, which tend to view African countries or Africans as a final destination of global cultural flows or passive receivers or consumers of global cultural products, usually describe.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provide some critical discussions on contemporary cultural politics in these African countries, while top-down, national, and hegemonic discourses on African identities are coming across new, different imaginations of African identities, which are mainly dispersed among young Africans.

      • KCI등재

        이동성, 장소, 문화

        김수철(Kim, Soochul)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4 문화와 정치 Vol.1 No.2

        이 논문은 이동성, 장소, 문화의 관계 변화를 통해서 형성되는 서울의 정체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논문이다. 서울을 하나의 미디어공간으로서 재조명함으로써 도시 서울의 지역적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이동성(mobility) 개념에 대하여 살펴본다. 여기서 이동성이란 존 어리(John Urry)가 주장하듯이 공간적, 시간적, 물질적인 개념으로 이는 단지 사람들이 어떤 주어진 환경에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어떻게 움직이는 방식에 관여될 뿐만 아니라 또한 이러한 이동을 통해서 자연, 풍광, 도시, 공동체와 같은 환경들이 세워지고 사용되며 또한 미학적으로도 인식되고 감상되는 방식과도 연관된다. 이동성이 변형되고 패턴화되고 또한 가속화되거나 저지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사회문화적 규범들 또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이동성은 한 지역의 자연환경적,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고유한 사회문화적인 규범과 질서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조명해 줌으로써 한 지역, 도시의 정체성을 가늠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개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서울수도권의 역사는 교통과 커뮤니케이션 인프라가 집중적으로 형성되어온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동성으로 바라본 현대 서울수도권의 정체성은 첫째, 공간적 이동성과 미디어(가상) 이동성의 공간이다. 특히 공간적 이동성의 공간으로서 서울수도권 지역은 도시 교통망(도로망과 철도망)과 정보통신망이 가장 밀집된 지역이며 일상생활에서의 물리적 이동이 매우 높은 장소이다. 둘째, 서울수도권 지역은 이주자들의 공간, 다문화공동체의 공간이다. 서울수도권 지역은 한국에서 국내 이주자(다문화가족 및 결혼이민자) 인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다. 마지막으로, 서울수도권 지역은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물리적 이동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이에 따라서 개인주의적 성향 및 지역 간 문화적인 단절 및 극단적으로 다양화된 생활 문화적 특징을 보여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 결론에서 서울수도권의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공공미디어의 역할에 대하여 토론한다.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urban identity of contemporary Seoul as a mobile city. First of all,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 of mobility as a theoretical tool that is useful in examining the identity of contemporary Seoul as a media-city. As John Urry argues, mobility pertaining a spatial, historical, and material process through which urban city is shaped and reshaped, can shed lights on not only how people move from one place to another under the given circumstances, but also, through this movement, how city in terms of its landscape, physical environment, communities, social norms, etc. can be established, used and aesthetically appreciated. In this aspect, the history of modern Seoul is a history in which infrastructures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are built and reshaped.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the construction of Seoul’s urban identity as a mobile city. First of all, Seoul is a space of physical and media(virtual) mobility. Within the metropolitan city of Seoul including the city of Seoul and Kyeonggi province, there is a highly dense network of transportation- including roads and railway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Second, Seoul including Kyeonggi province is a place of migrants and multicultural communities. This area has the most number of migrants in South Korea. Finally, Seoul has a highly individualist and heterogeneous living patterns and local cultures as residents in this area constantly tend to move around for many reasons ? such as their work, education, business, etc. In conclusion, there will be a discussion on the role of public media in the construction of urban identity of Seoul in the age of glocalization.

      • KCI등재SCOPUS
      • 액정 디스플레이의 동화성 퍼짐 노이즈 시뮬레이션

        김종인(Jongin Kim),김수철(Soochul Kim),권석천(seokchun Kwon),김준수(Joonsoo Kim),염정덕(Jeongduk Ryeom)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5월

        Hold-type display의 동화상 인식 원리를 이용하여 인간의 시각특성을 고려한 LCD의 동화상 퍼짐 (blur) 노이즈 컴퓨터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그라고 이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동화상 퍼짐 노이즈 특성을 실험한 결과 화상의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퍼짐 노이즈가 증가하며 백라이트의 점등비가 낮을수록 노이즈가 저감된다는 것을 알았다.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들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이것으로부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뮬레이터의 알고리듬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