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직업에 따른 음성 사용 양상 및 심리측정적 지표 비교
김소담,이승진 한국콘텐츠학회 202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5
음성 문제가 직업 활동이나 업무 수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직업적 음성사용자에는 다양한 직업군이 포함되며, 직업군에 따라 직업적 음성을 사용하는 양상이나 지각되는 음성 문제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직업군에 따라 직업적 음성 사용 양상과 심리측정적 음성평가(K-VHI-10, K-VFI, K-VRQOL)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직업적 음성사용자인 언어재활사, 심리상담사, 성직자와 비직업적 음성사용자인 대조군이 각 16명씩 참여하였다. 모바일 설문을 통해 직업적 음성 사용 양상을 조사하고 심리측정적 음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직업적 음성사용자인 세 직업군 모두 대다수가 직업적 활동에 음성 문제가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으나 직업적 음성 사용 양상은 직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심리측정적 음성평가에서는 심리상담사와 언어재활사가 유의하게 더 큰 주관적 음성 문제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같은 직업적 음성사용자라고 하더라도 직업에 따라 음성을 사용하는 패턴이 다르므로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음성 문제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직업군 간 차이는 해당 직업군의 음성치료 계획 및 진전 평가에도 세심하게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rofessional voice users, whose voice problems significantly impact their job activities or performance, include various occupational groups. Even among same professional voice users, voice usage patterns and perceived voice problems can var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occupational differences in voice use patterns and psychometric voice assessments (K-VHI-10, K-VFI, K-VRQOL) according to their occupation. Participants included 16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 16 psychological counselors (PC), 16 protestant pastors (PP), and 16 individuals in a control group (C) who were non-professional voice user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mobile survey, assessing voice use patterns and psychometric voice assessments. Over 87% of SLPs, PCs, and PPs responded that voice problems affected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though their voice use patterns varied by occupation. In psychometric voice eval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Cs and SLPs subjectively perceived voic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at, even among professional voice users, voice use patterns vary by occupation, leading to variations in perceived voice problems. This should be reflected in therapy plans and progress evaluations tailored to each occu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