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탈냉전, NAFTA, 그리고 미국 외교정책의 재조정

        김봉중 ( Bong Joong Kim ) 한국미국사학회 2014 미국사연구 Vol.39 No.-

        본 논문은 북아메리카자유무역협정(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NAFTA) 비준을 통해서 탈냉전 초기 클린턴 행정부가 어떠한 외교 원칙을 내세워 미국 외교정책의 변화를 시도했는지를 밝힌다. 그 동안 NAFTA는 주로 미국의 경제정책으로만 받아들여져서 외교정책을 들여다보는 사례로는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NAFTA 추진 배경이나 의회 비준을 위한 논쟁을 면밀히 분석해보면 NAFTA는 단순히 경제적 정책만이 아니라 미국의 정체성과 미국 외교의 전통, 원칙, 방향 등을 엿보게 하는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NAFTA는 부시 행정부와 클린턴 행정부를 포함해서 탈냉전 직후 미국 외교정책의 단면을 들여다보는 주요한 기재라고 할 수 있다. 탈냉전 초기 국내외의 여러 문제들에 직면한 클린턴 행정부는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외교 원칙을 내세워야했다. 1993년 9월 행정부는 이른바 ‘레이크 선언’을 발표하지만, 전반적인 국민들의 국제문제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해, 그것은 별다른 반향을 생성하지 못했다. 이에 클린턴 대통령은 정치, 경제적으로 민감한 이슈였던 NAFTA 비준을 본격적이고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레이크 선언’에 의한 미국 외교정책의 새로운 원칙을 국민들에게 설파하고자 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readjustment of the American foreign policy during the Clinton administration through the ratification of the NAFTA(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On the surface, the story of the NAFTA was an important issue for economic policy, initiated first by the Bush administration; beneath the surface, however, the story of the NAFTA from its origins to the ratification process by the US Congress revealed not only the economic policies but diplomatic policies that encompassed American identity, the tradition and principles of American foreign relations, and highlighted a changing concept and principles of American diplomacy in the early stage of the post-Cold War era. Facing various problems in and outside the United States immediate after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blocs in eastern Europe and the Soviet Union, the Clinton adminstration had to adopt a new policy to guide and envision the post-Cold War world. The task was, however, a difficult one, due to the general feeling of public indifference toward the foreign affairs. In September 1993, the Clinton administration issued the so-called ‘Lake Proclamation’ through the lips of Anthony Lake, National Security Advisor. President Clinton made an all-out effort to highlight and propagate the Proclamation as a new and dominant principle of American foreign policy by pushing forward the ratification of NAFTA, the dominant issue in the United States throughout the first year of the Clinton administration.

      • KCI등재
      • KCI등재

        닉슨의 베트남 정책과 닉슨독트린

        김봉중 ( Bong Joong Kim ) 한국미국사학회 2010 미국사연구 Vol.31 No.-

        본 논문은 1968년 대통령 선거와 닉슨의 당선, 그리고 닉슨독트린 발표까지 닉슨의 초기 베트남 정책을 다룬다. 닉슨독트린 연구는 대체로 독트린의 영향과 적용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본 논문은 독트린의 배경을 추적함으로써, 닉슨독트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닉슨 행정부의 베트남 정책에 대한 성격과 특징을 규명한다. 또한, 닉슨의 전체적 이미지와 평가에 주요하게 작용했던 워터게이트 사건과 키신저의 명성으로 인하여, 닉슨의 외교정책은 닉슨/키신저 외교로 동일시되는 경향인데, 닉슨의 임기 첫 해 베트남 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적함으로써, 과연 그러한 판단이 타당한가를 따진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미국화’에서 ‘베트남화’로 전환되는 시점인 닉슨 행정부의 초기 베트남 정책을 면밀하게 검토함으로써 그 동안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이었던 1969년 이후의 전쟁 종결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닉슨 대통령은 임기 초 뚜렷한 베트남 정책을 세우지 못하고 베트남 상황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1969년 2월 22일에 시작된 북베트남의 대대적인 공격에 따라 3월 18일 닉슨은 북베트남의 핵심 병참기지로 지목한 캄보디아 국경 내 시아누크빌 공습을 승인했다. 하지만 비밀리에 수행되어 야 할 공습은 이내 신문을 통해 알려지면서 닉슨은 곤경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7월 25일 닉슨 대통령은 유명한 ‘닉슨독트린’을 발표했다. 그렇기에 큰 틀에서 보면 닉슨독트린은 기존의 냉전구도에서 외교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려는 닉슨의 의지가 담긴 것이지만, 좁게는 임기 초 캄보디아 공습에 따른 국내 위기를 타개할 정치적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닉슨 임기 초부터 닉슨독트린까지 닉슨 행정부의 외교를 면밀히 검토해 보면, 적어도 닉슨 행정부 첫 해 베트남 정책은 분명 닉슨의 외교였다. 베트남 정책의 기본 원칙 정립과 실제 적용 등에서 닉슨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키신저는 보조적인 역할을 했을 뿐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early diplomacy of Richard M. Nixon toward Vietnam, from the 1968 presidential election to the declaration of the Nixon Doctrine in 1969. By focusing on the background and origins of the Doctrine, this paper attempts to enhanc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famous doctrine, and to clarify the nature of Nixon’s early Vietnam policy, which includes the role of President Nixon in conducting the Vietnam policy. Due to the long-lasting impact of the Watergate scandal and the popularity and fame of Henry Kissinger, as a key foreign policy player, President Nixon has received less attention than Kissinger has. One often identifies the Nixon’s foreign policy with the Kissinger's. This paper tries to see whether this is true or not. President Nixon had to adopt nothing but a wait-and-see policy on Vietnam in the beginning of his presidency, until North Vietnam launched a massive military offense in February, 1969. On March 18, Nixon ordered the bombing of the Shianoukville within the border of Cambodia. The bombing was supposed to be a secret; yet, the press released the bombing story. Nixon was in trouble. In this domestic background, Nixon declared the famous Nixon Doctrine on July 25. Looking the Doctrine in a large frame of history, one can say that the Nixon Doctrine was a product of Nixon’s will to revise the existing Cold War diplomacy to a new paradigm. In a small frame, however, it was a political endeavor of Nixon who tried to get away with the domestic opposition after the bombing of Cambodia. In addition, a careful reader of the Nixon administration can find out that the early diplomacy of the Nixon adminstration toward Vietnam was conducted largely by Nixon, not Kissinger. From the conception, execution, and application of American Vietnam policy of the Nixon administration, at least in the first year up until the declaration of the Nixon Doctrine, Nixon was in charge, while Kissinger in a subordinating role.

      • KCI등재

        탈냉전과 클린턴-깅그리치 대결

        김봉중 ( Kim Bong Joong ) 한국미국사학회 2016 미국사연구 Vol.44 No.-

        1992년 선거에서 걸프전쟁의 영웅인 부시 대통령을 제압하고 대통령에 당선된 클린턴은 국민의 인기를 등에 업고 야심차게 국내 개혁을 추진해갔다. 그런데 1994년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대승을 거뒀다. 그 승리의 주역은 깅그리치였다. 깅그리치가 이끄는 하원은 ‘미국과의 계약’에 근거해서 클린턴의 국내 개혁에 제동을 걸었다. 1995년 『타임』지의 ‘올해의 인물’로 선정될 정도로 인기를 누린 깅그리치 하원의장과 클린턴 대통령과의 대결은 104차 의회의 성격을 규정하는 바로메타였다. 하지만 클린턴-깅그리치 대결은 점차 클린턴의 승리로 기울었다. 클린턴은 1996년 재선에 성공했고, 1998년 중간선거에서 예상을 뒤엎고 민주당이 승리했다. 깅그리치는 하원의장뿐만 아니라 의원직까지 사임하고 말았다. 1994년 중간선거와 함께 미국 정계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던 깅그리치가 결국 클린턴의 적수가 되지 못하고 몰락하게 된 이유가 무엇일까? 르윈스키 스캔들까지 등장해서 클린턴이 수세에 몰렸지만 깅그리치가 두 사람의 대결에서 승기를 잡지 못한 결정적인 계기는 무엇일까? 외교사가인 필자의 시선은 그 해답에 근접하는 것으로 보스니아 전쟁에 주목한다. 클린턴은 1995년 말에 데이턴에서 당시 국내외적으로 최대의 난제인 보스니아 전쟁의 평화협상을 타결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통해 여론의 지지를 확보한 클린턴은 공화당을 분열시켰고, 깅그리치의 바람을 무력화시켰다. 이후 깅그리치의 바람은 더 이상 크게 불지 못했다. 외교 문제에 가장 취약했던 클린턴이 국내 개혁을 외치며 대통령에 당선되었는데 보스니아 사태를 해결함으로써 ‘미국과의 개혁’을 외치며 강력한 국내 개혁을 추진하던 깅그리치의 공화당을 제압했다. 이는 일견 역사의 아이러니 같지만 큰 흐름에서 보면 냉전의 종식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그림자는 여전히 미국의 정치적 흐름을 재단하는 주요한 변수로 드리워져 있었다. The victory of the 1992 presidential election over the hero of the Gulf War, incumbent George Bush, made Bill Clinton pursue his domestic reforms with limited obstacles. In the 1994 midterm election, however, won the Republican Party a decisive victory. Central figure of the victory was Newt Gingrich, who, as a new House Speaker, began to launch a massive reform based on ‘the Contract with America.’ The battle between President Clinton and House Speaker Gingrich, who was named ‘A Man of the Year’ in 1995 by Time Magazine, was a historic showdown that conditioned the nature of the 104th Congress. Clinton won the battle in the end, however. He secured his second term in the 1996 election, and the Democrats won the midterm election of 1998. Gingrich resigned both from the speakership and the house representative. What made Gingrich, the most popular politician since the 1994 election and the one who blew whirlwind in American politics, surrender to the President who was in deep trouble with the Lewinsky Scandal? What was the decisive moment that led to the final fall of Gingrich? As a diplomatic historian, the author looks at the Bosnia War, the most difficult problem the Clinton Administration faced with. In late 1995, Clinton was able to secure a peace treaty at Dayton, Ohio. With the success of the peace treaty, was Clinton able to calm down the whirlwind of Gingrich. The President who got elected in 1992 as a strong candidate in domestic matters, not in foreign affairs, secured the public support and fame through his successive endeavor in the Bosnia crisis, thus put Gingrich and ‘the Contract with America’ on hold. The result, at a glance, seems a historical irony, yet it shows that the shadow of the Cold War still lingers on as a powerful factor in American politics.

      • KCI등재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냉전의 종식

        김봉중 ( Bong Joong Kim ) 한국미국사학회 2018 미국사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냉전의 종식’의 상관관계를 추적한다. 여기서는 ‘선(先) 소련의 변화, 후(後) 미국의 대응’이나 ‘선(先) 미국의 정책, 후(後) 소련의 변화’와 같이 냉전의 종식을 설명하는 구도 중에서 어떤 것이 더 타당한 지를 따지는 해묵은 논쟁을 계속하는 것이 아니라, 대소 강경책으로 일관했던 초기 레이건 행정부의 정책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소련에 대한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의 본질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냉전의 종식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다. 흔히, 레이건의 외교정책은 ‘힘’에 근거한 철저한 반공주의로 소련과 그의 영향권에 속한 정권에 대한 강력한 압박으로 설명되었는데, 그것은 소련을 염두에 둔 실질적인 정책이기보다는 미국인들을 겨냥한 수사적인 움직임이었고, 미소 정상회담을 포함한 협상에서 별다른 영향력을 끼치지 못했다. ‘악마의 제국’과 ‘별들의 전쟁’, 그리고 ‘레이건 독트린’으로 대표하는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은 적어도 대소 협상에 있어서 면밀하고 일관적이며 체계적으로 집행되지 않았다. 레이건의 ‘힘의 외교’가 냉전의 종식을 가져오지 않았다면, 향후 연구에서 미국 외교정책과 냉전의 종식을 푸는 복잡한 방정식에서 다른 어떤 변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인권외교이다. 흔히, 인권외교는 카터 외교의 대명사로 받아들여졌고, 그것이 실패했다는 전제하에서 레이건 외교가 조명되었다. 그런데 몇 차례의 레이건-고르바초프의 회담이 진행되면서 인권문제는 핵동결과 전략무기 감축 못지않게 비중이 커졌으며, 레이건-고르바초프의 마지막 회담인 모스크바 회담에서는 인권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This study traces the foreign policy of the Reagan administration and its relation to the end of the Cold War. It avoids the old and popular formula of explaining the end of the Cold War - ‘changes in the Soviet Union first, then US responses’ or ‘US policies first, then the changes in the Soviets’. Rather, it focuses on the changes of Reagan administration’ diplomacy toward the Soviet Union, well known for its ’get touch’ policy toward the Soviet Union. By doing so, it would reevaluate the nature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Reagan administration and get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nd of the Cold War. Reagan’s strong anti-Communist diplomacy has been stressed in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Soviet Union and the nations under its influence. However, the US policy had little impact on the course of negotiation and the summits between Reagan and Gorbachev; it served as more of a rhetorical gesture toward the American public than a realistic strategy toward the Soviets. As far as Reagan’s foreign policy toward the Soviet Union is concerned, which has been symbolized with such terms as ‘Evil Empire,’ ‘Star Wars,’ and ‘Reagan Doctrine,’ it was hardly executed in thorough, consistent, or systematic way. If Reagan’s ‘power diplomacy’ has limitations to explain the complicating issue of the end of the Cold War, one has to look into some other factors in the future. One of them is human rights, which had long been ignored in the debate over the end of the Cold War. Carter’s human rights policy has long been judged as failure, and thus treated as a background of the Reagan’s new diplomacy. However, human rights issues had gradually gotten as mush attention as the nuclear and other strategic missile issues during the summits between Reagan and Gorbachev. Reagan treated human rights as the most important agenda in the Moscow Summit, the last summit between the two leaders.

      • KCI우수등재

        [미국] ‘역사의 몫’으로서의 미국사 연구

        김봉중(Kim, Bong-Joong) 역사학회 2015 역사학보 Vol.0 No.227

        Writings on American history in Korea has recently undergone meaningful changes. One of the most noticeable trends is the rise of the cultural history and the decline of the diplomatic history. The fundamental meaning and role of studies of the U.S history in Korea is to provide the scholars and the general readers with in-depth historical analysis of the issues that address the current American society and the U.S.-Korean relations. We historians have to be constantly aware that the writings of U.S. history is to be read only by a handful of scholars of limited circle for their own academic entertainment. In that sense, it is quite delightful to see the rise of the cultural history that touches the various aspects of everyday life of the American people that also draws strong interest in Korea, such as shopping mall, McDonald’s, and Playboy magazine. It is depressing, however, to see that the writings of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ies has been declining. As the Cold War ended, the general public has lost its interest in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ies, once the most popular areas in U.S. history. Given the realities of U.S.-Korean relations that has not been changed in its fundamental nature, we need to vitalize the value of the diplomatic history. With these trends in mind, this paper reviews the changing historiography of U.S. history in Korea during the last two years (2013~2014).

      • KCI등재
      • KCI등재

        탈냉전과 ‘제국’의 재편성

        김봉중(Kim, Bong-Joong) 역사학회 2013 역사학보 Vol.0 No.217

        This essay deals with U.S. foreign policy toward Europe during the post Cold War era, focusing on American policy of NATO enlargement. The issue on the NATO enlargement was one of the most complicating and confusing dilemmas facing U.S. government immediate after the fall of Berlin Wall and the consecutiv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nd its communist bloc in the Eastern Europe. The sudden collapse of the communist regimes in Europe made it necessary for the United States to adjust itself to the changes; the role and realignment of NATO was of the paramount importance. The speed and magnitude of the changes in the Eastern Europe was beyond the comprehension of both the American leaders and foreign policy experts. In the issue of NATO enlargement, the U.S. government was riding in the passenger seat while former WARSAW nations demanding their membership in the NATO alliance, which found favorable reception in existing European NATO members. Geir Lundestad argues that the United States was an “empire by invitation” throughout the 20th century. It is not sure whether one can apply his thesis to every era or generation of the century; it is true, however, in the 1990s as suggested in U.S. policy of NATO enlar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