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아동의 디지털 사진표현의 발달특성 탐구

        김미남(Mi-Nam Kim)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과 교육 Vol.18 No.1

        그림 표현 발달에 대한 장기간 동안 이루어져온 다양한 기초 연구들은 아동의 표현발달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해주었으며, 이런 정보들은 체계화되어 지금까지도 아동을 지도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어 아동이 사용하는 표현매체가 점차 다양화되고 디지털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새로운 표현매체를 활용한 아동의 표현에 대한 기초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디지털 표현매체 중 아동들이 현재 가장 쉽게 일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진매체를 활용한 아동의 표현 특성을 본격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호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아동으로부터 수집한 시각자료들이 어떤 의미들을 내포하고 있는 지 탐구하였는데 아동의 시각적 표현물을 질적 자료로 보고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아동의 사진표현이 그림표현과 어떤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 그리고 사진표현특성은 연령대가 다른 아동 집단 사이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 지 분석한 결과 각 학년군 아동들이 동일한 주제를 표현함에 있어 그림과 사진에서 다른 접근을 사용하고 있음을 그리고 1학년과 6학년 아동들의 사진표현에도 질적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photos and pictures of 'love' collected by the primary and sixth graders. A variety of basic studies on development of children’s picture express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have made it possible to find meaningful information to understand children’s artistic development. This information from various research on children’s picture provide adults including art educator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drawing and this information has been systematized and used for teaching them effectively. However, although the age is changing and the expression medium used by children is becoming increasingly diversified and digitalized, basic research on the expression of children using this new expression medium is still not conducted activel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using the digital media, which are most easily used in their everyday life. To do this, we examine how children's photography expression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ir drawing expressions,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y expressions differ among children of different 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zing children's pictures and photos on the theme of ‘love’ show that each grade school children use different approaches in painting and photography to express the same subject, and there is also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expressions in photographs of first grader’s and those of sixth grade childre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more basic researches on photographic media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예비 초등 교사를 위한 미술 프로젝트: 이해를 목적으로 한 미술, 삶을 위한 미술, 삶과 연관된 미술

        김미남(Mi-Nam Kim)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과 교육 Vol.12 No.2

        본 연구는 초등 미술교육이라는 강의를 통해 만난 예비 초등교사들의 미술 표현 기능 부족에 대한 불안감, 그로 인한 미술 교수에 대한 두려움의 원인을 찾고 그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안으로 이론적으로는 “이해로서의 미술”과 “삶을 위한 미술”의 의미를 살펴보고, 실천적 방안으로는 “삶을 위한 미술 프로젝트: 미술을 통한 자기 정체성의 이해”라는 예비 초등교사들을 위한 미술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과 결과를 소개한다. 아동의 미술 경험에 예비 초등교사들이 끼칠 수 있는 영향력, 중요성을 생각할 때, 현재의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점검과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논의는 구체화될 필요성이 크다. 이 연구에서 소개되는 정체성 이해 프로젝트는 앞으로 예비 초등 교사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children's artistic experience is significant. Ironically, however,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fraid of art and their own art skills, and they also feel uncomfortable to teach art. According to short surveys as a pilot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an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fined art mainly as the expression of one's feelings and thoughts. Therefore, their way of defining art made them think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have skillful art techniques to be good at art and teach art well. However, they cannot master enough art skills taking a few art education courses. Then how can we, higher art educators can help thes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vercome their fear on lack of their art skills and be confident in teaching art. In this paper, one art project, “Identity Photo Project for Life” is introduc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veloping this project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explained and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is also described in detail. The reseults of this project shows significant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toward art, art-making, and teaching art. After this project, they expressed that they began to understand art as art for life instead of art for itself and they showed their spontaneous intention to make more art works continuously in the future. The study also address the issue of developing the current curriculum in art education to help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ore actively.

      • KCI등재

        초연결시대 미술교육의 (비)존재 경계 탐구: 시각장애 미술교육과의 비대칭적 소통의 필요성과 그 잠재가능성

        김미남(Minam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71

        본 연구는 무엇이든 연결될 수 있다는 ‘초연결시대’에 미술교육이 고민해야 할 것은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미술교육만이 아니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미술교육이 연결을 시도조차 하지 않은, 또는 연결을 시도했지만 정작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지도 못한 채 경계로 밀어두고 있는 미술교육의 대상들이 있는지 ‘되묻고’ 그들과 미술교육의 연결을 위한 이론고찰과 사례분석을 시도한다. 일반적으로 중심에서 동떨어진 주변에 존재하는 타자들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는 경우, 대개는 낯설음이나 혼란, 두려움 등을 느끼게 된다. 그렇게 되면 회피하거나, 혹은 중심의 문화로 강압적으로 그들을 동질화를 시키고자 한다. 그런 경우, 경계는 소멸되기보다는 이질성이 오히려 강화된 상태로 고착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로 인해 시각중심인 미술교육에서 경계화된 시각장애학습자에게 미술을 교육하기 위해, ‘경계’의 의미와 재인식의 필요성 그리고 마지막으로 ‘경계’를 제대로 넘기 위한 방법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로트만의 문화기호론을 고찰되었고, 연계된 시각장애 미술교육 사례들을 분석했다.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우리가 시각장애미술교육을 ‘포함된 배제’라는 변형된 방법으로 계속 경계화하고 있는 사례, 경계 너머 그들만의 미술이 지닌 의미와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들 그리고 시각장애미술교육이라는 경계지역에서 도출된 새로운 미술교육의 사례들을 보여준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art educators should consider more than ways to use new technologies into art education in this super-connected ages. In his study, it is examined whether there are objects of art education in which art education has not even attempted to connect or those who have been connected but are still out of boundary of current art education, and it is attempted to explore Lotman’s cultural semiotics and discuss related cases in art education for the blind. In order to find a better way to connect the blind with visual-oriented art education, (1) the meaning of boundaries, (2) new recognition of boundaries, and (3) strategies of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two different cultures within semiotic border were examin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evidences that art education for the blind has been operated in a modified way called inclusion exclusion , cases showing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art beyond their boundaries, and examples of ‘New Art Education’ derived from the boundary area.

      • KCI등재

        사립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현실과 과제

        김미남(Mi-Nam Kim)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과 교육 Vol.16 No.4

        국내 사립 박물관들은 소중한 유물과 그에 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 교육적으로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 몇 대규모 사립 박물관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립박물관은 심각한 운영난으로 힘든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고 사립박물관이 우리 사회문화에 지속적으로 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립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내실화의 방법을 집중적으로 탐구해 보고자 한다. 사립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운영의 문제가 시급함에도 불구, 지금까지 박물관 활성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과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는 국공립박물관과 대학교 부설 박물관 등 외부 지원이 안정적인 박물관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사립박물관 중에서도 안정적으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사례를 대상으로 한 연구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박물관 인가를 받아 관람객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무엇인가 고민하고 여러 시도를 하고 있는 강릉 동양자수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작은 지역 사립박물관이 교육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떤 관점의 변화를 갖게 되었으며, 그 결과 교육프로그램에 어떤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는 지, 앞으로의 과제는 무엇인 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으로는 ″왜 박물관 교육이 중요한가?″ 그리고 ″어떤 박물관 교육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관점 정립을 위해 꼭 필요한 개념으로 ″관람자 중심 박물관(Visitor Centered Museum)의 교육목적″과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강릉 동양자수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의 의미와 기능들을 분석해 볼 것이다. Although private museums have made great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it used to be underestimated and there has been lack of support from Korean government. Therefore, many Korean private museums are at a serious critical moment caused by difficulties of museum management. Currently, preparing better museum education program can be a significant issue for private museums because it can help them to play their original role effectively and solve their financial problems for management. However, most research o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museum education was conducted targeting National Museum or a few private museums which do not suffer from financial issues. Therefore, thes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were not helpful for small size private museums to improve their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one small private museum which was newly registered as a museum, the Museum of Oriental Embroider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figure out how this small museum had improved their education program for visitors successfully.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is case, first, discourse on the concept of visitor-centered museum and constructivism was reviewed and then the case of the Museum of Oriental Embroidery was investigat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officials of the Museum of Oriental embroidery was conducted and additional data collection from various sources was also attempt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ficials of that museum has a very traditional perspective on museum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object-based museum. Therefore, in order to prepare new format of museum education program, it needed to change this perspective from obased-based one to visitor-based one. The purpose of the previous education program was to transfer knowledge about displayed objects from museum person such as a museum docent to visitor. In the new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purpose of museum education was to make visitors experience in museum more meaningful for individuals. That was to help visitors connect what they experienced before and what they knew to the objects displayed in museum. However, in order to make more positive changes, government's interests in and supports to private museums are still strongly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부정적 감정 경험을 주제로 한 아동화에 사용된 표현 전략 해석

        김미남(Mi-Nam Kim)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1 미술과 교육 Vol.12 No.1

        이 논문은 아동이 학습한 사회화된 부정적인 감정표현의 방식과 부정적 감정을 주제로 한 그림에서의 감정표현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글이다. 초등학교 6학년 수지의 그림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에서 사례 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별히 수지 그림의 시각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해,궐고 그 그림안에 내재된 문화적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적 연구방법을 사용하면서 두 번의 읽기가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아동의 감정표현 방법이 사회화 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감정적 측면을 포함한 아동의 시각 표현 역시 사회화된 표현 전략들이 선택되고 사용되고 있음이 파악하게 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또한 감정표현이 사회적 배경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개인적인 표현행위가 아님을 증명하고 있다. 아동은 성장하면서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와 문화 속에서 어떤 감정 표현방법이 효과적이며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를 지속적으로 학습한다. 특히 부정적인 감정의 경우, 표현 방법은 더욱 적극적으로 사회화의 과정을 거치는 것임을 드러내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 between how children angry emotional expressions are socialized through classroom emotional interactions and how angry emotional theme is depicted in children’s drawings. The assumption underlying in this inquiry is that emotion is not an individual behavior independent of social context. This study questions whether children would select expressive strategies carefully to depict angry experiences in drawings as they express anger.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pecifically ethnography, is employed and the data is collected from extend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s visual expressions including emotional aspects are also socialized as their emotional behaviors are. As children age, they learn what display rules are competent in their cultural context and express emotions, especial1y negative ones, in a culturally and situationally appropriate manner. The findings were that the child carefully selected each expressive strategy by considering its sociocultural meaning and function. Her previous emotional and drawing experiences were closely related to her decisions regarding what expressive strategies to us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1 assist art educators gain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mechanism of children' s drawing and the cultural influences they h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