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rf PECVD법으로 증착된 DLC film의 광학적 성질

        김문협,송재진,김성진,Kim, Moon-Hyup,Song, Jae-Jin,Kim, Seong-Jin 한국재료학회 2001 한국재료학회지 Vol.11 No.7

        rf PECVB법을 이용하여 붕규산 유리 기판 위에 diamond like carbon(DLC) 박막을 증착하였다. 메탄(CH$_4$)-수소(H$_2$) 혼합 가스를 전구체 가스로 사용하였다. DLC 박막의 형상, 구조 및 광학적 특성은 SEM, 라만 및 UV 스펙트럼으로 분석하였다. 증착 속도는 혼합 가스의 수소 농도에 따라 증가하다가, 혼합 가스 유량이 25 sccm 이상에서는 일정하게 되었다. UV스펙트럼으로 계산한 박막의 optical band gap은 증착 시간과 DC serf bias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수소함량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박막의 투과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특히 자외선 영역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bias 전압이었다. A diamond-like carbon(DLC) films were deposited on the borosilicate glass substrate by radio frequency plasma enhanced chemical deposition(rf-PECVD). The $methane(CH_4)-hydrogen(H_2)$ gas mixture was used as precursor gas. The morphologies, the structure an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DLC films were investigated by SEM, Raman and UV spectrometer. The deposition rate was slightly increased with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 the gas mixture and it maintained constant at over 25 sccm of the gas flow rate. The optical band gap calculated by UV spectra decreased with increase of deposition time and DC self bias, but that were not effected by hydrogen content. Most effective parameter on the transmittance of film was bias voltage, especially in the range of ultra violet and visible light.

      • 식물생장물질(植物生長物質)의 토양관주(土壤灌注)와 엽면살포(葉面撒布)가 뽕나무의 발근(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

        김문협 ( Moon Hyup Kim ) 한국잠사학회 1978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20 No.1

        식물생장 hormone의 토양관주와 엽면살포가 뽕나무의 신초삽목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과 생장 hormone의 1종인 Rutin(C27H30O16ㆍ3H2O)의 발근촉진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NAA 1ppm 또는 10ppm, Rutin 10ppm 또는 100ppm, Atonic 5,000배 또는 10,000배용액을 토양관주하면 뽕나무의 발근을 촉진시켜서 그 근량비율을 크게 하는데 약간의 효과가 있는 것 같다. (2) 뇨소 0.5%, Rutin 0.005% 또는 0.01%, Atomic 5,000배용액을 뽕나무의 신초삽목묘에 엽면살포하면 근량증가에는 별로 효과가 없지만 지상부의 발육에는 효과가 있어서 그 조장을 증대시킨다. (3) Rutin은 0.05~0.4%의 범위 안에서는 NAA와 같은 정도로 뽕나무의 발근을 촉진시키며 실용적인 면에서 볼 때 그 적당한 농도는 0.05%이다. The root-out of mulberry saplings has been studied by pour into soil and spray on leaves of the plant growth substances. In addition, the effect of "Rutin", a kind of plant growth hormones has been also studied on promoting the rootability of mulberry scions by dipping the scions at the various concentrat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likely to be effective on acceleration of the rootability resulting in increase of rooting ratio by pour into soil at the concentration of 1 ppm and 10 ppm NAA, 10 ppm and 100 ppm Rutin, and 5000 fold solution of Atonic, respectively. (2) Growth of branch is only promoted by leaf spray of 0.5% urea, 0.005% and 0.01% Rutin, and 5000 fold solution of Atonic without increasing the root weight. (3) It seems that 0.05% of Rutin is of practical use, and 0.05% to 0.4% of "Rutin" accelerates the root-out of mulberry scions as well as NAA does.

      • 추잠기(秋蠶期)의 적엽정도(摘葉程度)가 지조(枝條)의 발육(發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김문협 ( Moon Hyup Kim ) 한국잠사학회 197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7 No.2

        추잠기의 적엽정도가 지조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시험을 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추기에 있어서의 적엽의 영향은 조장이나 조경과 같은 형태적인 면보다는 조량과 같은 질적인 면에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2. 조량은 중간부적엽구를 제외하고는 추잠기의 적엽량과 반비례하여 무적엽구, 하반부적엽구, 중간부적엽구가 크고 상반부적엽구와 전적엽구는 작았는데 중간부적엽구는 추기의 적엽량이 많았는데도 조량이 컸다. (3) 춘잠기의 수량은 수량과 정비례의 관계에 있어 조량이 큰 무적엽구, 중간부적엽구, 하반부적엽구의 순위대로 많았고, 상반부적엽구, 전적엽구의 순으로 적었다. (4) 연간합계수량은 중간부적엽구가 가장 많아서 무적엽구에 비한다면 36%, 가행법인 전적엽구(상단 5잎 남기고)보다는 13%정도 많았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veral mode of picking leaves in autumn on development and harvest of branche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1) The effects of picking leaves in autumn were more conspicuous in weight of branches in length and/or size of branches. (2) In inverse propotion to the amount of picking leaves in autumn, the total weights of branches showed heavy in the non-picking leaves, the lower half part and the middle part-treatment, whereas are light in the upper half- and the all leaves picking-treatment, In spite of excessive picking leaves in autumn, however, the middle part-treatment presented heavy weight of branches. (3) The yield of leaves in spring silkworm rearing, in propotion to the amount of picking leaves, were heavy in order of the non-picking leaves-, the middle part-, and the lower half part-treatment, while both the upper half- and the all leaves picking-treatment showed small amount of harvest. (4) The total yield of mulberry leaves and shoots of middle part-treatment, which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all was larger than that of the non-picking leaves and the all leave picking-treatment (leaving 5 leaves from upper part of shoot) at the ratio of 36% and 13%, respectively.

      • 하잠기(夏蠶期)와 초추잠기(初秋蠶期)에 있어서의 간벌수확(間伐收穫)이 뽕나무의 발육(發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김문협 ( Moon Hyup Kim ) 한국잠사학회 1976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8 No.1

        하잠기와 초추잠기에 각주마다 뽕나무지조중 잔가지와 정상가지 2개씩을 솎아베기하였을 경우에 가지의 발육과 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봄베기한 뽕나무에 있어서 하잠기에 솎아베기를 하고 추잠기(이 기간 42일간)에 수확을 한 경우에 있어서 (1) 추잠기까지에 그 평균조장이 19% 가 증가하여 솎아베기를 하지 않은 경우의 증가율 8%보다 11%나 그 증가비율이 높았다. (2) 솎아베기를 하면 이것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하잠기와 추잠기의 합계수량에 있어서 유의성은 없지만 9%정도 증수가 된다. 2) 여름베기한 뽕나무에 있어서 초추잠기에 솎아베기를 하고 추잠기(이 기간 15일간)에 수확을 하는 경우와 만추잠기(이 기간 29일간)에 수확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1) 그 평균조장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나 하지 않은 경우나 다 같이 추잠기까지는 6∼7%, 만추잠기까지는 8%정도 증가하여 솎아베기의 효과를 인정할 수가 없었다. (2) 초추잠기와 추잠기의 합계수량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가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6%가 증수가 되어 유의성은 없지만 증수의 경향이 있고 초추잠기와 만추잠기의 합계수량은 솎아베기를 한 경우가 하지 않은 경우보다 12%가 단수가 되어 5%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솎아베기가 평균조장의 증가에는 별로 효과가 없지만 수량증가에는 효과를 나타낸 것은 솎아베기를 하므로 말미암아 뽕나무주내의 생활조건을 개선하여 광합성작용을 왕성하게하므로써 엽중을 증가시킨 까닭이라고 생각된다.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w the effects on the growth of branches and the yield of mulberry leaves are shown, when two of each dwarf and normal branches are thinned out in summer or early autum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mulberry trees after spring pruning: in case of thin out branches in summer and harvest in autumn (42 days after treatment), (1) The average length of branches in thin out trees showed 19% increase by autumn, which turned out to be 11% higher than that of non-thin out did (8%) (2) The thin out treated mulberry trees presented 9% increase in total yields of summer and autumn, w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n-thin out trees. 2) In mulberry trees after summer pruning: in case of thin out branches in early autumn and harvest either in autumn (15 days after treatment) or in late autumn (28 days after treatment), (1) The average length of branches showed about 6∼7% and 8%, increase by autumn and late autumn, respectively. Thus no effects of thin out treatment could be recognized in growing of branches. (2) The thin out treated mulberry trees presented about 6% increase in total yields of early autumn, showing no significance through, when compared with those of non-thin out treatment. Whereas the total yields of early autumn and late autumn showed 12% increase with significance at the level of 5% by thin out treatment. (3) As above mentioned, the thin out of mulberry branches brought about a good effect on yields of mulberry leaves, though less on average length of branche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thin out treatment makes improve the living condition in mulberry trees and in turn induces photosynthesis actively, which results in increase the weight of leaves.

      • 추기(秋期)의 가지뽕 수확방법(收穫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문협 ( Moon Hyup Kim ) 한국잠사학회 1974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6 No.1

        추기에 있어서의 가지뽕 수확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초추잠기에는 누에의 사육양에 따라서 왜소지 또는 정상지조를 1∼2본 간벌수확을 하거나 지조하부에서 일부적엽수확을 하는 것이 좋다. (1) 4영기에 있어서는 왜소지간벌, 정상지조의 일부 간벌 또는 중간벌채, 지조하부에서의 적엽 등 어떤 방법이나 수양에는 별 영향이 없기 때문에, 엽임, 노력관계들을 참작하여 이들 방법으로 수확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3) 5영기에는 수량도 적지 않고 노력이 적게 드는 수확방법, 즉 뽕밭의 한쪽부터 차례로 각주의 지조전부를 중간벌채수확 해가는 방법으로 수확을 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이다. (4) 추잠기 또는 만추잠기에 가지뽕으로 중간벌채수확을 한 후의 잔조에서 적엽을 할 때에는 여름베기를 한 뽕나무나 봄베기를 한 뽕나무나 가리지 않고 노력이 덜 들고 간편한 훑어 따기로 하여도 무방하다. Studies on the harvest methods for the branch-rearing in autumn are as follows. (1) It turned out to be the best method in the early autumn to thin one to two of the normal branches or the dwarf ones, or pick off some of leaves for the yields, according to the rearing scale. (2) For the rearing of the silkworm larvae at 4th instar, it is recommendable to apply one of the following harvest methods, such as the thinning of dwarf branches, the thinning of some branches, intermediate cutting, and the pick-of of the leaves at low part of mulberry in the regards to the quality of leaves and the labour conditions, and no effects on the harvest. (3) For the rearing of the larvae at 5th instar, it is most practical to adapt one of the yield methods which can produce good harvest with less labours. That is, the pruning of the middle branches should be gradually made from a part of the mulberry field. (4) When it is carried out to pick of the leaves on the branches which was left after the middle-pruning harvest in autumn or late, easy and less labours` harvest method of rough picking may be applied in the both of the mulberry pruned in summer or autumn.

      • 뽕나무의 가지뽕 간벌수확(間伐收穫) 방법(方法)에 관한 연구(硏究)

        김문협 ( Moon Hyup Kim ) 한국잠사학회 197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7 No.1

        춘잠기에 있어서의 가지뽕의 간벌수확의 효과와 합리적인 간벌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춘잠기에 있어서의 가지뽕의 간벌수확은 1주일 정도의 간격으로서는 가는 가지 간벌수확구를 제외하고는 별로 효과가 없다. 2. 가는 가지 간벌구는 표준구와의 사이에 유의차는 없지만 약간 증수가 되는 경향에 있고 특히 소량의 가지뽕이 필요한 4령기에 가는 가지를 간벌하고 5령기에 잔조를 벌채하게 되어 그 수확비율이 현실에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다. 3. 굵은 가지를 간벌하는 것은 다른 어떠한 수확법보다 못하다. 수량이 많은 굵은 가지를 간벌한 후 1주일 정도로서는 나머지 가는 가지의 발육이 크게 호전하지 못하는 까닭이라고 생각된다.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reasonable harvesting method of mulberry shoots with branches by thin out in spring, comparing with thin-out harves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spring, the thin-out harvest showed no remarkable effect in the results of seven days interval cutting down, except for the treatment of thinning-out thinner branches. 2.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thinning-out thinner branches, but a tendency to increase a little harvest. Therefore, few shoots of thin branches should be cut down for the 4th instarlarvae and the rest of branches for the 5th instarlarvae. 3. The thin-out of the thicker branches showed the worst result of others, because it can hardly expect for 7 days after cutting down the thicker branches.

      • 상수(桑樹)의 내건성(耐乾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김문협 ( Moon Hyup Kim ) 한국잠사학회 1967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7 No.-

        상수의 내건성을 측정하는 기준을 확립하기 위하여 상수품종간의 내건성의 차이를 측정하고 상엽의 조직적 또는 생리적 조건들과 내건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수의 내건성을 판정하는 기준으로서 내건성비율 (D/D`ㆍ100)을 설정하였다. 단 D는 실험완료시의 건조구의 생장량(조장) D`는 BㆍC/A로 표시되는 D의 기대치, 이 때의 A는 실험착수당시의 적습구의 생장량 B는 실험착수당시의 건조구의 생장량 C는 실험완료시의 적습구의 생장량 2. 이 내건성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판정한 결과 Cadaneo, 다호한생, 용천추우, 개량서반, 갑선 등은 내건성이 강한 것에 속하였고 적목, 시평 소번, 개량한생십문자, 청아고교 등은 내건성이 약한 것에 속하였다. 3. 엽육조직 중에서 내건성과 가장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세포간극율이며 그 상관계수 r=-0.4153(단 5%에서의 유의수준 r=±0.306)으로 부(-)의 상관이 있고 그 밖에 상, 하면표피조직, 원상조직 등은 상당히 연관성은 가지고 있으나 뚜렷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4. 기공의 크기와 분포밀도는 다음과 같이 내건성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크기(장경×건) r=-0.3253, 분포밀도(1 mm2내의 기공수) r=±0.5047(단 1%에서 유의수준 r=±0.423) 그리고 기공의 크기와 분포밀도와의 사이에도 r=-0.3632으로 5% 유의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각종 생리적 조건중에서 내건성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증산량이며 증산량/엽중량 r=-0.3312 증산량/엽면적 r=-0.4151로 각각 5%의 유의수준에서 부(-)의 상관관계가 있고 그 밖에 다붕속도, 건물량/엽면적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6. 이것을 종합하여 볼 때에 상수의 내건성을 판정하는 기준으로서는 기공의 분푸밀도가 가장 정확하고 그 외에 세포간극율, 기공의 크기(장경×건), 증산량/엽중량, 증산량/엽면적도 좋은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In order to develop the standards for the measurement of drought resistance in mulberry trees (Morus genus) the varietal differences of drought resistance were measured for 30 mulberry varieti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rought resistance and the hist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leav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reasonable to use the drought resistance ratio, expressed by D/D`·100, for the standard of drought resistance measurement for mulberry tree as a perennial tree crop. Where: D stands for growth amount(shoot length) in the plot of dry treatment, at the end of treatment. D` stands for an expected value of D which is expressed by B·C/A. Here, A is the growth amount of wet treatment plot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B is the growth amount of dry treatment plot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C is the growth amount of wet treatment plot at the end of treatment. 2.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pplication of above formula showed that the varieties Cadaneo, Tahozosaeng, Yongchunchuwu, Kaeryang suban, and Kabsun were highly resistant to drought and the varieties Jukmok, Shipyung, Sobun, Kaeryangzosaeng shipmoonza and Chungagokyo were highly susceptible. 3. Among leaf tissues, the rate of inter-cellular space showe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drought resistan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alculated (r=0.4153) was highly significant. Other leaf tissues such as epidermis and palisade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drought resistance. 4. The size and density of stomata were correlated to drought resistance. That is: Correlation between drought resistance and size of stomata(length×width)......r=-0. 3253(signif. at 5%) density(No. of stomata/1mm2......r=±0.5047(signif. at 1%) Correlation between size and density of stomata……r=-0.3633(significant at 5% level). 5. Amo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ested here, followings were significantly correiated to drought resistance: transpiration amount/leaf weight……r=-0.3312(signif. at 5%) transpiration amount/leaf area……r=-0.4151signif. at 5%) and other characters such as rapidity to dry and dry matter ratio to leaf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drought resistance. 6. Summing up all the above facts, the best standard for the measurement of drought resistance of mulberry tree, is the density of stomata, and the rate of intercellular space, size of stomata, the ratio of transpiration amount to leaf weight, and the ratio of transpiration amount to leaf area also would be good stand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