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명이 소비되는 미술상품: 가제트, 키치를 넘어서

        기영미(Young Mi K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소비가 일상의 다양한 측면을 지배하고 있는 현실에서, 미술과 상품의 융합은 물질문화, 소비사회, 대중문화, 일상의 삶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범주들을 관통하며 논의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는 미술과 상품의 융합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 가운데 소비와 사물은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에 대한 보드리야르(Jean Boudrillard)의 논점들로부터 촉발되었다. 즉 미술상품이 상품 물신주의에 대한 명백한 소비대상일 뿐인가 아니면 상표가 부착된 ‘서명’이 소비되는 사물로서 또다른 의미를 지니게 되는가에 대한 논의로부터 출발하여, 미술상품 안에 내재된 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대안적 예술로서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순수미술에서의 예술가의 창작물과 디자인, 상품과의 교류와 융합 현상이 사회적 문맥 안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논의의 틀로 상정하여,문헌 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일별하면, 예술가의 창작과 대량생산된 상품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경계를 넘나들기 시작한 19세기 말부터의 시도들과 뒤샹 이후 순수미술 작품에서의 원본성 논의,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 대량생산 체제로 인한 미술과 디자인의 교류, 그리고 소비사회가 본격화된 1960년대 팝아트에서의 상업주의와 대중소비문화와의 융합 사례들을 통해 미술과 상품이 결합하여 문화적 의미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하게 되는 과정을 고찰한다. 다음으로는 자신의 작품을 상업과 결부시켜 상업적 광고와 제품디자인을 했으며 ‘팝샵’이라는 가게를 열어 자신의 미술상품을 판매했던 키스 해링의 사례를 살펴본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팝샵’을 열어 자신의 예술을 대중에게 개방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들고 모든 수익을 키스 해링 재단을 통해 사회적 약자와 소수층에 기부한 그의 실천을 통해, 그의‘서명’이 소비되는 미술상품이 보드리야르가 말한 가제트나 키치를 넘어서, 예술작품의 감상과 소유의 측면에서 대중과의 소통을 위한 사회참여적 실천의 한방법으로서 그리고 공유적인 대안미술로서 기능하는 새로운 가능성과 의미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In reality where consumption governs various aspects of everyday life, the fusion of art and product has long been discussed in a wide range of categories from material culture, consumer society, pop culture, and everyday life. Among these categories, this study started form the questions by Jean Boudrillard centered on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consumption and object. In other wor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tart from questioning whether art products are merely objects of consumption based on materialism or they bear other significance as objects where a ‘signature’ with a brand name attached is consumed, and to observe art’s social roles inherent to art products and the significance of By proposing as its thematic framework the significance that the exchange and fusion between artists’ creative work in fine art, design and products connote, this study observed such phenomen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study examined how art and products meet, fuse and reproduce meanings in the history of art and design, particularly,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when the gap between artists’ creative practice and mass manufactured products became narrower and both started to cross over each other’s practice to the discussion of originality in fine art since after Duchamp, Benjamin’s aura, and the cases of fusion between commercialism and pop consumerism culture in pop art in the 1960s when the exchange between art, design, and consumer society has been fully in effect thanks to the mass production system. In this way, the alternative art.

      • KCI등재

        기업의 문화예술후원을 통한 뮤지엄 아트마케팅 사례 연구

        기영미(Ki, Young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이 논문은 기업의 아트마케팅으로서 세계적인 성공을 이끈 유니레버 시리즈(Unilever Series)사례를 중심으로, 기업의 문화예술후원과 아트마케팅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문화예술 사회공헌의 의의와 향후 기업과 문화예술의 접목을 통한 아트마케팅의 방향과 기대효과를 조명하고 유니레버 시리즈에 참여 작가의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 그리고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뮤지엄 마케팅의 새로운 전략과 미술관의 역할 확대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 연구와 문헌들을 중심으로 하되, 경영학, 마케팅 분야뿐 아니라 예술, 문화와 미술관전시 및 아티스트에 대한 고찰이 토대가 되었다. 연구의 범위와 내용은 우선, 예술을 활용한 기업의 아트마케팅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과 역할 및 유형에 대해 고찰한다. 다음으로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테이트 모던 미술관(Tate Modern Museum)의 터빈 홀(Turbine Hall)에 전시된 유니레버 시리즈에 대한 작가와 작품의 미술사적 의의를 살펴본다. 이 전시는 기업과의 협력으로 재원을 조달하여 세계적인 명성의 작가들의 전시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테이트모던미술관을 세계적인 미술관으로 알리는데 일조하였고, 관람객의 새로운 욕구를 확장시키는 역할과 기능을 확대시켜 뮤지엄 마케팅의 새로운 전략으로 성공적인 선례를 남겼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이나 스폰서십 활동 등을 통한 예술후원활동은 기업의 측면에서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을 뿐 아니라, 보다 열린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관람객들의 새로운 참여와 소통을 체험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thesis examines enterprises’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and art marketing, focusing on the Unilever Series that has achieved world-wide success as enterprises’ art marke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enterprises’ social contribution to culture and arts and the direction and the expectancy effects of art marketing through grafting enterprises onto culture and arts, and to present how the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Unilever Series are communicating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ir works and the new strategies of museum marketing and the expansion of the art museums’ roles through partnership with enterprises.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es and literature and on the researches not only 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marketing but also on arts, culture and art museum exhibition and artists. The scope and content of this research first examine the theoretical concept, roles, and types of art marketing of enterprises utilizing art. And art-historical significance of artists and artworks of the Unilever Series exhibited in Turbine Hall at Tate Modern from 2000 to 2012 is examined. This exhibition secured finances by the cooperation with the enterprises to hold the exhibition of the world-famous artists’ works successfully, and it helped make Tate Modern a world-class art museum and established a good precedent of a new strategy of museum marketing by playing the role of expanding new demand of the audience and by expanding its functions. In conclusion, enterprises’ art support activites through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or sponsorship acivities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not only had positive effects on raising corporate image and brands in the aspect of enterprises but also enabled the audience to experience new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more open complex cultural space by raising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art museum which is simply a space that preserves and exhibits artworks.

      • KCI등재

        제니 홀저 텍스트 작품의 공간적용 확장성 연구

        기영미(Ki, Young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제니 홀저(Jenny Holzer)는 초기 작품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개념미술의 영향을 받은 언어, 텍스트 위주의 작업을 해오고 있는 작가이며 이를 대중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들을 사용하였다. 초기작들은 텍스트뿐 아니라 비디오, 드로잉, 사진작업을 통해 미술관과 같은 실내 공간에서 전시하였고, 후기로 가면서 그녀의 작품들은 보다 전달 파급력 있는 대중매체와 디지털 매체들을 이용하여 거리나 도시의 건물, 미술관, 역사적 건축물 등 공공장소에 전시함으로써 공적 대중과 소통하는 한편 텍스트를 통한 공간적용의 확장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니 홀저가 평면 텍스트 작업에서 디지털 텍스트로의 전환을 거치면서 전광판, LED, 라이트 프로젝션(Light Projection), 제논 프로젝션(Xenon Projection)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도시 안에 건축물이나 특정 장소에 텍스트를 투사하여 공간영역을 확장하여 특별한 경험적 공간을 창출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그녀의 작품들 가운데 제논 프로젝션을 통한 텍스트 작품들은 건축물과 자연의 공간적 맥락과 조우한다. 제논을 이용하여 ‘빛으로 투사된 텍스트’는 단순히 문자, 언어로서의 텍스트 작품이 아니라, 건축적 공간에서 전혀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내며, 공적공간으로 작품의 영역을 넓히는 등 공간 확장성에 대한 광범위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는 우선, 이론적 배경으로서 개념미술에서의 텍스트를 도입과정과 제니 홀저의 초기텍스트 평면인쇄 작업들과 전광판과 LED를 이용한 작업을 고찰한다. 이후 제논 프로젝션 작업 사례들을 통해 디지털 텍스트가 공간영역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미술사적 관점으로 조명하였다. 제니 홀저의 제논 프로젝션 텍스트 작업들은 디자인 영역에서의 디지털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것으로서, ‘비-고정성’과 ‘시간성’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제니 홀저의 제논 프로젝션 작업들은 텍스트라는 매체를 통해 ‘움직이는’ 디지털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건축에서의 미디어 파사드 그리고 프로젝트 맵핑 등과 유사한 공간적용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제니 홀저 작품에서 텍스트는 단일한 미술작품을 넘어서 ‘공간 영역으로의 확장성’과 공공미술, 공공디자인, 무빙타이포그래피 디자인, 공공 건축 디자인, 미디어 파사드 등과의 접점을 만들어낸다. Jenny Holzer is an artist who has focused on language and text influenced by conceptual art from her early works to the present, and she used various media to effectively convey this to the public. Early works were exhibited in indoor spaces such as art museums through video, drawing, and photography as well as text, and as she went to the later stage, her works were used in more pervasive mass media and digital media to create street, urban building, art galleries, and historical buildings. It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by exhibiting in public places such as, and show the expandability of spatial application through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Jenny Holzer uses media such as LED, Xenon, Light Projection, and Xenon Projection to create texts in buildings or specific places in the city while transitioning from flat text to digital text. It is to examine whether a special experiential space is created by expanding the spatial domain by projecting. In particular, text works through Xenon projection among her works meet the spatial context of architecture and nature. Using Xenon, ‘text projected with light’ is not simply a text work as a text or language, but it creates a completely new space in an architectural space and shows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for spatial expansion, such as expanding the scope of the work into a public space. For the contents of this study, first, the process of introducing text in conceptual ar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Jenny Holzer’s early text flat printing works and LED works, the process of digital text expansion into the spatial domain was illumin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rt history. Jenny Holzer’s Xenon Projection test works utilize digital typography in the design area, and can be said to be the same as the properties of ‘non-solidarity’ and ‘temporality’ of digital typography, which is text in digital media. In addition, Jenny Holzer’s Xenon projection works show similar spatial application effects such as ‘moving’ digital typography design and project mapping in architecture through the medium of text. Therefore, in Jenny Holzer’s works, text is more than a single work of art and opens up the possibility of contacting ‘extensibility into the spatial domain’ and public art, public design, public architecture design, and media façades.

      • KCI등재

        방혜자 작품연구: 매체와 재료의 실험을 통한 ‘빛’의 탐구

        기영미(Ki, Young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4

        ‘빛’의 화가로 세계적으로 알려진 방혜자는 한국현대미술의 유형적 맥락으로 범주화 할 수 없는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작가이다. 이 논문에서는 방혜자가 지속적으로 탐구한 ‘다양한 재료에 의한 물질성’의 특징이 어떻게 정신적인 ‘빛’의 개념과 연결되어 작품에 구현되었는지 그 과정과 작품의 분석을 미술사적 관점에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그녀는 비-물질적인 빛을 표현하기 위해 오히려 물질성이 강한 종이(한지 혹은 닥지), 가죽, 사포, 톱밥, 헝겊, 무직천, 모래, 흙의 재료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마티에르(matiér)1)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왔다. 이 연구는 방혜자의 긴 화업 가운데,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실험, 한지 사용 등 주로 물질성을 이용한 작품들을 분석하고, 이것이 이후 비물질적인 ‘빛’의 작업으로 변화하는 조형적 과정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혜자의 빛에 대한 천착은 1990년대 이후의 작품에서 본격적으로 나타나며 그 ‘빛’은 기존 연구나 자료에서 강조하듯이 오로지 정신적이고 우주적이며 추상적인 개념만이 아닌 ‘다양한 재료에 대한 실험들’이 있었기 때문에, 그녀의 화업에서 1960년대와 70년대 작품에 대한 조형적 작품분석과 고찰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2022년 방혜자가 타계할 때까지 60여년간의 오랜 화업과 이력에 비해 작가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학술적인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방혜자 작가에 대한 예술론은 파리와 한국을 오가며 배우고 연구한 교육환경, 미술환경, 시대적 역사적 배경과 의미, 미술사적 의의 등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범위는 그가 파리로 유학을 가서 본격적으로 서구의 배경하에 다양한 재료와 물질의 실험을 하던 시절인 1960년대부터 1970년대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방혜자의 방대한 화업 가운데, 매체와 재료의 실험을 통한 ‘빛’의 탐구를 분석, 연구하기 위하여 마티에르(matiér)의 탐색과 실험 시기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당대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앵포르멜(Art Informel)과 한국 화단의 추상미술의 유입과 영향관계 등을 살펴본다. 미술사적 의의 및 기대효과로는 세계미술의 중심지인 파리에서 수학하며 다양한 작업을 계속해왔고, 100여회에 이르는 개인적 이력과 190여회에 이르는 단체전 이력에서도 말해주듯 세계 곳곳에서의 전시경력을 가진 방혜자의 화업을 연구 분석하는 것은 미술사를 연구하는 후학들의 후속연구에 미력이나마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이 논문에서는 60여년간의 방대한 작품활동과 작품에 대한 분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지 못하는 지면상 한계가 있어, 1960-70년대의 방혜자 화업의 기본을 이루는 시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후속 연구에서 ‘빛’의 개념이 확연히 드러나는 작품들과 타계 직전에 완성한 샤르트르 대성당 스테인드 글라스 작업까지를 연구할 것이다. Bang Hai-ja(The English name was written by her), known internationally as a painter of ‘light,’ is an artist who is building a unique world that cannot be categorized within the tangible context of Korean contemporary art.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process of how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ity through various materials’ that Bang Hai-ja continuously explored were connected to the spiritual concept of ‘light’ and were implemented in her works, and the analysis of the works from an art historical perspective. In order to express non-material light, she has continued to “continue to study matiér” using materials such as strong material paper (Korean paper or Dakji), leather, sandpaper, sawdust, cloth, cotton, sand, and so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orks that mainly use materiality, such as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experiments, and use of Korean paper, among Bang Hai-ja’s long painting industry, and to examine the formative process of changing this into the work of immaterial “light.” Bang Hai-ja’s obsession with light appears in earnest in works since the 1990s, and because “light” was not only a spiritual, cosmic, and abstract concept, but also “experiments on various materials,” the 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formative works from the 1960s and 70s in her work in the 1960s and 70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re is littl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academic research on the artist compared to the 60 years of painting and history until Bang Hai-ja passed away in 2022. Therefore, the art theory of Bang Hai-ja needs to be studied from various angles, includ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art environment,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times,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art. The scope of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1960s to 1970s, when he went to Paris to study and experiment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materials in earnest under a Western background. As a method of research, among Bang Hai-ja’s vast painting industry, to analyze and study the exploration of “light” through experiments with media and materials, we examine Matiér’s exploration and experimental works, and examine the influx and influence of Art Informel and Korean flowerbeds centered on France at the time. The significance and expected effect of art history is that she has continued to study and work variously in Paris, the center of world art, and as her personal history of more than 100 times and her team exhibition history of 190 times, research and analysis of Bang Hai-ja’s painting industry with exhibition experience around the world is expected to provide incomplete but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of art history. However, since this paper has a paper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vast work activities and analysis of works for more than 60 years, I will focus on the period that forms the basis of the Bang Hai-ja painting industry in the 1960s and 1970s, and study works that clearly reveal the concept of “light” in subsequent studies and the stained glass work of Chartres Cathedral completed just before death.

      • KCI등재후보

        영화의 탄생과 시각예술 : 움직이는 이미지에 대한 小考

        기영미(Ki, Young Mi)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17 교양학연구 Vol.4 No.1

        영화는 ‘움직이는’ ‘시각예술’이다. 보는 행위, 보여지는 대상 즉 시각이미지를 인지하고 해석하는 것은 영상 이미지로 가득한 이 시대에 중요한 화두가 아닐 수 없다. 영화가 탄생하기까지는 고대부터 수많은 기술적 도구들의 방법과 시각적 방법들이 동원되었고, 영화의 탄생은 과학기술의 측면에서 뿐 아니라 시각예술 전반에 걸쳐 이미지의 보는 방식을 바꾸어 놓았다. 현대 사회의 시각적 형태의 다각적인 혼합에 대한 학제적 연구와 사회적, 역사적 과정에 대한 논의는 너무나 방대하고 다양하고 긴 역사를 가지고 있어서 한편의 논문으로 담을 수 있는 주제는 아니기에 본 논문에서는 ‘움직이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영화의 탄생과 미술, 사진과의 관계를 조망해 보고자 한다. ‘움직이는’ 이미지 재현의 의미와 변화를 사진과 미술에서의 ‘움직임’을 통해 살펴본다. 요약하면, 카메라 옵스큐라와 사진의 발명은 시각적 이미지를 고정시켰고, 이로써 카메라는 대상의 관찰을 기록한 유일한 수단이었던 회화를 대신하게 되었지만 당시 화가들은 오히려 사진을 그림을 그리기 위한 회화적 보조 수단으로 이용하였고, 인상주의자들은 스냅사진의 순간적 이미지의 포착을 이용하여 ‘움직임’과 동작을 작품에 담게 된것이다. 머이브리지와 마레이의 연속동작 사진과 크로노포토그래피를 통한 ‘움직임’에 대한 실험적 사진술이 어떻게 영화의 탄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는지, 이들의 움직임에 대한 실험들이 직접적으로 속도와 시간을 담고자 한 미래주의자들에게 끼친 영향관계를 조명하였다. 사진의 발명과 미술에서의 움직이는 이미지에 대한 욕망은 영화의 탄생으로 움직임 자체를 재현해내게 되었고 미술에 있어서도 기계적 기술을 도입하여 예술과 기술공학을 결합한 키네틱아트는 실제의 시간과 현실 속에서 ‘움직임’이라는 새로운 사실주의를 예술작품으로 실현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키네틱 아트의 직, 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1990년대 이후의 전자시대를 대표하는 비디오 아트, 컴퓨터 아트, 홀로그래피 아트 등에서의 영상이미지와 영화자체의 다양한 담론들에 대한 논의는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둔다. Films are ‘moving’ ‘visual art.’ The act of viewing, recognizing, and interpreting the object that is seen, i.e., the visual image, is an important topic in this day and age that is full of video images. Numerous technical tools and methods had been mobilized since ancient times before films were born, and the birth of films has changed the ways of viewing images not only in the aspect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in the overall visual art.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on the multilateral mixture of modern society’s visual forms and the discussions on their social and historical process are too vast and diverse and long in history to be dealt with in a piece of thesis, so in this thesi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irth of films and art and photography, focusing on ‘moving images,’ are discussed. The meanings and changes of the reproduction of ‘moving’ images are examined through ‘movement’ in photography and art. To sum up, the inventions of camera obscura and photography fixed visual images, and camera took the place of painting which had been the only means of recording the observation of objects, but the painters in those days used photography as a means of assistance for painting, and the impressionists expressed ‘movement’ and motion in their works using the snapshot’s capture of momentary images. How the sequential pictures of Muybridge and Marei and the experimental photography on ‘movement’ through chronophotography directly influenced the birth of films and how the experiments on these movements influenced the futurists who tried to directly express speed and time were examined. With the birth of films,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and the desires for moving images in art made it possible to reproduce movement itself, and kinetic art, which combines art with technological engineering by introducing mechanical technology, realized the new realism of real time and ‘movement’ of the real world into the works of art. Based on this research, discussions on the diverse discourses on the video images in video art, computer art, holography art that represent the electronic era after the 1990s, which was influenced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 kinetic art, are left as the subject matter of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구술로 읽는 화가의 기억과 작품세계

        기영미(Ki, Young Mi),윤혜준(Yoon, Hye Jun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본 논문은 한국 근현대 미술가 심죽자에 대한 구술채록의 결과물을 토대로 진행된 연구이다. 최근 국내에서 구술사 프로젝트 및 연구논문이 문화인류학, 사회학, 역사학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예술, 스포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 연구 방법론으로 정립되고 있다. 구술사 연구는 문헌 중심의 연구에서 소외된 기록물의 수집관리 차원에서 예술가가 직접 경험한 기억, 체험담, 증언, 회고로서 사진, 카탈로그, 작품에 대한 예술가의 직접적인 구술을 통해 ‘일차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그간 구술사 연구에서 지적되어온 주관성과 신뢰성 문제는 최근 음향과 영상 등 디지털화 작업을 통해 구술자, 전문연구자, 제3의 정보제공자 등의 역할이 교차되면서 수집된 기록과 구술의 기록들이 서로 접근하도록 하여 객관성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구술을 채록, 기록하고 공개하는 연구자의 역할 역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은 영원히 묻혀버릴지도 모르는 한국 근현대예술을 살아있는 예술가들의 생생한 목소리와 모습으로 담아오고 있다. 인간으로의 삶을 바탕으로 한 예술가의 삶을 ‘구술’이란 방법론을 통해 ‘기록화’하여 예술사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의 생산과 구축을 목적으로 한 사업이다. 본 연구의 시작은 2011년 ‘시각분야 생애사 구술채록 심죽자’의 구술채록으로 획득된 기록 자료를 토대로 한 것이며 화가 심죽자의 예술가로서의 삶과 작품을 시대별로 분석하는데 무엇보다도 문헌을 통해서가 아닌 화가 본인의 구술을 기본으로 하였다. 화가의 삶과 작품을 분석하는 데 화가 본인의 구술채록 중 중요한 부분을 인용하였으며 당시 구술자가 기증한 자료(기록자료 181건과 디지털이미지자료 222건)가 기초가 되었다. 구술채록에는 단순히 한 작가의 생애만 채록된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증언채록’ 또한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한국 근현대미술사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성북회화연구소를 운영한 월북작가 이쾌대와 이해성이란 인물의 생생한 증언을 본 논문에 실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 This thesis was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oral records o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 Shim Chook-cha. Recently, oral history projects and research papers are being actively performed in the fields of cultural anthropology, sociology, historical studies, and are established as an academic research methodology in the diverse fields such as art and sports science. Oral history research has a significance as collection management of the records that were excluded from literature-based research and as a ‘primary source’ that is produced through the artists’ direct oral statements about memories that the artists themselves experienced personally, experience stories, testimony, recollection, photographs, catalogues, and works of art. As for the problems of su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oral history research that have been pointed out, the roles of the persons making oral statements, specialized researchers, the third information providers are reinforced through recent digitalization of sounds and images so that collected records and oral statements can get closer to each other to enhance objectivity. Accordingly, the researchers who selects, record, and disclose the oral statements play and important role. The Arko Arts Archive of Arts Council Korea has been discovering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which might have been buried forever, through the vivid voice and appearance of living artists. The life of an artist based on the life of a human being is ‘documented’ through the methodology of ‘oral statements’ aiming to produce and build up basic archive for art history research. The beginning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recording material obtained from the oral records of ‘the life history oral records of Shim Chook-cha in the visual field’ in 2011, and the analysis of the life and works of painter Shim Chook-cha as an artist was, above all things, conducted based on the painter’s own oral statements rather than on literature. In the analysis of the painters’ life and works, the important parts of the painter’s own oral records were cited and they were based on the materials donated by the painters making the oral statements(181 record materials and 222 digital image materials). The oral records include not only the life of an artist but ‘testimony records’ that should not be missed. This thesis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an carry the vivid testimony of Lee Que-de and Lee Hae-sung painters who defected to North Korea and had run Seongbuk Painting Institute which never fails to appear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