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아리랑의 문화콘텐츠화 양상 연구

        권갑하 ( Kab Ha Kwon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이 글은 아리랑이 다양한 장르의 문화콘텐츠로 재창조된 양상과 내용상의 전개 방향을 살펴본 것이다. 문화콘텐츠 개념은 2000년대 이후에야 상용화되었지만, 아리랑의 문화콘텐츠화는 1926년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에서 이미 시작된 셈이다. 영화 <아리랑>과 그 주제가가 일으킨 문화적 센세이션은 이후 대중 가요를 비롯해 시, 소설, 무용, 연극, 뮤지컬 등 실로 다양한 장르를 통해 지속적으로 창작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같은 아리랑의 다양한 장르전이는 OSMU(One Source Multi Use)의 원천자원으로서 아리랑의 위상을 확고히 보여준다. 아리랑의 문화콘텐츠창작은 아리랑의 본래적 형질을 되살리거나 의미를 기리고 드러내는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들어 아리랑을 한국과 한민족을 가리키는 문화기호로 인식하고 그 의미를 기리고 선양하는 문화적 수요로 경도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아리랑의 문화콘텐츠 개발 양상과 내용상의 전개 방향 연구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아리랑의 글로벌 콘텐츠화 추진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아리랑의 존재 기반과 방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해온 것처럼 아리랑의 문화콘텐츠화 추진도 고정된 형식과 의미 지향을 답습하지 말고 아리랑의 본래적 형질을 경시하지 않으면서 창조적이고 개성적인 변화를 실현해나가야 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Arirang recreated as the cultural contents aspect of various genres and the way of evolving contents. Although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s was used after 2000, the cultural contents of Arirang have already begun the film of Na Un-gyu <Arirang> in 1926. The cultural sensation inspired of the film <Arirang> and theme song has constantly been created through various genres as like pop song, poem, novel, dance, play and musical. This various genre transitions certainly show us the status of Arirang asOSMU(One Source Multi Use). They recreated inner characters and praised the message. They particularly cognized Arirang as cultural sign indicated Korea and Korean. Afterward, it had strong influence the cultural demands. The developmental aspect of Arirang cultural contents and the evolved way of content can provide the meaning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Humanity to Arirnag global contents. Arirang have been turned according to basic concept and way with the change of times. Not following fixed form and meaning, Arirang cultural contents will be realized as creative and unique advance without ignoring born-identity of Arirang.

      • <아리랑>을 활용한 문경시의 장소마케팅 방안

        권갑하(Kwon Kab Ha),공정배(Kong Jeong Bae),김대범(Kim Dae Beom)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4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2·13

        한국의 100대 민족문화상징인 아리랑은 우리 민족 고유의 콘텐츠이다. 이러한 아리랑 콘텐츠는 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에 따라 관광이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아리랑의 문화적인 경험과 관광지에서 추구하는 정신적 가치와 지적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라도 아리랑 콘텐츠를 활용한 장소마케팅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장소마케팅은 지역발전전략으로 도입되었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문화산업전략, 사회통합전략을 일환이 되었다. 장소마케팅은 곧 장소이미지의 재창출로 아리랑 도시로써의 거점화전략을 명확하게 세워야 할 것이다. 경상북도 문경시의 문경새재는 아리랑 고개의 실재 공간이다. 문경새재는 넘어야 할 고난의 고개로서 아리랑고개가 보통명사로 탄생되는 모티브가 된 곳이다. 문경시 외에도 아리랑의 전승지역으로 정선군, 진도군, 밀양시가 산재해 있기 때문에 관광 인프라 비교유위분석을 통해서 그 가치를 검증했다. 그에 따라 문경새재 아리랑고개길의 소재개발, 아리랑 체험 장소의 무대개발, 아리랑도시로써의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을 통한 장소마케팅 방안을 제시하였다. Song of Arirang, that is an 100th ethnic cultural symbol, is the contents native to korean. This Arirang contents can be contributed to the tourist industry in accordance with cultural heritage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ce marketing should be continued with Arirang contents so as to satisfy the spiritual value and desire to learn those the tourist attracts seek. After a practice of local self-governing system in 1995, place marketing was introduced for local developmental strategy. It was formed a part of regional economy activation, cultural industrial strategy and social integrated strategy. Place marketing should establish clearly the strategy to be the base of Arirang city by recreating the place image. Mungyeongsaejae Pass in Mungyeong-city, Gyeongsangbuk -province is a place where Arirang pass is located that was mentioned in Song of Arirang. There are Jeongseon-gun, Jindo-gun and Mirayng-city where Song of Arirang have been passed down, so that we verified its value through comparative advantage analysis of tourist infrastructure. Then we suggested the place marketing plan via whereabouts development of Arirang pass in Mungyeongsaejae, stage development of Arirang experience place and differentiated brand strategy of Arirang-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