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인 사법관 연구

        전병무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조선총독부 조선인 사법관의 임용제도와 추이, 인사운영과 처우, 사회경적 배경, 법조와 재야의 사회정치적 활동 등을 검토하여 조선인 사법관의 식민지 관료서의 위상과 성격을 연구한 것이다. 1910년대 조선인은 대체로 두 가지 방식에 의해 조선총독부의 사법관이 될 수 있었다. 첫째는 통감부 출신 조선인 사법관이다. 통감부 출신은 1910년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통감부 시기의 사법관을 그대로 승계했는데, 여기에 포함되었던 조선인 사법관을 말한다. 둘째 1910년 제령 7호에 의해 특별임용된 조선인 사법관이다. 그리고 1913년 조선총독부는 사법관시보를 신설하였다. 사법관시보 제도는 일본재판소구성법 상의 판검사 유자격자 중에서 조선총독부 사법관시보를 선발하여 조선총독부재판소 및 검사국에서 1년 6개월 이상 실무수습을 거쳐서 최종 실무시험에 합격한 자 중에서 조선총독부 판검사에 임명하는 제도이다. 이를 계기로 일본 국내와 식민지 조선의 사법관 임용제도는 형식적으로 동일하게 되었다. 1910년대 조선인 사법관은 조선총독부가 통감부에서 승계한 사법관 76명과 새롭게 채용한 사법관 42명 총 118명이 활동하였다. 통감부 출신을 제외하고 조선총독부가 직접 임용한 조선인 사법관은 대부분 재판소 서기 출신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일제는 3․1운동 후 1920년 제령 11호로 조선총독부판사 특별임용에 관한 건을 공포하였다. 주된 내용은 재판소 서기 출신들을 대상으로 소정의 시험을 거친 합격자는 조선총독부 판사로 임용한다는 것이다. 이로서 1920년대 처음으로 사법관시보 제도를 통하여 소수의 조선인이 사법관이 될 수 있었다. 한편 일본 국내 판검사 및 변호사시험이 1923년 고등시험령으로 통합, 시행되면서 고등문관시험(고문)에 합격한 자들만이 ‘유자격자’가 되었다. 1920년대 조선인 사법관은 재판소 서기 출신 68명, 사법관시보 7명, 기타 1명 등 총 76명이 임용되었다. 여전히 재판소 서기 출신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1930년대 이후 새롭게 임용된 조선인 사법관은 고문 합격자로 사법관시보를 거친 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조선인 고문 합격자가 1930년대 이후 급증했기 때문이다. 1930년대와 1940년대 조선인 사법관은 각각 33명과 70명이 신규 임용되었다. 이들 중 서기 출신은 10명, 사법관시보는 92명, 변호사 2명이 채용되었다. 1930년대는 소수의 서기 출신을 제외하면 조선인 사법관은 모두 고문 출신들인 점이 특징이었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인 사법관을 임용할 때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1910년대와 1920년대 서기 출신을 특별임용할 때 1차적으로 ‘考査’라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는 재판소 서기 중 판검사의 자격이 있는 자 가운데 평소 근무 성적과 품행을 평가하여 법원장이 추천하는 형식이었다. 이때 개인의 학식과 능력보다는 ‘충실근면’한 자를 후보자로 추천할 것을 강조하였다. 조선총독부의 사법관 임용기준은 제국대학의 출신 여부와 고문 성적보다는 지원자의 사상문제 즉 친일성향을 우선시 했던 것이다. 조선인 사법관은 1910년대까지 직무상 차별이 존재하였다. 또한 승진과 보직문제, 간부 승진과 승진 소요기간 등에서 차별을 받았다. 식민지 전시기 동안에 조선인은 부장판사 자리에 겨우 2명만 오를 수 있었고, 소요된 승진기간도 일본인 평균 127개월보다 140개월로 길었다. 또한 법무국과 같은 조선총독부 본부에는 조선인 사법관의 경우 한 사람도 보직발령을 받지 못하였다. 조선인 사법관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비고등문관시험(고문) 출신이고 다른 하나는 고등문관시험(고문) 출신이다. 비고문 출신 사법관은 다시 통감부 출신과 서기 출신으로 나눌 수 있다. 비고문 출신의 최종학력을 살펴보면, 통감부 출신의 경우는 법관양성소 졸업자가 대다수였고, 서기 출신의 경우는 경성전수학교 및 경성법학전문학교 졸업자가 대부분이었다. 법관양성소는 근대사법제도의 수용과 관련하여 속성으로 사법관을 양성하기 위해 1895년에 설립되어, 대한제국 시기 유일의 관립 법률학교였다. 경성전수학교와 경성법학전문학교는 경성제국대학이 설립되기 이전까지 조선의 유일한 관립전문대학이었기 때문에 서기 출신의 사법관을 가장 많이 배출하였던 것이다. 고문 출신의 최종학력은 제국대학 및 관립대학 졸업자들이 절반 이상이었고, 나머지는 일본 사립대학 졸업자들이었다. 비고문 출신들에게 전혀 없었던 제국대학 졸업자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제국대학 출신들은 집안의 경제력과 함께 관료로써의 출세욕이 합쳐져 많은 고문 합격자를 배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일본 유학파가 국내파보다 더 많았다. 유학생들은 대개 대학 전문부 혹은 일본고등학교를 거쳐서 대학 본과에 입학하였기 때문에 적어도 5~6년 이상의 일본생활을 하였다. 당시에도 고학생이 없었던 것은 아니나, 상당 수준의 부유한 집안 출신이 아니면 불가능한 것이었다. 조선인 사법관의 출신 지역은 북부 출신들이 남부 출신들도 비교적 많았고, 특히 평안도 출신이 많았다. 이는 이 지역이 일찍부터 기독교를 받아들이며 근대교육을 가장 먼저 실시한 영향도 적지 않았다. 이들은 해방 이후 상당수가 월남하여 법조계의 재편과정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끼쳤다. 조선인 사법관의 집안과 자산 규모는 주로 고문 출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활용한 자료는 조선총독부 법무국에서 작성한『司法官試補進退書類』이다. 이 자료에서 사법관으로 임용된 고문 출신의 조선인 69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의 집안 및 부의 직업은 종래의 지주계층(兩班)과 한말 이래 부상한 상공업자 그리고 관리 출신의 전문직 종사자가 대부분이었다. 이들의 자산 평균은 최고액층과 최저액층을 제외하면 약 3만 3천 원이었다. 당시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감안할 때 자산 평균액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자산 규모의 이러한 통계는 이들이 몇몇을 제외하고는 적어도 지역유지로 중상류층에 속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조선인 사법관은 법조와 재야에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사법관 기본적인 임무는 기소와 재판이었다. 조선인 판사는 각급 법원 및 지청에 민사부·형사부의 단독 혹은 합의부원으로 배속되어 재판에 참여하였다. 조선인 검사 역시 각 법원 및 지청 검사국에 배치되어 형사사건을 수사하고 기소하는 직무를 수행하였다. 특히 식민지 시기라는 상황 속에서 항일민족운동 혹은 이른바 사상사건에 조선인 사법관도 다수 참여하였다. 조선인 사법관은 현직에서 물러나면 대부분 지방법원 검사국에 변호사로 등록하고 각 변호사회에 가입한 후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그런데 변호사 개업은 허가제였기 때문에 지방법원 검사정의 통제를 받아야 했다. 이러한 통제와 제약에도 불구하고 식민지 조선에서 변호사란 직업은 상당한 수입을 보장해 주었고, 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에서 유지로 대접받았다. 조선인 변호사의 수입은 1930년대 경우, 전체 1인당 평균 연수입이 약 3,000원에 달하였다. 민사사건은 변호사의 수입과 밀접한 관련을 갖지만, 식민지 조선의 상황에서 보다 중요한 것이 형사사건이었다. 형사사건 중에서도 항일민족운동과 관련된 사건에 대해 조선인 사

      • 서울시 문화지구정책의 효과성 연구 : 인사동과 대학로 문화지구의 비교

        김경애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지방자치제 이후로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은 ‘문화도시’를 슬로건으로 내세웠다. 시민들 역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주5일 근무제의 도입으로 문화수요에 대한 욕구는 커져만 갔다. 지방정부의 입장에서도 문화도시의 구축은 ‘삶의 질’뿐만 아니라 도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호된다. 하지만 여러 지방자치단체의 무계획적인 ‘문화도시’를 지향함으로써 그 본질은 외면한 채 무늬만 문화도시가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러한 결과 지방자치단체는 예산을 낭비하게 되고 정부실패로 이어져 결국 국가 부(富)의 손실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도시를 계획, 개발, 관리하는 일반적인 수단, 예컨대 도시계획이나 건축은 근본적으로 시장경제에 따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환경 아래서는 예술적 의미와 가치를 가진 도시 공간이나 전통역사가 있는 공간은 무시될 수 밖에 없다. 특히 문화예술자원이 밀집되어 문화적 특수성을 보존하고 발전시킬 필요가 있는 지역의 경우 기존의 도시계획 및 제도권 안에서는 그 목적을 실현하는데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에 대한 인식은 1990년대 말 문화공간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정부는 전국에 문화의 거리와 문화지구지정 등 정책적으로 문화 집중 지역을 다듬어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인사동과 대학로가 문화지구로 지정이 되었지만 효과적으로 운영되지는 못하였다. 때문에 문화지구 내 문화관련 시설과 정책적 지원은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지구의 실정을 수용하지 못하고 여전히 열악한 환경에 머무르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대학로 지역의 상업화는 끊임없이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지구정책의 의의와 현 실태를 살펴보고 문화 및 장소에 문화지구 지정이라는 정책적 개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이에 부정적인 측면으로 드러난 문제점에 대안을 제시하고 향후 예술이 살아있는 문화지구를 만들기 위한 정책의 방향과 추진전략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인사동문화지구에서 가장 필요한 전략은 전통문화의 이미지를 보존·강화하여 허울뿐만이 아닌 진정한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인사동문화지구는 진정한 전통문화발굴, 주고객증대 및 신규고객유도, 로고홍보, 현실적 정보제공, 중국제품판매규제, 전통제품인증제개발, 독창적 전통문화 상품개발 및 전통 장인지원, 관련네트워크 생성, 기금 조성 및 운영·관리를 할 수 있는 정책 및 실행이 필요하다. 대학로 문화지구는 일방적으로 극장이 많아지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내실 있는 정책의 운영이 앞서야 한다. 형식적인 지원보다 진정한 문화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공연장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양질의 공연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공연이 질적으로 성장하며, 끊임없이 관객의 호응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는 자생할 수 있는 여건을 구축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먼저 문화지원전략의 수립에 있어서 상이한 집단에 속해있는 주체들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 또한 다양한 주체들 간의 체계적인 파트너십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집단 간 합의를 위한 매개체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Since the local autonomy , many local governments proclaim 'cultural city' as their slogan. Residents also started to take interest in quality of life since their living conditions were improved and 5 working days a week increased their cultural demand. For local governments, building a cultural city is good not only for 'the quality of life' but also for securing city's competitive power. However, reckless pursuit of 'cultural city' by many local governments often creates a shell of a cultural city missing the essence of it. As a result, local governments would waste government budget, which leads to government failure, then to loss of national wealth, this can be quite a serious problem. Basically, it is inevitable that general means to plan, develop and maintain a city - for instance, urban planning or architecture - have so far followed market economy.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also inevitable that urban space with artistic significances and values or any space with tradition and history may be overlooked in the public. Particularly, certain regions which contain a dense herd of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and whose cultural specialty needs conserving and developing have fundamental limitations in achieving their goals within the boundary of conventional urban planning and mainstream systems. The senses about these limitations have invoked more attentions to cultural space in the late 1990's and Korean government has begun to roll out policies to refine cultural implosion areas, which involve designating cultural streets and districts nationwide. Daehak-ro and Insa-dong were designated as cultural district, but have been not effectively operated up to date. That is why culture-related facilities in Cultural District and policy-level supports for it still remain at inferior circumstances, failing to accept rapidly changing realities of District, And what is worse, District has been ever-commercialized at accelerated pa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current profile of policy of Cultural District, and find out possible effects of policy-level interventions involving designation of cultural district upon culture and place.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possible alternative solutions for current issues revealed in negative aspects and purpose possible policy directions and promotion strategies to build a cultural district with living art in the future. The primary strategy in Insa-dong cultural district should focus on how to show the genuine Korean traditional culture resulted from enhancement and preservation of its traditional images. Consequently, Insa-dong cultural district requires those strategies which develop its genuine traditional culture, attract its both main customer and new purchasers, promote its unique logo, offer its practical information goods, create its original traditional and cultural goods, support artisans working there, and generate organizational network relevant to it. For the Daehak-ro cultural district, it is not important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aters in unbalanced ways, but to operate more substantial culture policies in advance. Also, it is critical to create a real cultural space, rather than give formal support. it will be required to systematically run performance pavilions, create a good environment for quality performance to achieve growth in quality and keep attracting a good consensus from audience until it can survive on its own. This study ha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consider members of different groups in the course or preparing cultural support strategies. In addition, the study implies that systematic partnership among various participants and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it, and media for inter-group consensus are needed.

      • 지역 박물관의 전시 해석기법 연구 :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유정미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7

        새로운 박물관은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과 함께 유물이 탄생하게 된 맥락이자 주체인 지역을 중요시한다. 박물관은 지역사회와 뿌리 깊은 독특하고 고유한 관계를 맺고 있다. 박물관의 지역사회에서의 기능은 지역민과 연대하여 지역문화를 형성 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의 특성을 살린 열린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이다. 이에 박물관은 지역공동체 문화유산 저장소로서의 개념을 설정하고 이의 구체적, 장기적인 계획 하에서의 전략이 필요하다. 이런 전략 중 첫 번째가 지역공동체의 보편적 정서가 담겨 있고 유형화된 공통적인 요소를 찾아내어 재해석하는 것이다. 이 해석의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의 방법을 선택하였다. 스토리텔링이란 사건 내용인‘스토리’와 사건 진술 형식인‘텔링’의 합성어로 사건과 인물ㆍ배경이라는 구성요소를 흥미 있는 사건 배분으로 묘사하는 작업이다. 모든 서사물이 스토리텔링의 구조를 가지듯이 박물관 전시 역시 하나의 서사물로서 스토리 텔링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의 감성적, 경험적 소통을 이끌어내어 지역박물관을 활성화 시키고 지역문화를 형성하는 전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스토리텔링 역할을 제시한다. 먼저 현대박물관의 개념 변화와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지역 활성화를 위한 박물관의 스토리텔링 도입과 전시 해석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맥락을 반영한 전시 스토리텔링 분석하여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박물관 전시 해석법의 방향을 제시한다. A new museum values social context and a community which is both the subject that creates relics and the context that triggers the creation of relics. The museum maintains the unique and deep-rooted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The museum creates community culture in cooperation with residents in the community and functions as an open cultural spac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to set the museum as the repository of cultural legacies of the community under a specific and long-term plan. The first strategy is to find and reinterpret tangible common factors that reflect the universal sentiments of the community. In this study, a method of storytelling was chosen as a way of reinterpreting the factors. Storytelling, a compound word made from two wards, ‘story’ that is the content of a event and ‘telling' that is the form of stating the event, refers to a process of describing elements such as event, characters, and background as a interesting event. As every narrative work has a structure of storytelling, a museum exhibition, a kind of narrative work, also has a structure of storytelling. This story presented the role of storytelling as an exhibition communication tool that invigorates a local museum and creates local culture by eliciting emotional and experimental communication of local culture. To begin with, the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a shift in the concepts of a modern museum and its role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explored the museum's introduction of storytelling and direction to interpret exhibitions for the invigoration of the community. Furthermore, it presented the direction to interpret museum exhibitions for the invigoration of local culture by analyzing exhibition storytelling that reflects the community through case studies.

      • 시민참여가 정책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염동열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07

        정부를 위시한 공공부문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시민들에 대한 서비스의 질의 향상과 공익의 보호라고 할 수 있다. 공공부문의 조직들은 이러한 정책들을 통해 시민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익을 보호한다. 서구 선진국에서는 시민참여가 정치 및 행정의 책임성과 대응성을 높이고 경제사회적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시장과 관료적 메커니즘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자, 오늘날 팽배해 있는 정부에 대한 시민의 불신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라는 인식이확산되고 있다. 시민참여는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부 활동에 대한 시민들의 지식과 정보가 날로 증대하고 있고, 시민들이 시간과 비용을 크게 투자하지 않고서도 정치․행정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 급속히 신장되고 있는 데 따른 불가피한 현실로 간주되고 있다. 정책집행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어떤 의미에서 정책의도, 즉 정책목표를 실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책이 집행을 통해서 정책 목표를 실현하고자 한다고 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며 설사 실현되었다고 하더라도 무조건적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정책대상 집단의 정책불수용은 정책의 효과를 저해시킴은 물론, 집행마저도 힘들게 하고 이는 결국 정책의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정책집단의 효과적인 정책 수용도 확보는 성공적인 정책집행을 위해서는 필요조건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효과적인 수용성 확보가 반드시 성공적 정책집행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책수용 없이는 정책집행의 성공을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정책이나 법규에서 요구하는 행동에 따르지 않는 행위를 정책불응이라고 할 수 있고, 반대로 정책이나 법규에 요구하는 행동에 따라는 행위를 정책순응이라 규정할 수 있다. 즉, 정책 순응이란 정책목표 달성을 위하여 설정된 정책지침이나 지시 등의 행동규정에 대하여 정책집행자나 정책대상자가 이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책불응이란 정책목표달성을 위하여 설정된 행동규정에 정책집행자나 대상자가 불일치하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정책집행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정책순응성을 높여나가는 일인데, 그 방법은 시민의 참여를 통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고 본다. 정책수용과 관련 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목표공감, 정책효과성, 효율성, 정책 경제성 등이 정책의 주된 판다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각각의 사람들은 정책을 접하는데 있어서 각자의 판단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정책 수용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 정책수용에 있어서 이러한 정책적 판단요소 외에 조직자체의 노력과 개인 자체의 이익에 대한 부분, 시민들의 참여경험이 주요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첫째, 시민들의 참여 형태에 따라 정책의 수용도가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둘째, 실증적으로 정책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해 보는 것이다. 셋째, 시민들의 참여 형태로 분류하여 정책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시민들의 참여형태에 따라 어떠한 요인들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시민주도형 정부성과관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민들의 참여형태의 실효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공공부문의 조직성과라고 할 수 있는 정책에 대한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시민참여에 따라 주요정책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사회 전체적 맥락에서 상호간의 이해증진을 통해 시민들의 주요정책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용도를 제고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요 정책에 대한 시민참여와 수용도를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하여 본 논문의 종속변수인 주요 정책수용도를 조사 분석해 보았으며, 독립변수를 기관수준, 정책수준, 개인수준으로 분류하여 시민참여를 비롯한 기관의 홍보노력도, 정책에 대한 실행가능성, 사회전체 차원에서의 바람직성, 개인 간의 이해 충돌, 이해부합성, 무관심 등을 논의해 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시민주도형 정부성과관리를 도입하여 3년째 실행중인 지방정부인 평창군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은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시민참여의 유형으로 종속변수인 주요 정책수용도와 독립변수인 기관차원, 정책차원, 개인차원의 변수들을 분류하여 분석해보고, 차이분석(t-test, 분산분석)을 해 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본 논문의 종속변수인 주요 정책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로 설정된 기관차원, 정책차원, 개인차원으로 설정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주요 정책으로 분류하여 주요 정책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의 절차로는 척도의 타당성, 신뢰성 분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들과 시민참여유형으로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통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해 보았다. 또한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하기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 오장환 시 연구 : 시 의식의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김희경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고는 오장환 시인의 자의식의 형성기부터 사회주의 이념을 받아들이기까지 시의변모과정을 살피고자 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한국 문학사에서 1930년대는 역사적 시대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세계는 근대라는 거대한 물결 속에서 각 나라들을 강타하며 들이닥쳤고 이렇게 형성된 근대의 성향들은 개개인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며 그에 미처 적응하지 못한 세력들을 주축으로 커다란 패배의식에 함몰되는 결과를 안겨주었다. 특히 조선은 일제의 침략으로 더욱 짙은 혼돈기를 맞아야 했다. 근대와 함께 유입된 서구문물은 합리성이라는 명패를 달고 들어와 그동안의 조용했던 공간들을 한꺼번에 뒤흔들었다. 오장환의 시세계는 이러한 환경의 영향 탓으로 그의 시 의식의 바탕엔 현실부정의식이 자리하고 있다. 오장환은 민족주의 작가이며 월북시인이다. 오장환이 궁극적으로 민족주의에 심취해 결국 월북이라는 선택을 하기까지의 성장과정을 살펴보면, 그 원인 중 하나는 어릴 때부터 ‘서자(庶子)’로 자란 남다른 환경에서부터 기인하였다. 따라서 그의 작품 속에는 기득권에 대한 저항의식이 강하게 나타나 있다. 더욱이 몸이 병약해서 일찍부터 ‘병’과 싸우며 심신이 매우 우울한 상태에 있던 그는, 그의 의지와 상관없이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에 노출됨으로써 차츰 민족주의 작가로 자리매김하게 하는 모태가 되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를수록 이 러한 성향은 한층 견고해갔다. 당시의 비극적이고 암울했던 시대적 상황은 우울한 사고의 전형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원망과 분노로 가득찬 부정적 정서가 횡행하고 식민 지배자에 의해 한낱 미물보다 못한 취급을 당하면서 민중들을 비롯한 작가들 역시 지난한 이 어둠의 골짜기를 벗어나야 한다는 오기를 발동시켰다. 오장환의 의식세계는 이러한 혼돈의 시기를 거치면서 울분과 눈물을 주체하지 못하고 쏟아내는 감정의 층위를 적나라하게 내보여왔다. 무엇보다 오장환을 둘러싼 우울한 시대적 요소들은 자칫 팜므파탈적 성향을 지닌 시인의 심리적 상흔을 깊이 파고들기에 적합한 경향이 있다. 오장환의 경우 이러한 성향은 훨씬 짙은 감성적 사고를 바탕으로 자신의 시세계를 형상화해왔고 병적으로 우울한 사고의 논조를 작품 속에서 일관되게 보이고 있다. 다시 말해서 오장환은 그의 작품 속에서 우울과 불안과 절망 고독 등을 포함한 각종 병적 알레고리 현상들을 다양하게 현현화시키고 있다. 오장환의 이러한 사고의 전형은 현실 인식을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오장환 시인의 시의식의 출발은 ‘어머니’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오장환은 ‘문’이라는 설치 공간물을 활용하여 인식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오장환 시의식의 변이는 근대기라는 거대한 세계의 조류속에서 혼돈과 혼란을 거듭하면서 여러 가지 갈래의 경험을 통해 확장해갔다. 결국 현실적 난관을 이겨내고자 나름대로 구축한 진보의식은 전통과 관습들을 벗어던져야만 한다는 대명제 앞에서 ‘새로운’ 것과의 충돌을 끊임없이 야기시켰다. 이는 시인의 성향이 현실을 부정적이고 비판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말한다. 또 하나 주목할 점은 오장환의 작품 속에서 ‘어둠’ 또는 ‘밤’이라는 소재가 많이 사용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시인 의식의 부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로 활용되었다. 오장환이 활동한 공간은 도시이다. 근대는 도시를 중심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침투해왔다. 많은 사람들은 급변하는 혼란 속에서 중심을 잡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양상을 드러내었다. 이전의 자연공간은 점점 설자리를 잃어갔고 그 안에서 생활하던 사람들 역시 뒷골목으로 밀려나고 있었다. 도시는 신작로를 중심으로 재빠르게 재배치되었다. 오장환은 이곳에서 도시의 어두운 이면들과 만나게 된다. 근대기를 통해 인위적으로 구축되고 있는 도시공간의 재배치는 이전의 자연목가적 풍경들을 거칠게 훼손하면서 사람들의 의식조차 변형시키는 대변혁의 공간을 일구어냈다. 이런 가운데 농민들은 도시로 대거 이주하는 진풍경이 일었다. 이른 바 신문물의 변혁 속에서 직업소개소 전당포 또는 마약쟁이 등이 난무하는 근대문명기 폐해는 속속 어두운 실체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나라를 잃은 조선의 운명과 함께 피식민인으로 살아가야 하는 조선인들의 운명은 나날이 피폐해갔다. 일제는 점차 조선의 시간과 공간을 재배치하고 급기야 조선인들의 의식의 이면까지 지배하고 관리하는 체제들을 강화해갔다. 따라서 민족간 의식은 양분되고 갈등은 극에 달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때 점차 일제에 협력하고 저항하는 세력들도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모습을 목격하며 오장환은 나라를 잃고 갈 곳이 없어 부랑인으로 떠돌아야 하는, 자신과 나라의 운명을 대입시키며 눈물로 세월을 보내야했다. 이러한 상황을 토대로 현실을 부정하는 의식은 점점 강도를 더해갔다. 더불어서 이는 뒷날 월북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월북 이후 오장환은 사회주의 체제를 찬양하는 시를 다수 발표하였다. 그리고 좌경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몰입하였다. 다만 오장환 시인의 의식세계가 근대라는 거대한 역사적 물결과 자신의 개인적 시대적 불행을 대비시키며 시대성을 뛰어넘고자 애썼다는데 나름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다. 하지만 오장환의 시적 경향은 월북 이후 커다란 전환점에 다다른다. 일찍부터 독창적인 문학세계를 구축해오던 오장환은 좌우 이데올로기에 천착하면서 편향적 시세계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즉 거친 시구들을 격정적으로 쏟아냄으로써 극단적 감정의 세계로 빠져들었다. 오장환은 작품 「공청으로 가는 길」에서 매우 겸연쩍어하고 수줍어하던 청년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후 오장환의 의식세계는 확고한 민족주의의 연장선상에 서면서 ‘공산주의 이념’에 철저히 빠져드는 전사로 변화하였다. 이념이란 누구에게나 짓눌려진 현실을 탈출하기 위한 의식의 근거로 작용된다. 하지만 그 누구도 이 한계점을 뛰어넘기란 쉽지 않다. 진정한 이념의 실체는 영원히 손에 잡히지 않는 무지개와 같은 상징체로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오장환 역시 이러한 이념의 실체적 근거를 확인하지 못한 채 삶의 지평 너머로 사라져갔다. 오장환 시인의 존재적 가치는 ‘이념’이라는 굴레가 현실과 이상 사이에 가로놓여져 있는 것에서 그 자체로 상징성을 띤다. 그러나 이는 언제까지나 풀리지 않을 화두로만 존재할 것이다. 숱한 갈등과 반목 속에서 시대적 역사적 고통을 겪으며 누구보다 절절하게 눈물을 흘렸던 시인 오장환. 그가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했던 사상적 이념의 모체는 축적된 시인의 현실경험에서 나온 행위의 산물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