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텔리아의 양가감정, 마르케티의 주이상스

        계희승 ( Kye Hee Seng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연구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 가사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오페라 등장인물의 양가감정(兩價感情, ambivalence)을 음악 분석으로 읽어내고, 양가감정이 끌어내는 등장인물, 혹은 성악가의 주이상스(jouissance)가 관객이 오페라를 경험하는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은 모차르트 오페라 《티토 황제의 자비》 (La clemenza di Tito, KV. 621, 1791)의 3중창(10번곡) “지금 가리라... 기다려요... 세스토!...”(Vengo... Aspettate... Sesto!...)이다. 마지막으로 장 피에르 폰넬이 1980년 연출한 오페라-영화에서 비텔리아를 어떻게 그려내고 있는지 살펴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1) to investigate the ambivalence of operatic characters elicited by a discrepancy between music and text by means of music analysis; and (2) to examine character`s and, in particular, singer`s jouissance emanating from this ambivalence and voice, and discuss the way in which this influences the audience`s perception of opera.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trio “Vengo... aspettate... Sesto!...” (No. 10) from Mozart`s opera La clemenza di Tito, KV. 621 (1791). It concludes by discussing Jean-Pierre Ponnelle`s depiction of Vitellia in his 1980 film version of the opera.

      • KCI등재

        매개된 소리의 시간: 계몽주의 시대 오케스트라(Orchestra of the Age of Enlightenment)의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계희승 ( Kye Hee Seng ),정경영 ( Chung Kyung-young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이화음악논집 Vol.27 No.2

        계몽주의 시대 오케스트라(Orchestra of the Age of Enlightenment)의 뮤직비디오는 유명한 대중음악 뮤직비디오에서 영감을 얻어(“film inspired by”) 바로크 시대 음악을 영상화한 것이다. 본 연구는 라디오헤드(Radiohead)의 〈노 서프라이즈〉(No Surprises) 영상을 커버한 헨델의 〈사랑하는 월계수야〉(Cara pianta) 영상과 콜드플레이(Coldplay)의 〈더 사이언티스트〉(The Scientist) 영상을 커버한 퍼셀의 〈내가 땅에 묻힐 때〉(When I am laid in earth) 영상을 다룬다. 본고에서 특히 관심을 갖는 것은 바로크 아리아와 계몽주의 시대 오케스트라의 영상이 어떻게 각기 ‘시간성’을 드러내는가 하는 점이다. 각각 다 카포와 오스티나토 베이스라는 음악적 형식을 가진 아리아가 현대 대중음악가들의 작업을 패러프레이즈해 만든 뮤직비디오에서는 어떤 시각적 양식을 갖게 되는지, 그리고 노래와 영상이라는 각기 다른 매체가 만들어 내는 시간성이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달하우스(Carl Dahlhaus)의 오페라 속 ‘시간구조’(Zeitstrukturen) 개념과 버거(Karol Berger)가 음악적 근대성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시간의 ‘순환성’과 ‘직선성’ 개념을 사용한다. 뮤직비디오와 그것을 커버한 뮤직비디오의 관계, 음악과 영상의 관계는 각각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과 상호매체성(intermediality)이라는 맥락에서 검토되며, 특히 후자의 경우 기술(technology)이 이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주목하여 살펴본다. The Orchestra of the Age of Enlightenment’s (OAE) “Film Inspired By” series produces reimagined music videos for Baroque period pieces, emulating renowned pop music videos. This study examines both OAE’s video of Handel’s < Cara pianta >, adapted from Radiohead’s < No Surprises > video, and that of Purcell’s < When I am laid in earth >, inspired by Coldplay’s < The Scientist > video. The central focus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temporalities within Baroque arias and how these are presented in their corresponding remade music videos. Specifically, the visual manifestations of arias featuring da capo and ostinato bass musical forms in remade music videos are investigated, and the temporalities generated by distinct song and video mediums are compared. To achieve this, Carl Dahlhaus’s concept of time structures (Zeitstrukturen) in opera and Karol Berger’s notions of circularity and linearity of time are employed to characterize musical modernity.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original music videos and their remade versions, and between music and video are analyzed within the context of intertextuality and intermediality, with emphasis placed on the role of technology in shaping these connections.

      • KCI등재

        벤자민 브리튼과 나사의 회전 소리, 혹은‘해석’의 전회

        계희승 ( Hee Seng Kye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포럼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헨리 제임스의 소설 『나사의 회전』 속 유령이 가정교사의 망상이라는 주장이 벤자민 브리튼의 오페라 《나사의 회전》에서 어디까지 유효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와 분석을 재검토하고 이들이 어떻게 위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해석될 수 있는지 알아본다. 본고의 두 번째 목적은 첫 번째 작업을 통해 드러나는 새로운 해석, 요컨대 관객이 경험하는 오페라 전체가 가정교사의 망상일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오페라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음악이 가정교사의 주제에서 파생된다는 작업 가설을 제시하고, 해석과 분석의 상호연관성을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it examines the “reality” of the ghosts in Henry James’s novella “The Turn of the Screw,” and tests the extent to which this reality is possible in Benjamin Britten’s opera The Turn of the Screw. Drawing on the work by well-known Britten scholars,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e way in which their analyses can be interpreted to test the reality of the ghosts. Second, the present study tests a proposition that the entire opera is a projection of the Governess’s psyche. Based on a working hypothesis that the musical materials of the entire opera grow out of the Governess’s theme,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 KCI등재

        피가로는 정말 수잔나에게 화가 난 것일까?: 음악분석으로 되읽는 오페라

        계희승 ( Hee Seng Kye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5 음악이론연구 Vol.25 No.-

        본 논문에서는 음악이 들려주는, 바꾸어 말하면 음악을 듣지 않고서는 접근할 수 없는 오페라 속 등장인물의 내면을 ‘음악분석’이라는 렌즈를 통해 들여다보고, 모차르트가 어떠한 방식으로 다 폰테의 대본, 보마르셰의 원작과는 또 다른 이야기를 풀어가는지 《피가로의 결혼》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음악형식 분석과 쉔커식 분석을 통해 음악적으로 드러나는 피가로의 감정이 가사를 통해 전달되는 그것과는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본다. 그리고 이러한 접근법과 오페라 연출의 상관 관계, 즉 오페라 연구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장 피에르 폰넬 감독이 1976년 영화판으로 제작한 《피가로의 결혼》의 연출 기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폰넬의 연출에서는 촬영 기법의 도움으로 두 명의 피가로가 한 화면에 함께 등장하는데, 이러한 연출이 음악분석과 해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음악분석과 해석이 연출에 어떤 가능성을 제공하는지 논의한다.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moments when music seems to say something that is not in harmony with what text expresses. This discrepancy between music and text suggests that Mozart tells us, through music (vocal or instrumental), the characters` most private thoughts that are not revealed in the text alone. This paper proposes music analysis as a way into reading this unheard voices, and examines the way in which Mozart narrates his version of drama that is distinct from the librettist`s or the literary source on which his opera is based. I close b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such reading in stage direction, revisiting a scene from Mozart`s Le nozze di Figaro, and Jean-Pierre Ponnelle`s 1976 film-version of the op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