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인터넷상표권 침해관련 법률의 변화에 관한 연구

        강준모,Kang, Joon Mo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10

        인터넷의 등장에 따른 사이버스페이스의 확장이 많은 변화를 야기하고, 특히 법 영역에서 현실세계의 법체계와 충돌하면서, '사이버스페이스와 법'에 관련된 문제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이슈 가운데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인터넷이나 컴퓨터와 관련된 기술발전의 속도가 빨라지고, 디지털화와 그 결과물인 디지털콘텐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전자상거래가 현실세계의 거래에 버금가는 영향력을 갖게 되면서 지적재산권 관련분야의 환경도 급변하고 있다. 특허, 상표, 저작권 등 지적재산권 이용형태의 다양화와 정보 유통형태의 혁신적 발전은 더 많은 정보의 자유로운 이용을 요구하는 이용자와 그러한 환경변화에 부응하는 보호를 요구하는 지적재산권자간의 충돌을 야기하고 있으며, 새로운 유형의 정신적 창작물에 대한 보호와 규율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 정치, 경제, 법률을 이끌고 있는 미국의 지적재산권관련 법제의 전개상황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은 우리의 이익을 지키기 위하여 필수 불가결한 활동이다. Global commerce is apparently here to bind Korean firms as well as Koreans. The advertising, buying and selling of goods and services recognizes no borders. As a result, enforcing territorially based trademark rights has become ever more challenging. Remote trademark owners who peacefully coexisted in a time before the internet and increasing globalism are now bumping heads. The internet also has made it easier for unscrupulous operators to deceive consumers and divert customers from established businesses by misappropriating trademarks on web-sites and in domain names. U.S. federal courts have been willing to help American businesses halt trademark infringements that reaches outside the United States. This is particularly true for e-business, via the internet, and the trend toward enforcement seems to be in favor of the trademark owner. This article discusses this trend as well as the extraterritorial enforcement of trademark rights by U.S. courts under the Lanham Act. It also offers suggestions for protecting valuable trademark rights worldwide.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global Korean firms and Koreans who carefully read arguments in this valuable literature.

      • KCI등재

        특허환경의 변화에 따른 지적재산권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강준모(Joon Mo Kang) 중앙법학회 2013 中央法學 Vol.15 No.3

        글로벌 특허경쟁과 특허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가 한치 앞을 예측할 수 없다. 구글이 특허를 확보 하기 위해 모토로라 모빌리티를 인수하는 등 기업 간 합종연횡이 활발하며, 특허분쟁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특허 비즈니스 환경은 첫째, 특허를 수익자산으로 보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둘째, 특허 비즈니스 모델이 분업화, 전문화되고 있다. 셋째, 특허권 관리기업(NPE: Non-practicing entities)이 전면에 부상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라이선스 계약이나 소송으로 기존 제조업체를 위협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특허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따라 기술혁신 속도가 빠르고 특허출원이 많은 IT 분야에서 특허를 확보하고 방어하기 위한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고성장하는 융·복합 분야인 스마트폰에서는 기술과 시장 주도권 선점을 위한 ‘세불리기’ 경쟁이 나타나고 있다. 스마트폰은 광범위한 특허가 필요하며 운영체제의 메이저 업체들 모두 통신기술이 취약하기 때문에 특허포트폴리오 확대를 위한 합종연횡 이 활발하다. 또한 스마트폰 제조업체 중 특허 경쟁력을 보유한 삼성전자 등은 복수 운영체제 활용/ 자 체 운영체제 개발 등으로 특정 운영체제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9년 파산한 키몬다는 키몬다 라이선싱을 설립하여 특허권 관리기업으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으며, 마이크론과 트네사스는 각각 특허권 관리기업인 RRR과 아카시아에 특허를 매각하거나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여 보유 특허를 사업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들로부터 특허를 취득한 특허권 관리기 업 이 특허 포트폴리오가 취약한 업체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면서 특허 리스크가 격화될 우려가 있다. 이러 한 특허 블록은 신규업체의 시장진입을 가로막는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새로운 특허 비즈니스 환경 하에서 우리나라기업은 특허를 비즈니스 자산으로 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글로벌특허 생태계에 능동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일관된 특허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The transformation of the global patent race and patent business environment has created an unpredictable forum. Google`s recent acquisition of Motorola Mobility in order to acquire patents brings to light the alliances between the interested companies and also shows the increase in patent litigation. First, recently the patent business industry has begun to take notice of these patents as live assets. Second, the patent business model is becoming more specialized. Third, the non-practicing entities (NPE) are emerging to the forefront. These companies make money by threatening existing manufacturers through litigation or licensing agreements. The fierce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to secure and protect patents is being unfolded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sector, where the pa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s quick and patent applications are numerous. Technology and market share dominance in the rapidly growing field of convergence of smartphones is being portrayed as competition for power. Because smartphones require numerous patents and all the major operating system vendors have weak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alliance for the expansion of patent portfolios is very active. In addition, smartphone manufacturer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who holds as edge in patent competitiveness, are expected to follow a strategy which reduces dependency on a particular operating system by us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and developing its own operating system. Bankrupt Qimonda established Qimonda Licensing in order to transform itself into a patent portfolio company and both Micron and Renesas have either sold their patents to patent portfolio companies RRR and Acacia or and have used strategic alliances to commercialize their inventory of patents. Holding these patents the patent licensing companies have aggresively attacked against the weaker companies. These blocking patents act as a barrier to block new companies from entering the market. Korean firms should establish a system that utilizes patents as a business asset in this new patent business world. Furthermore, they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global patent industry.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promote a uniform patent policy in order to strengthen industri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A Short Treatise on the Virtual World and the Law

        강준모(Joon Mo Kang)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5 No.-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외국에서도 가상세계에 관한 온라인 게임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가상세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법률문제에 대해서는 지적재산법의 영역이지만 선행연구가 별로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세계의 개념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법률적인 관점에서 개념정의를 시도하였다. 또한 사람들은 가상세계의 개념을 어느 정도 수준으로 이해하고 있고 또 인식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가상세계의 관련한 법적 규제로는 형법이나, 재산법, 계약법 등도 있지만, 이러한 법률보다는 주로 지적재산권관련 즉, 저작권법, 상표법을 중심으로 관련쟁점을 논의 하였다. 이미 현실사회와 가상세계를 넘나들며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하고도 새로운 행위는 여러 가지 법적 문제를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중접속 온라인 역할게임(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MMORPG)의 경우에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 상태에서 상당시간을 머물며 가상세계의 독특한 특성, 특히 가상세계의 특성이 내포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행위가 현실사회의 행위와 연결되면서 발생된 법리적 갈등인 것이다. MMORPG의 게임행위와 관련한 법적 문제는 더욱 확대되면서 더욱 광범위하게 발생될 것이다. 온라인네트워크는 끝없이 확장되고 있고 가상세계의 다양성은 무한하다. 이러한 가상세계의 발현에 대하여 현재의 법제가 가지는 철학적 기반은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물적 환경에 기초한 현재의 법제로는 가상세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수많은 사람들의 시간투자와 정신활동의 산물을 이해하지 못하며 가상세계와 현실사회의 고리를 설명할 수 없는 것이다. Currently, virtual worlds based on online providers around the world are developing at a rapid pace.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whole lot of research done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regarding the legal issues in these virtual worlds. This study focuses on the virtual world and the legal issues they create. The study examines the prevalence and the impact virtual worlds are having on society. Furthermore, although there is relevant criminal, property, and contract law regarding the virtual world,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s such as copyright and trademark law. More and more interaction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has brought to attention the legal issues that face this new frontier. The reason why it is paramount to understand and examine the legal issues facing the virtual world is because of the ever increasing number of people spending their time in the MMORPGs. The possibilities and creativeness of the virtual worlds are increasing and infinite. As this computer savoir-faire generation enters society a new paradigm will be created for how and where we work and play. However, the manifestation of these virtual worlds has unexpectedly caught the present legal foundation unexpectedly. A more standardized and centralized guideline is required to fill the gaps between the real world and virtual world so the courts in the future will be able to address the mounting private litigation that appears to be rising on the horizon.

      • KCI등재

        유럽연합에서의 생명공학 발명의 법적 보호

        강준모(Kang, Joon-Mo) 한양법학회 2013 漢陽法學 Vol.24 No.4

        Led by the emergence of a knowledge-based society, the biotechnology industry, that is the bio-based biotechnology, can be defined as using a living organism’s features and information needed by humans to produce useful materials and services. The rapid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is bringing about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its great industrial ramifications. Being so important, when seen in the view of existing industry standards, the technology to respond to the ethical and social challenges with the corresponding legal and technical problems, especially challenges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field, is being brought forth. In the midst of systematic formulation, biotechnology and related plant and animal patents, including microorganism patents, are facing new challenges. With the completion of the human genome project, issues of patent protection regarding gene fragments using genetic information, the so-called animal cloning techniques using embryonic stem cells, and although on a different level the profit sharing for genetic resources and the protection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iscussed at the Rio Environment Summit are presently raising a variety of issues concerning the urgency and necessity of research in the field of patent law. As mentioned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cognizing the need for biotechnology research concerning the recently raised core issue of patentability, discussing the development of the European Union‘s legislative process and exploring their adjudication examples, and obtaining information which has implications for our nation‘s intellectual property policy.

      • KCI등재

        신기술시대에 있어서 지적재산권 보호의 법리적 논거와 철학적 근거에 관한 해석론

        강준모(Kang, Joon Mo)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49 No.-

        발명자, 저작자, 그리고 예술가를 격려하여 그들이 창조하는 과정에 에너지를 투자하도록 지적재산권의 보호가 필요하다. 이런 보호 없이는 다른 사람들이 비용부담과 창조에 대한 노력 없이 지적재산을 복사하거나 모방할 수 있으므로 원작자들의 적당한 투자수익 획득을 막는 것이다. 물론 카피레프트 운동에 따르면 지적재산권에 반대해 지적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모든 사람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옳은 것인가? 지적재산권의 존재는 발명가들이 그들의 창조적 노력을 추구 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다. 만약 발명가에게 자기의 발명을 복사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적 권리가 주어진다면 그는 이익을 낼 수 있는 확률이 더 높아진다. 그러므로 그가 연구 및 개발에 초기투자를 더 하고 싶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발명가는 더 부유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지적재산권의 보호 때문에 새롭고 더 좋은 제품들이 만들어져 소비자인 일반 국민들에게 다가 올 것이다. 이러한 법적 논리가 논의되고 연구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단지 외국법의 사례소개는 많았다. 또 우리 실정법의 해석도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지적재산권보호의 법리적, 철학적, 사회적 기저를 탐구하고자 한다. 지적재산권법의 주된 목적은 기술적이거나 표현적인 측면에서 새롭고 더 나아진 작품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 목적은 특허, 저작권, 영업비밀(trade secret)뿐만 아니라 다른 특수한 보호시스템들도 포함한다. 한편, Trademark과 부정경쟁방지법들은 아주 다른 측면의 경제적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즉, 시장의 완전성을 지키는 것이다. 우리는 공리주의 이론이 다양한 지적재산보호의 분석과 정당화를 위해 오래 동안 중요한 패러다임을 제공해왔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지적재산분야의 경제적 차원들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이제 아주 다른 (상반된) 두 요소들을 구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것은 경제적 유인의 혜택(economic incentive benefit)과 확산 제한의 비용(cost of limiting diffusion)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지적재산권법 분야에서 그 철학적 기초를 탐구한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적재산권법이 추구하는 철학적 기반을 탐구하고자 한다. There must be support and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for inventors, copyright owners and artists to invest in their creation. Without such protection, others will copy or imitate the works without incurring costs and the effort of creating works, leaving the original creator with no return on his investment. The copyleft movement is naturally aligned agains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would prefer that all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e free. This begs the question, “does this feel right?” Consider the following example: Through many years of hard work and with a large financial stake, inventor C developed an improved mousetrap. The mousetrap not only caught mice better than competitors but also neatly packaged the dead mice into disposable bags. Consumers would gladly pay more to buy C’s mousetrap than other competitors’ product. The mousetrap soon caught the eyes of Gizmo Inc. whereafter Gizmo copied it and sold it on the market at a steep discount. Gizmo could make a profit because of its minimal research expense and develop costs. In order to keep afloat inventor C had to lower his prices, resulting in C not able to recover his research and development costs and sustaining losses. Even though C many more ideas, he decided it was not worthwhile due to companies such as Gizmo. The goal of intellectual property is to encourage inventors like C to create works. If there was a legal right prohibiting the copying of C’s invention, C chances of making a profit would be higher, thereby, giving him an incentive to invest mor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C not only would be richer but because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he would also be able to create more improved products to the consuming public. Up until now, examples of many foreign cases have been introduced in Korea. Furthermore, much research has been done in interpreting the law. But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legal, philosophical, and social basis of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The main objective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whether technological or expressive, is the creation of new and improved works. This purpose includes not only patents, copyrights, and trade secrets but also different specific protection systems. Meanwhile, trademarks and unfair competition are totally different in respect to that they focus on economic issues. They protect the integrity of the market. The utilitarian theory has provided for some time an important paradigm for analyzing and justifying different kinds of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But in order to examine the economic perspective of intellectual property, it is imperative to be able to differentiate the two different functions. The two functions are the economic incentive benefit and the cost of limiting diffusion. However, research based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is hard to find from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realm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research the philosophical grounds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 KCI등재후보

        보험사업에서의 블록체인 기술활용, 발전방향성, 그리고 과제

        강준모(Kang, Joon-Mo)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2 법률실무연구 Vol.10 No.2

        블록체인은 보험사업을 변혁할 수 있는 유력한 선진기술 중 하나로 보험사들 사이에 널리 인식되고 있다. 블록체인은 기존 시스템에 비해 데이터 조작이 어렵고 시스템 장애에 강하다는 우위가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현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다양한 플랫폼이 활용 목적에 맞게 사용된다. 국내외 보험회사에서 실용화를 위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국제적 컨소시엄 B3i, AIG의 멀티내셔널 보험, 다수의 관계자들이 참가하는 해상보험 플랫폼 구축 노력 등이 있다. 항공기가 지연될 경우 보험금을 자동으로 지급하는 항공보험 개발도 활발하다. 몇몇 사례들은 제3자가 관리하는 이력 정보를 손해사정이나 주문형 보험에 활용하는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다. 보험분야에서의 블록체인 활용을 위한 착안점은 무엇인가? 현재까지 블록체인 적용(시행) 사례는 다음의 세 가지 경우로 정리할 수 있다. 1. 참가자의 범위: ① 보험회사 내, ② 보험회사 간, ③ 보험회사와 벤더 간(에코시스템), 2. 활용하는 이점: ① 분산형대장, ② 분산형대장과 스마트 컨트랙트, 3. 혁신성: ① non-disrupt, ② disrupt 등이다. 미래에는 P2P 보험, 파라메트릭 보험, 마이크로 인슈어런스로 발전할 여지가 있다. 블록체인은 미성숙한 기술인만큼 기밀성 확보, 대량 거래 및 처리 지연에 대한 대응, 외부 데이터 소스의 신빙성 문제, 스마트 컨트랙트 자체의 미비 등 다양한 과제가 지적되고 있다. 에코시스템형 등에서의 데이터 유출 시 책임 소재나 관할권 문제가 새롭게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보험사업에서의 실용화에는 많은 시간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한다. 향후 기술의 진전에 기대함과 동시에 실현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기술의 도입이 추진되기를 기대한다. Blockchain is widely recognized among insurance companies as one of the powerful advanced technologies that can transform the insurance business. Compared to existing systems, blockchai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ipulate data and is resistant to system failures. It is also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implement smart contracts. A variety of platforms ar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Domestic and foreign insurance companies are reviewing for practical use. For example, there are international consortium B3i, AIGs multinational insurance, and efforts to build a marine insurance platform in which multiple stakeholders participate. The development of aviation insurance that automatically pays insurance in case of flight delay is also active. In some cases, there are cases in which history information managed by a third party is used for damage assessment or on-demand insurance. What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use of blockchain in the insurance field? The blockchain application (implementation) cases so far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cases. 1. Scope of participants: ① Within insurance companies, ② Between insurance companies, ③ Between insurance companies and vendors (ecosystem), 2. Benefits: ① Distributed ledger, ② Distributed ledger and smart contract, 3. Innovation : ① non-disrupt, ② disrupt, etc. In the future, there is room for development into P2P insurance, parametric insurance, and micro insurance. As blockchain is an immature technology, various challenges are being pointed out, such as securing confidentiality, responding to mass transactions and processing delays, problems with the reliability of external data sources, and insufficiency of the smart contract itself. In the case of data leakage in an ecosystem typ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new issue of responsibility or jurisdiction may arise. It is said that a lot of time and investment is required to put it into practical use in the insurance business. We look forward to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n the future, and at the same time expect that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will be actively promoted in areas with high feasibility.

      • KCI등재

        유럽의 지식재산권 집행제도에 관한 연구

        강준모(KANG, Joon Mo)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16 No.2

        최근 10년간 한ㆍ유럽연합 지역간 교역량은 지속적인 증가를 보여 왔으며, 2012년말 현재 한ㆍ유럽연합지역간 교역량은 한·미국간의 무역량을 제치고 한.중간 교역량에 이어 제2위의 교역대상 지역이 되었다. 2005년 8월 우리나라는 칠레, 싱가포르에 이어 세 번째로 유럽자유무역연합(EFTA)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다. 한-EFTA간 FTA는 단일국가가 아닌 지역블록 전체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FTA이자 처음으로 유럽지역의 국가와 체결한 최초의 FTA이다. 이처럼 유럽지역과의 교역이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현대 교역에서 핵심적 사항의 하나인 지식재산권제도와 관련하여 유럽연합의 제도를 파악하고 소개하기 위한 연구는 충분히 진척되어오지 못했다. 이에 따라 유럽에 진출을 계획하거나 수출하고자 하는 국내업체들은 유럽의 지적재산권 현황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습득할 수 없어 실무상 업무처리에 있어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유럽연합 지식재산권법 체제는 다른 지역의 법제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유럽연합 지적재산권 관련 집행제도와 법적분쟁에 관한 사법기구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연구하였다. 유럽연합은 전통적으로 지식재산경쟁력이 강한 지역이다. 이에 따라 지식재산의 보호제도가 국가별로 일찍부터 태동하였고 운영되어 왔다. 1992년에 유럽연합이 발족한 이후로 유럽연합지역 내에 통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식재산권제도를 정립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럽연합 정부는 유럽지역 내에서 단일시장의 창출을 촉진하고 활성화시킨다는 목적 하에 지식재산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각종 제도를 마련ㆍ운영하고 있다. 우리기업들의 유럽연합 지역 교역량은 꾸준히 증가하여 이미 중국에 이어 제2의 교역지역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우리기업들의 교역대상 제품이 과거의 노동집약적 상품에서 부가가치가 높고 기술력이 체화된 제품으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 하에서 유럽지역의 지식재산권 보호제도를 숙지하고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은 우리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이다. 본고는 유럽연합의 각종 법률(조약)과 지침을 토대로 하여 유럽연합 전 지역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식재산권 집행제도와 이로부터 발생하는 분쟁해결을 담당하는 사법제도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유럽연합의 지식재산권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우리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향후 각국별 지식재산권제도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 유럽지역에 대한 포괄적인 자료가 마련되어 갈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패러리걸(Paralegal) 교육을 통한 법학교육 공동화 현상의 치유 및 법률시장 질적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강준모(Kang, Joon-Mo)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東亞法學 Vol.- No.53

        다양한 법조 기구들은 패러리걸에 대한 공식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념들은 각각 크고 작은 차이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패러리걸(paralegal)이라는 용어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자격을 갖춘 법률가들의 법률적인 사무를 돕기 위한 사람으로서 법률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자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사실은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국가들에서도 사실이다. 미국에서 패러리걸들은 법률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직업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그들은 오로지 법률 서비스만을 제공할 뿐이다. 이와 같은 관할권에서 미국과 같은 나라에서는 어떤 특정 지방의 법조 직역 또는 사법권의 범위 내에서 패러리걸들은 승인을 받거나 인가를 받아야 하고, 그러한 한도에서 패러리걸이라는 직업은 법률가의 감독에 따라 업무를 처리해야 될 의무를 부담하고 있다. 패러리걸 현상은 모든 관할권에서 법 경제학적인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들은 정확하게 말하면 법률가는 아니며, 그들의 업무 수행 대가는 보다 더 저렴하다. 전문가가 아니어서 패러리걸이 하는 업무에 주요한 제약 사유는 각 지역마다 법률가들에게 특정한 행위들을 제공하는 그 지역의 규범에 따라서 다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관할권들은 그들 자신이 패러리걸의 규제행위들에 대한 일종의 목록을 보유하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설치 이후 법학교육이 공동화되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학부에 법학과를 설치한 대학들이 패러리걸 교육을 도입함으로써 공동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 현실의 문제를 타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본고에서는 크게 3가지 주제를 논의하는데 제II장에서 법률시장 업무영역에 따른 패러리걸 개념의 구분을 살펴보고, 제III장에서는 경제적 측면에서의 패러리걸 시장을 살펴본다. 제IV장에서는 법학교육 공동화 현상의 치유 방안으로서 패러리걸의 준비와 교육을 역설하고자 한다. The utilization of paralegals improves the efficiency, economy and availability of legal services. As a result, increased emphasis is being placed on the hiring of paralegals in a variety of legal and law-related settings. Although private law firms continue to be the single largest employer of paralegals, good job opportunities also exist in several other markets in both the private and the public sectors. In addition to private law firms, other organizations such as corporate legal departments, insurance companies, estate and trust departments of large banks, hospitals and health care organizations, real estate and title insurance companies, and professional trade associations employ paralegals. Job opportunities in the public sector are available in community legal services programs, consumer organizations, offices of public defenders, prosecutors and attorneys general, city attorneys, a wide array of state and federal government agencies, and the judicial system in U.S. There are many legal tasks for which a bar license is unnecessary but some amount of legal training is preferred. To lower costs, businesses employ paralegals to do such tasks instead of a more expensive lawyer. This allows the lawyer to concentrate on the substantive legal issues of the case which in turn improves the efficiency of legal services. The most common area of practice for paralegals is litigation although paralegal services are utilized in virtually all areas of practice, including corporate, probate, real estate, family law, bankruptcy, and intellectual property. Some common types of paralegal education programs available are: (ⅰ) two-year associate degree programs, (ⅱ) four-year baccalaureate degree programs with a major or minor in paralegal studies, (ⅲ) non-degree certificate programs offered by universities, colleges, businesses, and proprietary schools, and (ⅳ) legal assistant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s an internship as a part of the curriculum. However, there are no specified paralegal program at the college level in Korea. In this article, I researched paralegal study as a sound cure of hollowing out legal education and argued a qualitative promotion of Korean legal market through paralegal training study. I explain the concept of paralegal upon the different jurisdiction and present an advantage of the paralegal services. I suggest the paralegal education will be a requirement of the mature of the Korean legal market. Furthermore, I believe that it will provide a good job opportunity to the undergraduate law students.

      •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의 적용에 관한 법적 논의

        강준모(Joon Mo Kang)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30 No.1

        DRM의 사용은 현재 한창 논쟁이 진행 중인 주제이다. DRM 적용을 찬성하는 자는 저작권 소지자와 같은 사람들로서 그들의 작품의 복제를 불허하고 불법으로 복제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반드시 이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인공적인 기술통합을 유지하거나 안전한 콘텐츠 공급으로 계속적인 수익의 흐름을 확실히 확보하기 위하여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DRM에 반대하는 자유소프트웨어 재단(Free Software Foundation)과 같은 단체들은 제품의 흠결을 밝히지 않고 오히려 디자인 캠페인 등을 실시함으로써 여기에 권리라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이는 소비자의 오인을 유발한다고 하면서 DRM이라는 용어의 사용 대신에 사람들은 “ 디지털 제한 관리” 를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들의 입장은 본질적으로 저작권 소지자 가 기존의 저작권법의 범위를 넘어선 방식으로 그 권리를 사용하는 것을 제한해야 하고 또 이를 법률에 의해서 보호해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논쟁을 제기한다. 이외에도 전자프론티어재단(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및 다른 반대자들은 또한 DRM의 사용은 경쟁정책에 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DRM 무용을 주장하는 자 들은 사용자의 권리는 법 적인 보호를 필요로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DRM의 개념과 논의의 배경을 언급한 다음 문화산업 영역별로 DRM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설명하였다. 또 본고에서는 DRM의 적용결과 어떤 문제점이 등장하는지 논의하였다. DRM은 1996년 세계지적재산권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의 저작권 조약(Copyright Treaty)의 이행에 의하여 국제적인 법적 지지를 받게 되었다. 즉, 위 조약 제11조는 조약에 가입한 당사국들은 DRM을 우회하는 침해에 대하여 이를 방지할 법을 제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세계지적재산권기구의 저작권 조약은 이 기구에 가입한 희원 국가에서 이 행이 되고 있다. 미국의 있어서의 이행은 디지털천년저작권법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이다. 이와 같은 조치는 미합중국 내의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서 논쟁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유럽에서는 이 조약이“ 저작권에 관한 20이년 유럽연합 지침” 에 의하여 이행되기 시작하였고이 조치에 따라 유럽 연합의 영내의 모든 회원국들은 기술적 방지 조치로 서 법률적 보호를 이행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2006년 프랑스 의회의 하원(lower house)은 논쟁이 한창 진행 중인 “ 정보화 사희 에서 저작자의 권리 및 다른 권리에 관한 법(Droit d’Auteur et les Droits Voisins dans la Societe de l’lnformation) “ 의 일부분으로서 그와 같은 입법을 채택하면서 DRM 기술의 보호는 상호간에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고 추가하였다. 우리 나라도 2000년 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 , 20이년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법,2002년 저작권법에ᅵ 차례로 DRM 관련 조항이 도입되었다. 본고에서는 DRM에 관한 법적 논쟁과 규율을 검토함과 아울러 국제적인 관점에서의 논쟁도 소개하였다.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is a highly controversial topic these days. The people who support DRM are copyright holders and they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fight copyright infringement. Also, they argue that DRM maintains artificial control or secures a continued revenue stream through a supply of safe content. On the other hand, opponents argue that the word “rights” is misleading people and suggest they use the phrase “digital restriction management.” Their position is essentially that because copyright holders overreached beyond the scope of existing copyright laws, the right to use should be restricted and should not be protected by any laws. The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and other opponents believe the use of DRM is anti-competitive. This article first introduces the concept of the DRM and the background of its controversy and then explains how the DRM applies to the entertainment industry. Furthermore, the article examines the results and difficulties created by application of the DRM. DRM received international legal support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1996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Copyright Treaty (WIPO Copyright Treaty). Article 11 of the aforementioned treaty urges member states to create laws to prevent DRM circumvention. Currently, the WIPO Copyright Treaty has been implemented by its member states. The American implementation of the treaty is the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The implementation of DRM in the U.S. has sparked controversy in a vast array of fields. The European Union implementation is the “European Union Copyright Directive (2001),” which requires member states to create laws to protect technological prevention measures. In 2006,the French Lower House adopted the controversial legislation “Droit d’ Auteur et les Droits Voisins dans la Societe de r Information,” which added that DRM technological protection should be mutually operable. Korea introduced DRM related provisions in the “Computer Programs Protection Act” in 2000,the “Online Digital Content Industry Development Act” in 2001,and the “Copyright Act” in 2002. This article examines the legal arguments surrounding the DRM and also introduces the controversy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 KCI등재

        이른바 ‘짝퉁’ 제품에 대한 지적재산권법의 대응

        강준모(Kang, Joon Mo)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50 No.-

        모조품은 외양만 그럴듯할 뿐 품질 등이 조잡하여 결국 소비자에게 재산적, 심리적 피해를 주게 된다. 모조품의 범람, 특히 외국의 유명한 상표(명품 브랜드)를 도용한 상품들이 비교적 싼값에 시중에 유통되게 됨으로써 외제선호 경향이 일부 명품브랜드 선호 계층뿐만 아니라 선량한 대다수 시민에 이르기까지 우리 사회 전반에 우려될 정도로 광범위하게 만연되어 있어 왜곡된 소비풍조를 조장하고 있다. 모조품이 성행하게 되면 기업의 고유상표ㆍ상품의 개발의욕이 위축되어 결국 국내 산업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모조품 유통은 제품의 품질경쟁 노력을 저하시켜 우리나라 상품의 국제경쟁력 제고에 악영향을 미친다. 우리 기업들은 감독당국과의 긴밀한 협력체제를 확립하여 위조되지 않는 제품을 개발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모조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모조품이나 저작권침해는 경제적인 피해에 머무르지 않고, brand image의 실추나 제조물책임 위험 등 헤아릴 수 없는 영향을 기업에 가져오는 것이 인지되어 그 대책에 주목이 집중되고 있다. 본고는 유럽연합 특히 영국에서의 모조품대책에 대하여 지적재산권법의 규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정리한 것이다. 본고는 영국을 예로 하여 유럽연합의 모조품대책의 상세한 정책을 설명하였다. 모조품이 저가로 순정품매출시장을 잠식하여(Price Market Attack) 순정품 매출에 손실을 가져오고모조품의 품질보증 기능상실로 소비자의 불신 및 순정품 상표권자의 신용추락을 초래하게 된다. 유럽연합은 모조품 및 해적판 제품을 상품의 유통질서 교란을 넘어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고 산업발전 및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는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조품 및 해적물품의 근절을 위해 국제협약을 기본으로 유럽연합차원에서 지적재산권 보호를 강화하는 법적 틀을 마련하고자 각 회원국별 관련법의 조화를 추진하고 있다. Although counterfeit goods look real at first glance, due to their bad quality they will eventually cause property and psychological damage to the consumer. The overflow of counterfeit goods, especially goods using stolen trademarks from well-known foreign brands that are distributed in the market at a relative modest price, is causing widespread national concern ranging from the luxury-good preferring class to the average Joe majority and distorting the consumer environment. If counterfeit goods become prevalent, there will be a shrinkage of genuine corporate trademarks and the desire for product development resulting in the hinderance of domestic industrial development. Furthermore, the distribution of counterfeit goods degrades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affects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domestic products. Domestic companies should work side by side with regulators to develop products that are not fake and establish a more proactive anti-counterfeiting policy. The need for an anti-counterfeit policy cannot be overstated. Counterfeit goods and copyright infringement cause not only economic damage but also dilute the brand image and create dangerous products. The article examines the detailed policy of the European Union’s anti-counterfeiting plan, specifically taking a close look at the United Kingdom. Counterfeit goods erode the genuine market and loss of sales by price market attack. Also, absent any quality control for counterfeit goods, these knock-offs will lead to the consumer’s distrust and the genuine owner’s credit crash. The European Union has recognized that counterfeit goods are a threat to the health and safety of its citizens and inhibit industrial development and job creation. As a result, establishing a legal framework at the European Union level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o promote the harmonization of each member nation’s relevant laws is necessary to eradicate counterfeit and pirated g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