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산간지역 주민의 의식구조적 특성 -홍천군 산간지역 설화를 중심으로

        강명혜 ( Myeong Hye Kang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2

        본고는 홍천 산간 지역의 설화를 사회, 역사, 지배적 이념 등의 사회문화적 토대 하에서 천착해서 그 안에 내재한 산간 지역민의 사회, 역사, 의식, 무의식 구조 등을 추출하고자 했다. 우선 내촌에서 채록되고 있는 일련의 설화는 우리나라 광포설화이면서 각각 독립된 이야기로 전하는 <부자 망한 이야기>와 <아기장수>설화가 서로 연계되어 구성되어 있다는 특징을 보였는데 이는 결국 내촌, 두촌 지역이 이전에는 아주 흥청거리다가 망하게 된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이곳은 이전에는 광산(철광, 금광)이 있던 곳으로 이전에는 상당히 번성했던 곳이기 때문이다. 설화는 역사나 철학적 사유의 또 다른 언술방식으로서 전씨 부자가 망하게 된 것은 이렇듯이 흥성했다가 쇠망하게 된 이 지역의 경제적 실상이나 심적 아쉬움, 회한 등의 복합적 감정이 문학적 장치 속에서 재탄생된 것으로 보았다. 결국 흥행과 쇠락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전씨부자 망하는 이야기 담의 문법구조인 것이다. 아기장수는 일제강점기의 좌절된 영웅이야기로 보았으며 이곳이 일제강점기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고 확산되었던 역사를 상기해서 민초들의 아픈 역사들이 날줄 씨줄로 직조되면서 아기장수 설화로 재탄생되었을 것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내면에서는 권대감설화가 지배적이었는데, 권대감 설화의 특징은 설화와 신앙이 함께 접목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권대감이 신이성을 획득하게 되는 징표나 이곳에 자리 잡을 수밖에 없었던 개연성, 주민들의 이런 저런 갈등을 해소시켜 주었던 상징성 등이 반영되면서 이념의 날씨 씨줄로 직조된 것이 바로 권대감 설화이며, 권대감은 이곳 사람들을 품위 있게 결속시키는 구시점적 역할과 기능을 했었기에 내면에서는 권대감 신앙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었을 것이고 아직도 진행된다고 보았다. 결론적으로 권대감 신앙을 내면 주민의 오랜 자존심이며 결속 대상물이라는 원형성을 함유한다. This paper was trying to extract the society, history, consciousness, subconscious structure of the mountain villagers throughout folklore by studying them about Hongcheon-gun mountainous territory under sociocultural foundation, such as society, history, the dominant ideology, and so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eries of tales being recorded in Naechon is Kang-po tales of our country, and they showed that folk tales, <The story of the downfall of the rich>(the story like the folk tale of Jang-ja pond) and <the baby hero>, were composed of and related to one another. These finally reflect the historical fact that in the past, these regions of Naechon and DuChon were well off, but is badly off now. If folk tales are another way for descriptive language about history and philosophical views, the downfall of the rich Jeon family is what reflected the real history of these areas. It seemed that mixed emotions were born again in literary devices, such as the real state of these regions being well off, but badly off, or a sense of futility, and remorse, and so on. It seemed that the baby hero is a frustrated hero story of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se places reminded us of the history that the independence movement rose and spread in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t concluded that the sad history of Korea was born again as a folk tale of the baby hero, weaving it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 Ne-myeon, a folk tale of His Excellency Kwen was promin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k talk of His Excellency Kwen was combined with folk tales and myths a folk tale of His Excellency Kwen was presumed to be reflected as a certain prop and the pride or a sense of wonder to people in Ne-myeon owing to the power of influence of His Excellency Kwen , who is of royal blood and the most literate stratum. It is the very folk tale of His Excellency Kwen to be weaved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ideas, reflecting the sign that Kwen acquired noble and extraordinary, and the probability that he cannot help residing in this area, and the symbolism having resolved a variety of conflicts of residents and so on. His Excellency Kwen played the pivotal role and took the function as connecting nobly one another. In Ne-myeon, His Excellency Kwen Faith can withstand long and seemed to have continued. To sum up, It included the Archetype, which the His Excellency Kwen Faith is old pride of residents and the objection of community solidarity. Accordingly, I could found the real state, history, subconscious thought of the mountain villagers throughout folk tales of Hongcheon-gun mountainous territory, and folk tales were weaved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such as the history of the region, ideals, consciousness and the subconscious structure, because of what made from literary attainments.

      • KCI등재
      • KCI등재

        강원도 오음산 산신제의 현 실황 및 향유자 의식에 따른 집단무의식 - 월운리를 중심으로 -

        강명혜 ( Kang Myeong-hye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1

        강원도 오음산(五音山) 산신제는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조사, 채록, 연구한 바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고는 오음산 산신제의에 대해 조사, 채록해서 기록으로 남겨두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또한 여기에 내재되고 있는 향유자들의 입장이나 집단무의식, 의미 등도 조사해서 그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했다. 오음산은 930m의 산으로 횡성, 홍천에 걸쳐서 있으며, 홍천 쪽 마을은 월운리이다. 월운리는 진평마을(월운리 1, 2, 3, 4반)과 공주터 마을(월운리 5, 6리)로 나뉘는데, 산신제는 따로 지낸다. 그 이유는 오음산에서 내려온 산줄기를 기준으로 마을이 갈리기 때문이다. 이 두 마을 제의는, ① 오음산 여산신에 대한 제의라는 점, ② 제물로 황소를 올린다는 점, ③ 예전에는 황소를 통 마리로 올렸지만 현재는 황소머리만 올린다는 점, ④ 여산신이라 술 대신 감주를 사용하며, ⑤ 간단한 주과포와 떡(공주터 제물수가 조금 더 많음)을 올린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공주터 제물수가 조금 더 많다는 점, 진평마을에서는 떡을 올린다는 점, 제의 시간이 차이난다는 점 등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또한 ‘오음’이라는 의미는 다양하게 채록되었지만, ‘신성하고 영험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공통점은 동일했다. 오음산 여신이 지니는 인식이나 그 태도를 분석한 결과, 오음산 여산신에 대한 향유자들의 의미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졌다. 첫째는 여산신이 지니는 긍정적인 측면이고, 둘째는 부정적인 측면이었다. 여산신이라서 동물을 감춰주며, 산삼도 많이 내주고, 영험하며, 위험한 일이 있을 때는 우는 것으로 표시를 해 주고, 마을을 평화롭게 지켜주며, 너그럽고, 물이 흔하며, 치성을 드리면 비를 내려준다는 의식은 긍정적 징표이다. 거기에 비해서 부정적인 향유의식으로는 오음산 신은 여신이라 욕심이 많아 움켜쥐면 내주지 않아서 산나물을 채취하거나 산짐승을 잡을 수 없다는 것과 여자라서 질투심이 많아 여자들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 인간도 남자들만 원한다는 점, 그리고 여신이라서 파야지만 물을 내준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점을 규명해 보면 긍정적인 측면은 고대로부터 전해지는 지모신에 대한 편린이 집단무의식화되어 전해진 것이고, 부정적인 측면은 조선조 ‘남존여비’ 사상이 집단무의식화된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결론내릴 수 있다. 지모신격의 여산신은 중도에 젠더로서의 여성성이 파괴되면서 신성성의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본다. 이렇듯이 오음산 여산신에 대한 주민들의 향유의식은 상반된 양가적 의식이 날줄씨줄로 엮이면서 공존하고 있다. 이 논문은 점차 사라져가는 산신제를 채록해서 소개하고 기록하려는 목적이 우선이므로 본고에서는 향유자적 의식 부분을 소략하게 다룬 면이 없지 않다. 이 부분은 후고에서 보다 세밀히 천착해서 다루고자 한다. Although a ritual for mountain spirit of Oeumsan Mountain in Gangwon province has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there have been little research or recording in a book about it. Therefore, this paper aimed to keep a record of research on a ritual for mountain spirit of Oeumsan Mountain and explain the stance of enjoying persons,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its meaning. Oeumsan Mountain is 930 meters long, stretching over Hoengsung and Hongcheon and the village near Hongcheon is Wolunri. Wolunri is divided into Jinpyeong Village (Wolun-ri 1, 2, 3, and 4 ban) and Gongjuteo Village (Wolun-ri 5, 6 ri) where a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has been carried out separately. The reason is that the village is divided based on mountain range. Similarities of the ritual at the two villages are: ① it is for the goddess of Mount Oeum, ② it is offered by bull as a sacrifice, ③ in the past, entire bull was put up. However, now only the head of a bull is offered, ④ it is offered with Gamju, a sweet drink instead of wine for goddess, ⑤ simple Jugwapo and rice cakes are served. Also, there are small differences in the ritual between the two villages. Gongjuteo has a slightly larger number of offerings while Jinpyeong Villager raises rice cakes. The time of the ritual is also different between the two This study also found that, although the meaning of 'Oeum' was recorded in various ways, similarities of 'meaning of the sacred and spiritual’ were identical. An analysis of enjoying persons’ perceptions and attitudes about the goddess of Oeum mountain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is the positive aspect of mountain goddess and the second is the negative aspect. In other words, the positive aspect that reflects the archtype of mother goddess and female degradation (sexual aspect) formed from the Confucian point of view coexist. The sacred side of being a goddess that protects the game and informs of the occurrence of hardship is a positive aspect. However, the ritual for goddess who has to dig the earth in order to gain water is negative. It is said that you need to make Bo, a reservoir for irrigation, to get water from remote area. That means you have to dig in the ground because it is occupied by a woman god. Also, there is consciousness that goddess does not like women because she is a femal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ositive aspect is from fragment of Geomosin that mother goddess is carried out by collective unconsciousness from ancient while the negative aspect is that the idea of the Joseon Dynasty of Namjonnyeobi that treating woman as inferior to me, has been carried out by collective unconsciousness.

      • KCI등재
      • KCI등재

        문화 : 문화적 프리즘을 통해서 살핀 한강의 정체성 연구

        강명혜 ( Myeong Hye Kang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40

        한강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쳐서 흐르는 강으로서 상류의 민속, 문화, 전통, 삶 등도 함께 흐른다. 이를 문화적 프리즘을 통해서 천착했다. 우선, 북한강 시원지인 금강산의 설화 중, 바로 아래 화천으로 이어지는 설화는 대략 용설화와 나무꾼과 선녀설화다. 이들 설화는 금강산, 화천, 그리고 춘천, 강촌, 가평 및 청평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용설화나, 문학작품에서의 용은 남성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거나, 남자아이(龍子)로 나타난다. 또한 유속도 빠르고 유량도 풍부해서 댐 건설에는 용이하지만 농토 조성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북한강은 남성적인 아니무스적 특성을 함유한다. 반면, 남한강은 산세가 완만하고 평야가 발달해서 논농사가 발달했고 비옥하다. 이러한 점이 설화나 민속, 문학, 그림에도 잘 반영되고 있다. 아니마적 특징을 함유하는 것이다. 북한강이 용설화로 시작해서 龍變成魚, 魚變成龍의 양태를 보이며 한강으로 흐르는 반면, 남한강은 북한강과 동일한 용설화로 시작하지만 중하류로 갈수록 여신설화나 이미지(풍요의 표상)로 대체되고 있다. 한강의 설화나 민속, 작품 등을 보면 시원지와 거리가 있느니만큼 북한강과 남한강이 지니는 특성이 그대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한강 물에 용왕이 살고 있다는 인식은 지배적이고, 마고할미 편린이 남아있으며, 또한 잉어를 龍子를 보는 시각도 남아 있다. 북한강 유역에서 행해지던 ‘어부식’도 행해졌다. 특히 한강유역의 용화사는 예전에 뱃사공들이 이용했던 절로서 이는 용(전통신앙)과 불교(외래종교)의 결합을 상징한다. 한강의 始原地 설화인 금강산 유점사 설화와 연맥되기 때문이다. 이렇듯이 한강은 시원지의 전통, 문화, 역사, 삶 등이 융합되어 어우러지는 곳으로서 암물(남한강)과 숫물(북한강)의 상징성을 함유하고 있는 완성된 강이다. 복된 공간인 것이다. The geopolitically, ecologically and economically important Han River is a huge one which is formed at Dumulmeori by joining the Bukhan River rising in the Kuemgang River at Mt. Kuemgang and the Namhan River rising in Teobaek Geomloungso. The waterway from each source goes downstream, but not only does the water go downstream. But also does the water carry the culture of upper region of the river. There are some continuity and variations with things to hand down orally, folklores, and cultures along the river. Keeping this in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the Han River, extracting from folklore and culture of upper regions of river, the Bukhan River and the Namhan River. As a result, there are dragon tale and the woodcutter and fairy tale among the tales of narrative which are connected Mt. Keumgang, the origin of Bukhan River, similar to the tales of Hwacheon, immediately below the mountain. These tales are stretched out from Mt. Keumgang to Hwacheon, Chuncheon, Gangchun, Gapyeong, and Chungpyeong. Especally, the dragon has masculine characteristics(dragon of Keomloungso, dragon of Hwacheon and Chuncheon), or young boy(dragonet) is strongly reflected with masculine imagery. There is no rice farming because the flow of water is speedy, wild. Stream flow is so abundant that it is usseful to construct the dam, but not to construct the farmland. From every aspect, the Bukhan River could be expected that it reflects masculine, that is, animus characteristics strongly. Comparded with that, the Namhan River(specially midstream and downstream areas) has fertile land with gentle shape of mountains, development of field, and development of rice farming that is reflected in folk story and folklore. The the subject of fertility, goddess tale (Mago Grandma tale) takes a central place in the Namhan River area. And also the flow of river runs gently and silently. In this respect, the Namhan River reflects the feminine, that is, Amina characteristics. The Bukhan River flowing to the Han River shows the form which is from dragon tale to tales of dragon changing fish and fish changing dragon. On the other hand, the Namhan River is replaced by goddess tale (the symbol of fertility) flowing to midstream and downstream despite starting from dragon tale. Like this, a folk tale is another narrative method of history involving aspects of social, economy, and culture at the area of origin. After all, the Han River joins the masculine, that is, animus Bukhan River and the feminine, that is, Amina Namhan River. It is complete river which is compounded of male water and female water. The folk tale and folklore of the Han River are not directly refl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khan River and Namhan River due to a long distance of origin of the river. But there are predominant views that the dragon king has lived in the Han River, there is a fragment of tale of Mago Grandma, and a carp is a dragonet. A part of Fisherman`s Ceremony which is performed for the dragon in the water at the region of Bukhan River has been maintained in the Han River. Especially Yongwha Temple in the region of the Han River was used by sailors, which is a symbol of merging of dragon(traditional belief) and Buddhism(foreign religion). In this respect, it is connected with falk tales of Keumgang Temple and Youjeom Temple, the tales of Han River`s origin. At the time of foundation of Youjeom Temple, a dragon expelled did not perish forever and permeated and combined Buddhism eventually embedding in Yongwha Temple on the lower Han River. Like this, the Han River runs merging the male stream (Bukhan River) and female stream (Namhan River) which fuse tradition, culture, history, life to get together with oneness that is our country`s symbolic and ecogeographic lifeline. Also the Han River is a blessed space having benefits of the Bukhan River and the Namhan River both.

      • KCI등재

        문학 : 허난설헌 유선시(遊仙詩)의 색채 미학적 특성 -중국 및 조선조 여타 유선시와의 색채 미학적 특성 비교를 중심으로-

        강명혜 ( Myeong Hye Kang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6

        본고는 허난설헌 작품에 나타나는 색채 미학적 특성에 대해 좀 더 천착해 보고, 허난설헌 작품의 색채 미학적 특성이 중국과 조선조 다른 작가들의 유선시 작품에도 공분모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유선시의 공통적 특성인지, 아니면 허난설헌만의 독자적인 특성인지를 밝혀보고자 했다. 헌난설헌의 색채적 특성을 살핀 결과 허난설헌은 의식적이건 무의식 적이건 색채에 깊이 경도되고 끌리고 있었다. 또한 색채로는 푸른색과 노랑색을 주로 많이 사용했는데 푸른색은 다중적인 의미를 지니는 색상이며, 노랑색은 양가적인 의미를 지닌 색상으로서, 이 두 색상은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부정적인 측면을 반향한다. 따라서 선계의 화려하고 긍정적이고 상서스러운 내용이나 이미지를 반향하는 색채가 실은 부정적인 측면도 아우르는 양가적인 색채라는 것, 그리고 이러한 색채를 주로 많이 사용했다는 점을 통해서 그녀는 화려함이라는 긍정적인 의식속에 실은 좌절이라는 부정적인 측면을 아우르고 있었음을 추정할 수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시어 사용에서도 드러났다. 즉 텍스트에 등장하는 시어가 이상적, 긍정적, 아름다움, 상서스러움,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지니는 어휘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사실은 허무하다, 찰라적이라는 의미의 어휘가 말미에 함께 등장함으로써 결국은 부정적인 측면으로 귀결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작가의 심리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즉 한 텍스트에 상반된 의미의 시어 사용이나 상반된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는 색채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 부합되고 있었고 이러한 점을 허난설헌 작품의 미학적 특성 중 하나로 볼 수 있었다. 중국 유선시 작가에는 曹操, 曺植, 院籍, 陸機, 張華, 郭璞, 혜康, 수閱 등이 있었는데, 이들 작품들은 색채가 찬란히 드러나거나 특별한 색상이 두드러진 작품들은 거의 없었다. 혹 색채어가 가끔 등장하지만 빈도수도 미미하고 작품의 내용과 밀접한 관계도 없었다. 따라서 색채미학적 측면으로 보았을 때 중국의 유선시는 허난설헌의 작품에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라고 결론내릴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유선시를 남긴인물에는 이수광, 허균, 조식, 김시습, 김정희, 이언진, 장경세, 김만중등인데, 집중적으로 16-17세기에 나타난다. 이들 역시 색채 미학적 측면으로 보았을 때 주목할 만한 성과가 없었다. 단지 장경세 작품은 허난 설헌 작품과 흡사했지만 장경세는 허난설헌의 유선시를 차용했기에 그역시 색채 미학적 측면으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없었다. 이런 모든 점에서 허난설헌은 유선시 작가 중에서 전무후무한 색채 미학의 대가라고 평할 수 있었다. Heo Nanseolheon’s works remarkably have diverse colors. Especially blue and yellow are usually used in her poem. The blue color has multiple meanings and the yellow color has ambivalent meanings. These kinds of the characteristics have been showed through the her works. There is poetic diction consisting of image of ideal, positive, beautiful, auspicious and luxurious images. But after researching into her poems more carefully, the poems are negative or futile. This concludes in poet’s antithetical emotion by arranging the poetic language with momentary meaning, reflecting through the just selected colors in the poems. So aesthetic effect is maximized by according with meaning of use of col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on whether Heo Nanseolheon was a master of color and whether this characteristic of Yousun Poems is common element and unique feature of Heo Nanseolheon. Furthermore, this paper is developed into more study on Heo Nanseolheon’s color characteristics profoundly. Above all, there are Yousun Poems written by poets in China such as Caocao, Caosik, Wonja, Yukgi, Jangwha, Kwakbak, Heogang, and Suyeol. Their works have no splendidly colored expression or specially attractive colors. Even though the color languages appeared occasionally, the frequency of the word is imperceptible and the color is not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s of works. Thus from the aspect of color aesthetics, the Yousun Poems in China did not influence Heo Nanseolheon’s poems. We have Lee Sugwang, Heo Gyun, Jo Sik, Kim Siseup, Kim Jeonghee, Lee Eonjin, Jang KyungSe, and Kim Manjung who wrote the Foyful hermit poems intensively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Their works did not achieve some noteworthy result from a color aesthetic point of view. Only Jang KyungSe’s works are similar to Nanseolheon’s poems. But Jang KyungSe borrowed the poems by her, so his poems did not give significant meaning in a color aesthetic perspective. In all aspects, Nanseolheon is well appreciated a unparalleled master of color aesthetics.

      • KCI등재후보

        제주도 신화 속 꽃의 의미 및 상징성

        강명혜 ( Myeong-hye Kang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8

        우리나라 제주도 신화에는 상당히 주요한 모티프인 꽃, 그것도 신화 텍스트를 이끄는 의미심장한 주요소로서 꽃이나 꽃과 관련된 내용이 상당량등장하고 있었다. 본 논의는 오직 제주도 신화 텍스트만을 대상으로 해서 그 안에 내재한 ‘꽃’과 ‘꽃밭’의 의미나 기능, 상징성 등을 규명해 보고자했다. 그 결과 꽃과 꽃밭은 1) 능력 증명의 징표 2) 재생, 환생 상징 3) 멸망시키거나 죽이는 기능 4) 인간 생명을 상징 5) 관상의 의미 6) 생체 치유의 기능 등으로 표출되고 있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을 꽃에다 비유한 것은 제주도는 사시사철 따뜻한 편이라 꽃이 지천이기 때문일 것이다. 선조들은 꽃은 봉우리가 맺고 피고 지고 다시 피고, 또 겨울이 되어 보이지 않다가도 봄에는 다시 재생하는 것이 인간이 태어나고 살다가 죽으면서 지속적으로 되풀이 되는 것과 닮아있다고 인식했었다고 상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신화에서 꽃과 꽃밭은 인간 생애의 모든 것이 녹아있다. 즉 태어나고, 성장하고, 여러 가지 일을 겪으며 살다가 죽고, 다음 세대도 그렇게 이어지는 ‘인간 존속 법칙이 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유를 통해 꽃의 일생과 닮았다고 인지했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꽃은 바람이 불면 웃는 듯도 하고, 싸우는 듯도 하며, 꺾기기도 하고, 다시 살기도 하는 형상도 마치 인간의 그것과 흡사하다고 보았을 것이다. 이렇듯이 꽃과 꽃밭에는 인간 삶의 다양한 측면이 형상화되어 있으며 통과의례적 측면도 아키타입화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제주 신화 속 꽃과 꽃밭은 여러 가지의 원관념을 지닌 보조관념으로서 인간 삶의 다양한 측면을 형상적이고, 구체적이며, 가시적으로 직조시킨 응집물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이는 꽃이 별로 없는 북방의 신화에는 나무 여신이 등장하는 것에 대한 해답이기도 하다. There are lots of flowers and flower-related contents as a major motif and significantly meaningful elements leading to text of myth in the mythology of Jeju Island, Korea. This paper is aimed at identifying the innate meanings, functions, and symbolism of ‘flower’ and ‘flower garden’ targeting on the text of Jeju Island’s mythology only. As a result, the flowers and flower gardens are 1) a sign of capability proof 2) the symbol of rebirth and reincarnation 3) the functions of destroying and killing 4) the symbol of human life 5) the meaning of enjoying the flowers 6) the function of healing of body All these things are compared to flowers due to the warm weather all the year round and a number of flowers in Jeju Island. It could postulate the ancestors thought that the flowers bud, blossom, and fall again and again, disappearing in Winter and reappearing in Spring like human’s continuous resurrection, birth, living, and dying. Therefore the flowers and flower gardens in myth of Jeju Island are ingrained into human life. That is, rule of human existence underlies the fact that a human is born, grows, goes though many things, dies and continues to the next generation. So it is thought that human life is similar to flowers’ life. Also when it is windy, flowers’ features seem like smiling, fighting, bending and living again that is like human beings’ feature. Thus flowers and flower gardens are imaged in the different aspects of human life and are regarded as the archetype in aspect of a rite of passage. In conclusion, it is finalized flowers and flower gardens in Jeju Island’s mythology as subsidiary concept containing a variety of main concepts is figurative, concrete and visible weaving condensed materials in a variety of different ways. It is also a solution to appearance of goddess of tree where there are few flowers in the myth of the north province.

      • KCI등재

        논문 : 허난설헌, 윤희순의 현실 대응 방식 및 스토리텔링

        강명혜 ( Myeong Hye Kang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0

        본고는 조선조라는 시대적 배경 하에서의 여성, 즉 소외되고 방외자적 인물이며 특히 지역적으로 낙후한 지역(강원도) 여성이라서 더욱 곤고한 삶을 살았던 여성 중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고 추정되는 허난설헌과 윤희순을 대비하면서 그들이 처한 세계와 자아와의 갈등적 요소,그녀들의 저항적 세계관, 자아와 세계의 대응방식, 글쓰기 양상 등을 살펴보고, 부록으로 스토리텔링까지 간략하게 작성, 제시하고자 했다.난설헌과 윤희순은 우리나라에서 선각자적 위치에 점할 수 있는 몇되지 않는 훌륭한 여성의 전범이다. 이들은 조선조라는 시대적 상황 하에서의 여성이 당면한 어려움을 각자의 방식대로 대처, 비판, 저항했던 여성들이기 때문이다. 비록 두 인물은 현실에서 곤고하고 연속적인 고난의 시간을 겪었으며 인생 말로도 행복했다고는 할 수 없지만 모든 것을 작품을 통해서 형상화하고 표출하는 등 치열하면서도 능동적인 삶을 살았다는 점에서 현대인, 현대 여성의 전범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사실 그녀들이 겪었던 현실적 곤고함은 그들 개인의 탓이라고는 할 수 없다. 사회, 시대, 역사, 이념의 멍에며 굴레의 결과였을 뿐이다. 그녀들의 글쓰기 행위나 목소리는 비록 당장은 메아리 없는 울림에 불가할지라도그녀들의 확고한 의지를 반영한다. 그녀들이 그렇게 한 이유는 누구에게 보이거나 누구를 의식했기 때문이 아니다. 자아의 의지가 확고했고 이념 및 추구하는 바가 굳건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이들의 가치 및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허난설헌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라는 상황 속에서 ``인간``으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시집 및 당대 사회와 갈등을 일으키면서 힘든 상황을, 윤희순은 조국을 유린하려는 일본과의 대결양상으로 인한 고난과 고통 등의 힘든 상황을 겪게 된다. 그러나 그녀들이 이러한 갈등적 세계에 대처, 대항하는 방식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난설헌은 철저하게 ``현실을 초월``하는 방식을, 윤희순은 ``현실을 타파``, 즉 직접 대응하면서 극복하는 방식을 택한다. 이는 개인의 취향이나 특성에 따른 선택이기도 하고 당대의 시대적 상황과 주변 환경 및 배경이나 분위기 등에서 기인된 것이 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그녀들의 삶에도 영향을 끼친다. 세계를 초탈하려고 했던 허난설헌은 결국 삶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그녀가 남긴 모든 작품을 불태우고 요절하지만, 세계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며 항거했던 윤희순은 파란만장한 삶을 이어가며 장수했기 때문이다.그러나 비극적 정조 및 비애감을 지닌 채 한 많은 삶을 마감한다는 점에서 두 여성은 동일하다. 또한 글쓰기 장르도 허난설헌은 ``한시``를, 윤희순은 ``한글 시가``를 선택하고 있어서 그녀들이 취한 대응방식과 태도와도 연맥된다고 할 수 있다. 현실세계가 아닌 이상적이고 초월적인 仙界를 지향하는 사고와 글쓰기에는 ``한시``가 더 적합했을 것이고, 현실세계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면서 주위를 집중시키기 위해서는 ``한글 시가``가 더 적합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선택 장르는 달랐지만 ``글쓰기``를 통해서 자신을 표출시키려고 했던, 즉 자아와 세계와의 대결 양상을 글로 표현했다는 점은 두 여성의 공통적 요소이다. 이러한 선조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우리나라 여성들은 충분히 자긍심을 가질 만하다. 문제는 관심과 사랑을 토대로 해서 이들에 대한 연구를 천착, 확장하고, 이를 널리 선양하는 과제만 남아있다. 부록으로 선양의 일 방안으로 사실적 근거를 토대로 한 스토리텔링 뼈대를 작성해 본다. 역사적 사실은 무시한 채 허구가 난무하는 현재의 콘텐츠 제작에 하나의 모델이 되기를 희망하는 소박한 의도에서이다. 원 소스로서 다양하게 개발, 확장되기를 기대한다(One Source Multi Use). In this article, it has been examined a defiant view of the world, a corresponding way between themselves and the world which they had confronted with, a writing style and storytelling techniques regarding Heo Nanseolheon(Heo) and Yoon Heesoon(Yoon) who have lots of in common especially for those women born or lived in Kangwon province. Heo and Yoon are indeed excellent example of females which are only a few existed in the Joseon Dynasty. The reason is that they had well expressed hardship which they had undergone and also expressed the defiance, criticism and resistance in their own way. Their end was not a happy-ending story but it was not a personal fault. The result was caused by the social conditions, a certain time, a history, ideological yokes and restriction. Although the reality which they had confronted was hard, they raised their own voices towards the world. Though there is no direct echo for their voices, their determined will was expressed to the public. The reason which they had shown up their opinions was neither to be conscious of others nor to be shown who they were. The reason was to show their will, the ideology and the belief were firmed. Moreover, they had sublimated the conflicts suffered from to the world in ``writing``. Living in reality was difficult for both Heo and Yoon as confronted between their ego and the world where they lived. Likewise, Heo had a conflict with her family and did not achieve recognition in the ideological situation and Yoon personally suffered from poverty and hardship because of confrontation with Japan which infringed on her country. However, a way to counteract with their world was different each other. For Heo, she chose to transcend the reality but Yoon chose to overthrow the reality. That is Yoon chose to directly correspond the reality. This reason is also not for their individual taste but for the circumstances of the era and the atmosphere surrounded. Women who live in Kangwon province deserve to have a full of pride for having those kind of ancestors. The only remained assignment is to search the study more broadly based on our love and interest towards them and is to promulgate the study. To implement the assignment suggested above, a framework for Heo and Yoon is prepared. Based on the framework, it is expected to be developed and expanded as using by Once Source Multi Use.

      • KCI등재

        문학 : 허난설헌 작품의 미학적 특성

        강명혜 ( Myeong Hye Kang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3

        본고의 목적은 허난설헌의 작품 텍스트 형식 중 문체 및 시적 의장, 색채미학적 측면을 천착하는 것으로서 허난설헌의 욕망이나 원의는 어떤 문체나 수사를 통해 전달되고 있으며 그녀의 무의식적 세계는 어떤 빛깔을 선택하는가 등의 해석적 지평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보았다.난설헌은 일반적인 한시나 서정시와는 상당히 변별되는 언술방식을 보이고 있었다. 즉 시적 화자의 어투가 서정시 양식인 고백체에서 이탈해서 서사적 진술방식이나 어투를 많이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고백체도 보였는데, 고백체는 자아와 세계의 대결을 보이는 경우로서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는 방식인데 주로 연정이나 애정과 관련된 내용의 작품에서 채택되고 있었다. 그러나 작품의 4분의 3 정도는 서사체를 지향하고 있었으며, 그 중 일부는 픽션적(허구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허구를 지향하는 서사체는 주지하다시피 근대의 양식이다. 환몽적이고도 허구적인 서사체를 그 당시 채택했다는 것은 허난설헌은 의식적이건 무의식적 이건 선각자적인, 즉 현대적인 인식지평을 지녔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는 또한 당대의 지배적 이념에 저항하려했던 시도와도 부합되는 양식으로서 자신을 객관화시키고 동의를 얻기 위한 방식에 해당된다. 허난설헌 작품 특징 중 또 다른 하나는 작품 텍스트에 현란한 색채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괴테는 모든 색들은 빛과 어둠으로부터 나오며 두 개의 기본적인 원색은 파랑과 노랑이라고 했는데 허난설헌 작품의 대표색도 노란색과 파란색이었다. 화려한 듯 하지만 실은 비애에 가득 찼던 삶을 살았던 허난설헌은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자신한테 가장 잘 부합되는 색채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원색 대비색을 사용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의미나 내용을 극대화하는 글쓰기를 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aspects of style, poetic device and color aesthetics of forms of Heo Nanseolheon’s text. Thus, this is studied with focusing on the analytic method that what style and rhetoric is used Nanseolheon’s desire or intention is conveyed by and what kind of color is selected her unconsciousness Nanseolheon represents considerably differential narrative that quite differs from Chinese poetry and lyric poetry. That is, a poetic speaker’s tone has epic narrative and tone a lot which are far from a confessional style presenting the form of a lyric. But there is a confessional style adopted mainly in lyrics. The confessional style is the way to express her own emotions by showing the confrontations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Mainly, the affection- and passionrelated works account for this type. But about three-fourths of the works persue the epic narrative form, especially fictional aspect. What she chooses the fantastic epic narrativ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demonstrates that she has precursive, modern prospect of thinking. Also this epic narrative style is the method to objectify herself and obtain reader’s consent as corresponding with form of attempting to resist the current prevailing ideology. The other writing characteristic of Heo Nanseolheon’s is that she uses flamboyant colors. There are 59 times of blue colors, 90 times of gold, 40 times of silver and white colors, 38 times of red lights and 17 times of the brilliant colors at 216 pieces of work. Goethe thinks that every color comes out of light and dark and the two basic colors are blue and yellow. Also the representative color of Heo Nanseolheon’s work is yellow and blue. Heo Nanseolheon who seemed to be likely lived a colorful life but life full of pathos used the bestaccording usage of color to herself consciously or subconsciously, and wrote the poetry which maximizes the meanings or contents she wants by using contrast of primary colors. Heo Nanseolheon is one of the top writers in the field of color aesthetics of our country among Korean writers in the way that the rich coloring is attempted in poetic writing at the time of the dominant Confucianism or in the era of virtue of colourless or plac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