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36개월 미만의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전업주부들의 경험과 생각에 대한 질적 탐색

        강경미(Kang Kyeoung Mi),이승연(Lee-Seung-ye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만 36개월 미만의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전업주부들의 경험과 생각을 들어봄으로써, 이 들의 상황과 실제를 이해하고 보다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36개월 미만의 한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고 있는 전업주부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만 36개월 미만의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전업주부들의 경험의 측면에 서는 첫째, 전업주부들은 나만의 시간을 확보하고, 육아의 고충에서 벗어나며, 재취업을 위한 준비로써 자 녀가 어린이집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입소 대기를 신청한 어린이집으로부터 연락이 와서 자녀를 어린 이집에 보내고 있었다. 둘째, 전업주부들은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냄으로써 육아로부터의 해방감, 어린이 집에서 배워 오는 것에 대한 만족감, 엄마로서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것 같은 죄책감을 느끼고 있었다. 셋 째, 전업주부들은 자녀가 어린이집에 있는 동안 집안일을 하고, 나만의 시간을 가졌으며, 자녀양육에 도움 이 되는 정보를 얻고, 재취업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전업주부들이 생각하는 사회적․정책 적 실제 및 개선요구의 측면에서는 사회적으로는 전업주부의 어린이집 이용에 대한 포용적인 시선과 시 간제 일자리의 확대를, 정책적으로는 보육정책의 일관성과 수요자에 대한 고려 강화, 보육교사의 처우 및 질적 개선, 보육서비스의 홍보 강화 및 질적 개선을 바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보육정책이 보다 일관성을 가지고 질적인 측면의 개선에 초점을 맞출 필요를 시사할 뿐 아니라 전업주부의 자녀양육에 대 한 사회적 이해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thoughts of full-time housewives who sent their infants under 36 months to childcare centers, in order to lay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of their real life situations and providing proper support for them and their infa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 full-time housewives who sent their only child under 36 months to childcare centers, and the data were gener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housewives’ experiences, first, the reasons why they sent their infants to childcare were 1) to have some “me-time”, 2) to escape from the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3) to help their infants adjust to childcare centers as a preparation for their reemployment, and 4) since they gained sudden admission from the centers where they put their infants on the waiting list. Second, sending their infants to childcare gave the housewives 1) a feeling of freedom from child-rearing, 2) a feeling of satisfaction from what their infants were learning at the centers, but simultaneously 3) a feeling of guilty about not doing their duties as mothers. Third, during the time when their infants were at childcare centers, the housewives spent their time 1) by doing the housework, 2) by having some “me-time”, 3) by getting useful information on child-rearing, and 4) by preparing for their reemployment. In terms of the housewives’ thoughts, first, the housewives wanted the society 1) to view their childcare use with a more understanding, and 2) to provide more part-time jobs. Second, in terms of policy, the housewives hoped for 1) ensuring the consistency of childcare policy and reinforcing its focus on the key users, 2) enhancing the treatment and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and 3) strengthening publicity and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These findings imply not only the need for an enhanced focus on quality and consistency of future childcare policies, but also the need for societal understanding and support on the child-rearing of housewives as well as working couples.

      • KCI등재

        놀이 중심 유치원에 다니는 취학 전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이해와 고민 및 요구

        강경미(Kang, Kyeoung-Mi),엄정애(Ohm, Jung-A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47 No.4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opinions and views on the school readiness of mother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going to play-oriented kindergarten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t HaRang kindergarten in Seoul, and the samples for this study were ten mothers who have five preschool children in Bada and Sora class each.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has several novel findings. First, mothers who have children around 5 years of age had an understanding about preparation for school in terms of adapting to school life, learning, and developing interpersonal skills. Second, it was shown that mothers have a variety of anxieties before their children actually start school. Third, mothers required government support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ir worries and woes about preschool education. To minimize mothers’ mental burdens,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 children at home, in local communities, and in school. It is crucial to make collaborative efforts as part of a systematic scheme that is also in line with the requirements for a better school life for children.

      • KCI등재

        유아교육 전공 대학원생 엄마들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장정윤(Chang, Jung Yoon),강경미(Kang, Kyeou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엄마들이 어떠한 자녀양육 경험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현재 자녀를 양육하고 있으며, 대학원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9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심층면 담을 실시하였으며, 부족하거나 확인이 필요한 내용은 유․무선(전화, 이메일, 온라 인메신저 등)을 통해 내용을 추가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엄마들이 학업과 일, 자녀양육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현실에 부딪히고 극복하기를 반복하는 경험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유아 교육을 전공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갖게 된 자녀양육에 대한 자신의 기준이 현실의 한계에 부딪히는 것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경험은 ‘현실에서 실현 불가능한 나의 신념’, ‘포기하기 어려운 일관된 양육방식’, ‘현실에 흔들리는 나의 교육관’의 내용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들은 현실이 주는 한계에 좌절하지 않고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도 하고 있었는데,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전공자가 아닌, 엄마로서의 반성과 성찰’, ‘타인이 아닌, 내 가치관에 대한 믿음과 실천’, ‘최고가 아닌, 최선을 위한 노력’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child-rearing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 mo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currently nurturing their children and 9 graduate students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hear their child rearing experience stories. Additional information was collected via wired and wireless (telephone, email, online messenger,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graduate student mom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the repetitive experience in facing the reality and overcoming it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tudy, work, and childcare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they experienced that the childcare standards created by maj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confronted with limitations of reality. Thus, the first result of this study was The standards that I created are confronted with limitations , which was composed of ‘my belief that cannot be realized in reality , consistent childcare method hard to be given up , and my view of education shaking in reality . Meanwhile, they also tried to overcome limitations without feeling frustrated in reality. The second result of this study was The limitations are overcome with the standards that I created , which was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such as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not as a major, but as a mother , faith and practice not in others but in my values’, and ‘efforts for not the top but the best alternative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