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Energy Efficient Adaptive Relay Station ON/OFF Scheme for Cellular Relay Networks
김세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2
This paper proposes an energy efficient adaptive relay station ON/OFF scheme with different frequency reuse factors (FRFs) to enhance the system throughput and reduce the transmission energy consumption for the transparent mode of 2-hop cellular relay networks (CRNs) based o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time division duplex. In the proposed scheme, the base station turns on or off the relay stations (RSs) when they are overutilized and undertuilized based on the traffic density of the cell coverage, respectively. Through the simulation results, we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CRN in terms of the energy consumption with the same system throughput. Fur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system throughput with low energy consumption, the best way is FRF 1 when the number of operating RSs is up to 4 and FRF 2 otherwise.
Dynamic Subchannel Grouping Algorithm using Local Gateways for Enterprise Small-cell Networks
김세진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ynamic subchannel grouping (DSG) algorithm to maximize the system capacity considering intended proper outage probability for the downlink of enterprise small-cell networks (ESNs). In the proposed DSG scheme, a local gateway (LGW) which is installed in a building dynamically divides the frequency bandwidth into different numbers of subchannel groups (SGs) based on the numbers of small-cell access points (SAPs) and small-cell user equipments (SUEs) per floor. Then, the LGW assigns the SGs to SAPs and the SAPs allocate them to their serving SUEs. Through simulation results, we show that the proposed DSG scheme is appropriate for the ESN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mall-cell networks in which all SAPs use the number of fixed SGs in terms of the system capacity and outage probability.
김세진 한국토지법학회 2013 土地法學 Vol.29 No.1
Third party standing in a lawsuit occurs where a person who is not a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under substantive laws becomes a party to a lawsuit. Here, whether or not a person who is a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but is not a party to the lawsuit is bound by the judgment rendered to the “third party with standing” becomes an issue. On this matter, Article 218 (Subjective scope of res judicata) of Civil Procedure Act provides that ‘a final judgment rendered to a person who becomes a plaintiff or defendant for another person shall also have an effect on such other person’ (Paragraph 3). And Article 25 (Subjective scope of enforceability) of Civil Enforcement Act provides that ‘a judgment, if it has effect on a person other than the party indicated therein, may be enforceable against or for such person’ (main body of Paragraph 1). The rationale for the effect that a judgment rendered to a third party (third party standing) has on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is that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since his/her interest is represented by the third party with standing and the opposing party should not be compelled to multiple lawsuits for the same subject matter of lawsuit for reasons unknown to him/her, based on the principle of fairness,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must be under the effect of such judgment. On the other hand, if the third party with standing wins the lawsuit, the opposing party is bound by the judgment in relation to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because the third party with standing and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must be deemed a single entity in the dispute involving the relevant subject matter of lawsuit and the opposing party being granted such procedural protection must accept the result of the lawsuit in relation to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Thus, among the cases of third party standing, as for a substitute third party with standing (such as receiver in a bankruptcy or for rehabilitated debtors), ex officio party, designated party or other voluntary third party with standing, since the standing thereof is based on the will of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since the third party with standing has to protect the interest (under substantive laws) of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concerning the subject matter of lawsuit and since the fact that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has no choice but to approve disposition of the right and interest (subject matter of lawsuit) performed by the third party with standing results in the interest of such holder being represented in the lawsuit by the third party with standing, it is natural that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be bound by the judgment. In a case where a third party has lawsuit-handling authority in parallel with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parallel third party standing), e.g., creditor derivative suit, shareholder derivative suit, or pledgee’ exercise of security right on a claim, although there are differing positions on the lawsuit-handling authority of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the effect of judgment must be expanded to the holder of rights or obligations too because there is no basis for imposing on the third party debtor any disadvantage due to the creditor’s fault. 실체법상 권리의무의 주체가 아닌 사람이 당사자로서 소송을 수행하는 것을 제3자의 소송담당이라고 한다. 여기서 제3자가 당사자로서 받은 판결의 효력이 소송을 수행하지 아니한 권리의무의 주체에 미치는가가 문제된다. 이에 관하여 민사소송법 제218조는 ‘기판력의 주관적 범위’라는 제목 아래에 ‘다른 사람을 위하여 원고나 피고가 된 사람에 대한 확정판결은 그 다른 사람에 대하여도 효력이 미친다.’고 규정하고 있고(제3항), 민사집행법 제25조는 ‘집행력의 주관적 범위’라는 제목 아래에 ‘판결이 그 판결에 표시된 당사자 외의 사람에게 효력이 미치는 때에는 그 사람에 대하여 집행하거나 그 사람을 위하여 집행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제1항 본문). 이와 같이 제3자가 소송담당자로서 받은 판결의 효력이 권리의무의 주체에 미치는 정당성의 근거는, 권리의무의 주체는 그 이익이 소송담당자에 의하여 대표되는 한편, 상대방은 자신이 모르는 이유로 동일한 소송물에 관하여 2중의 소송을 강요당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공평의 이념에 비추어 권리의무의 주체는 담당자가 받은 판결의 효력의 확장을 받아도 어쩔 수 없다는 점에 있다. 거꾸로 소송담당자 승소의 경우에 상대방이 권리의무 주체와의 관계에서도 그 효력을 받는 것은 당해 소송물을 둘러싼 다툼에 관하여는 소송담당자와 그 배후에 있는 권리의무 주체는 일체로 보아야 하고 그러한 절차권의 보장 하에 스스로 소송을 수행한 상대방은 권리의무 주체와의 관계에서도 그 결과를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제3자 소송담당 가운데 파산관재인, 회생채무자의 관리인과 같은 갈음형 소송담당자, 직무상의 당사자, 그리고 선정당사자 등 임의적 소송담당자의 경우에는 담당자의 당사자적격이 권리의무 주체의 의사에 기하든가, 실체법상 담당자가 권리의무 주체의 소송물에 관한 이익을 지켜야 할 의무를 부담하여야 하든가, 담당자가 소송물인 권리·이익에 관하여 한 처분행위의 효력을 권리의무의 주체가 승인하지 않으면 안 되는 관계에 있어 권리의무 주체의 이익이 담당자에 의하여 소송상 대표되었다고 할 수 있으므로 권리의무의 주체가 그 판결의 효력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채권자대위소송을 제기한 채권자, 회사대표소송을 수행하는 주주, 채권에 대한 질권을 행사하는 질권자 등과 같이 제3자가 권리의무 주체와 병행하여 소송수행권을 갖는 병행형 소송담당에 관하여는 권리의무 주체의 소송수행권의 보장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논의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채권자의 귀책사유로 말미암은 불이익을 제3채무자에게 부담시킬 이유가 없기 때문에 그 판결의 효력이 권리의무의 주체에 미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초고밀도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성능향상을 위한 유동적 채널할당 연구
김세진,Kim, Se-Jin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5
In ultra dense networks (UDNs), macro user equipments (MUEs) have significant interference from small-cell access points (SAPs) since a number of SAPs are deployed in the coverage of macro base stations of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ynamic channel assignment scheme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MUEs for the uplink of UDNs even though the number of SAPs is increased. The target of the proposed dynamic channel assignment scheme is that the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of MUEs is above a given SINR threshold assigning different subchannels to SUEs from those of MUE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dynamic channel assignment scheme outperforms others in terms of the mean MUE capacity even though the mean SUE capacity is decreased a little lower.
인접 셀 간섭을 고려한 OFDMA 전력제어 방식에 관한 연구
김세진,홍인기,김윤희 경희-다반 ASIC 설계교육센터 2007 경희-다반 ASIC센터 논문집 Vol.8 No.-
차세대 이동통신은 증가하는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고속 ·고품질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자원할딩이 용이하고 ,광대역 무선통신에 적합한 OFDMA방식이다. 다가오는 4세대 셀룰러 인프라를 선도할 주요 기술로서 고려되고 있다 .히지만 OFDMA시스템에서는 인접한 셀의 사용자가 같은 부반송파를 사용할 경우, 동일 채널 간섭 (Co-Channel Interference)이 발생하게 디며, 이는 시스템 전반의 성능 하락을 ㅊ래할 수 있다. 특히 샐 경계기역에 위치한 사용자틀은 인접 셀과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서 아주 큰 간섭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의 경우에는 전송 전력을 조절하여, 인접 셀에 주는 간섭의 영향은 줄일 수 있는 전력제어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전송 전력을 인접 셀이 받는 간섭 상태에 따라 조절하는 새로운전력제어 방식을 제안하고, 그 싱능을 기존의 전력제어 방식과의 비교한다 . 제안된 전력제어 방식에서는 기존의 전력제어 빙식보다 전송 진력을 감소시키고, 이와 더불어 수율 면에시 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