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현주(洪顯周)와 청(淸) 문단의 신교(神交)와 그 의미

        林映吉 ( Yim Young-gil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7

        이 논문은 洪顯周(1793~1865)가 청 문사들과 서신을 통해 교유한 경위와 그것이 19세기 한중 문인 교류사에서 지니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홍현주는 正祖의 부마로, 중국에 갈 기회를 얻지 못했으나 1812년 서장관 申緯가 홍현주를 북경 문단에 소개한 이래로 오랜 기간 청 문사들과 서신 왕래를 지속하며 교제를 이어갔다. 홍현주는 중국으로 가는 사행편을 적극 활용하여 신위와 동일한 인맥을 공유하는 한편, 『豐山世稿』와『永嘉三怡集』, 그리고 자신의 시집인 『海居齋詩鈔』와 「淸潭別業圖」 등의 그림을 중국에 전파하는 과정에서 신위의 중국 내 인맥과 차별되는 대청 교류망을 구축하였다. 홍현주는 김정희와 신위를 매개로 하여 翁樹崑ㆍ吳嵩梁ㆍ蔣詩ㆍ陳文述ㆍ張深 등 翁方綱 문하의 동인들과 神交를 맺었으며, 權永佐ㆍ許櫟ㆍ鄭元容ㆍ姜溍 등을 매개로 하여 陶澍와 卓秉恬 등 1802년(嘉慶 7) 진사 동방생과 신교를 맺음으로써 조선과 청 양국의 문학 교류에 직ㆍ간접으로 참여한 구성원을 다양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 홍현주의 교유 활동은 秋史 金正喜로 대표되는 19세기 전반기 한중 문인 교유의 주요 흐름과 합치하면서도 한중 교류망의 군소 지류가 형성되고 확장되는 데 일정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tails of epistolary communications of Hong Hyeon-ju(洪顯周) with Qing litterateurs, and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Qing in the 19th century. Hong Hyeon-ju was a son-in law of the king Jeongjo(正祖) and had never been to China, but since Shin Wi(申緯) of Seojanggwan introduced Hong Hyeon-ju to the Beijing literary in 1812, he continued to communicate with the Qing litterateurs for a long time. Hong Hyeon-ju actively utilized the delegation trips to China to share the same personal connections with Shin Wi, while he spread his 『Pungsan-sego(豐山世稿)』 and 『Yeonggasamyi-jip(永嘉三怡集)』, as well as his collections of poems 『Haegeojae-Sicho(海居齋詩鈔)』 and his painting 「Cheongdambyeoleopdo(淸潭別業圖)」 to China, forming an exchange network in China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Shin Wi's personal connections. Hong Hyeon-ju formed an epistolary communications with Wu Songliang (吳嵩梁), Jiang Shi(蔣詩), Chen Wenshu(陳文述), Zhang Shen(張深), who were members of a literary coterie under Weng Fanggang(翁方綱), through Kim Jeong-hui(金正喜) and Shin Wi. In addition, by forming a epistolary communications with Tao Zhu(陶澍), Zhuo Bingtian(卓秉恬) who were fellows of JinSa in 1802 through Gwon Yeong-jwa(權永佐), Heo Ryeok(許櫟), Jeong Won-yong(鄭元容) and Gang Jin(姜溍), Hong Hyeon-ju contributed to diversifying the number of members who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d in literary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Qing. Hong Hyeon-ju's activities have important meaning in that they played a certain role in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minor branches of the Joseon-Qing literary exchange network while being consistent with the main flow of the Joseon-Qing literary exchange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ich is represented by Kim Jeong-hui.

      • KCI등재

        자하(紫霞) 신위(申緯)와 청 문단의 교유 양상 ― 1812년 연행 이후를 중심으로

        林映吉 ( Yim Young-gi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6 No.-

        이 논문은 신위(1769~1847)와 청 문단의 교유 양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신위는 1812년 진주 겸 주청 사행의 서장관으로 북경에 가서 당대 문단의 종장이던 翁方綱과 그의 아들 翁樹崐을 만나 깊은 교분을 맺었으며, 옹방강의 서재를 방문하여 옹방강 문하의 葉志詵, 王汝翰, 朱鶴年 등과도 교유하였다. 신위는 추사 김정희의 뒤를 이어 북경 학예의 중심에 있던 문사들과 교류함으로써 자신뿐만 아니라 향후 조·청 양국의 인적 교류망이 확장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1812년 연행 이후 신위는 沈象奎, 韓致應, 洪義浩, 朴宗薰, 南尙敎, 申在植 등 연행을 떠나는 지인들을 적극 활용하여 북경 문단의 최신 동향을 입수하는 한편, 서신과 시문을 통해서 옹방강의 제자 吳嵩梁을 비롯하여 蔣詩, 錢林, 陳文述, 熊昻碧, 陳用光, 鄧傳密, 周達, 張深 등과 교분을 맺었다. 이들과의 교유는 1820년대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는데, 그중 신위의 교류망이 확대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 인물은 장시이다. 신위는 장시를 매개로 전림, 웅앙벽, 진문술 등과 교분을 맺은 것으로 파악된다. 1830~1840년대에는 주로 역관 李尙迪을 통해서 儀克中, 韓韻海, 端木國瑚, 王鴻 등에게 시문을 지어 보내며 간접적으로 교유하였다. 신위는 북경 문단과의 소통의 최전선에 서서 조선의 문예 수준을 청 문단에 전파하는 역할을 자처하였다. 동시에 자신의 주변 문인들을 북경의 벗들에게 소개함으로써 대청 교류망을 확장해나갔다. 신위의 연행은 노론 경화세족뿐만 아니라 주변의 소론·남인계 문인들과 중인층 시인들이 북경 문단과 소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summary of the aspects of communication between Shin Wi and Chinese litterateurs. In 1812, Shin Wi went to Beijing as the secretary of envoy, and met Weng Fanggang, who was the chief of the literary troupe of the time, and his son Weng Shukun, then had friendship with them. Also he visited Weng Fanggang's study and had a companionship with Ye Zhishen, Wang Ruhan and Zhu Henian under Weng Fanggang. Following Kim Jeong-hui, Shin Wi laid the foundation for expanding the human exchange network not only for himself but also for Joseon and China in the future by exchanging with scholars who were at the center of Beijing's literary. After the travel in 1812, Shin Wi actively utilized Sim Sang-gyu, Han Chi-ung, Hong Ui-ho, Bak Jong-hun, Nam Sang-gyo, Sin Jae-sik, etc., the acquaintances, who were leaving to Beijing to get the latest trends in Beijing litterateurs. Meanwhile, he made friendship with Wu Songliang, the student of Weng Fanggang, as well as Jiang Shi, Qian Lin, Xiong Yangbi, Chen Wenshu, Chen Yongguang, Deng Chuanmi, Zhou Da, Zhang Shen, and etc. by exchanging letters. The acquaintance with them was intensive in the 1820s, and among them, Jiang Shi played the biggest role in expanding Shin Wi's exchange network. It is figured out that Shin Wi had ties with Qian Lin, Xiong Yangbi and Chen Wenshu through Jiang Shi. Afterwards, in the 1830s and 40s, he wrote poems to Yi Kezhong, Han Yunhai, Duanmu Guohu, Wang Hong, etc., through I Sang-jeok, a Chinese interpreter, and indirectly communicated with them. Shin Wi took the role of being at the forefront of communication with the Beijing litterateurs and spreading Joseon's literary level to Chinese litterateurs. At the same time, he expanded the exchange network toward China, by introducing his neighboring literati to his friends in Beijing. Shin Wi's travel provided a platform for not only the Noron Gyonghwasejok, but also Soron and Namin literati and middle-class poets to communicate with the Beijing litterateurs.

      • KCI등재

        『擇里志』 이본 종합DB 사업의 성과와 학술적 활용방안

        安大會 ( Ahn Dae-hoi ),林映吉 ( Yim Young-gil ),金世鎬 ( Kim Se-h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7 No.-

        『擇里志』는 조선 후기 李重煥(1690~1756)이 저술한 한국의 대표적 지리서이다. 「八道論」과 「卜居論」을 큰 틀로 삼아 팔도의 살기 좋은 지역과 산수가 빼어난 곳 등을 기록하였다. 『택리지』는 세상에 나온 직후부터 독자들의 주목을 받아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200종을 상회하는 이본의 수량이 『택리지』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인기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수많은 이본 가운데는 시기별·지역별·당파별로 필사자가 자의적 개작을 시도한 경우가 다수 포착된다. 그중 기존의 정본화 작업으로 수렴할 수 없는 유의미한 기록을 담고 있는 이본, 독창적인 편목과 구성으로 재편한 이본 등 30종을 선별하여 DB로 구축하는 사업을 수행하였다. ‘『택리지』 이본 종합DB’ 과제를 진행한 결과, 정본에 실리지 않은 중요한 정보가 여러 이본에 산견될 뿐만 아니라, 방대한 이본 중에서도 내용 및 형식상에 몇몇 특정한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그 특징적 사례를 네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일례로 「팔도론」의 ‘전라도’ 조에서는 지역을 대표하는 인물이 이본마다 추가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평양의 연광정(‘평안도’ 조)이나 양근의 미원촌(‘경기도’ 조) 등과 같이 특정 장소에 얽힌 유래를 더욱 풍성하게 보충한 경우도 발견된다. 또한 치원본 『택리지』의 ‘황해도’ 조와 같이 특정 지역을 바라보는 이중환의 시각과 상반된 평가를 내린 경우도 보인다. 한편, 『동국산수록』 계통의 이본군에서는 편목 및 구성을 과감하게 개편하여 전혀 다른 형태의 『택리지』로 변모한 양상도 확인할 수 있다. ‘『택리지』 이본 종합DB’ 연구 성과는 향후 고전 텍스트 DB화 사업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평가한다. 첫째, 『택리지』 이본에 대한 번역 및 연구를 통해 각 이본이 지닌 시대적·사상적·문화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종래 광문회본 『택리지』에 천착했던 연구에서 벗어나 이본을 활용한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새로운 지식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셋째, 일반적으로 정본화 작업이 완료되면 도외시하던 이본의 가치와 의미를 되새기고 향후 이본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본 사업의 성과가 디지털 인문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고전 문헌 연구의 발전에 작은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Taengniji(擇里志) is Korea’s representative geography book written by I Jung-hwan (1690-1756) in the late Joseon Dynasty. Using Paldoron(八道論) and Bokgeoron(卜居論) as a large framework, the land worth living in the eight provinces of Joseon and places with outstanding landscape were recorded. Immediately after Taengniji came out into the world, it quickly spread with the attention of readers. The quantity of the different versions, which exceeds 200 species, clearly shows the high interest and popularity of Taengniji. Among the numerous different version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scribe attempted arbitrary modifications by period, region, and party. Among them, a project was carried out to construct into a Database by selecting 30 types, including different versions, which contains meaningful records that cannot converge to the existing original work, and different versions, which was reorganized into an inventive cataloging and compos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integrated database of Taengniji’s different versions’ project, it was confirmed that, important information which was not included in the original book was found in several different versions, and some specific trends in content and format were found among the vast different versions. In this paper, characteristic examples are presented in four categories. For example, in Paldoron’s Jeonra-do section, a person representing the region is added to each different versions. In some cases, it is found that the origins of certain places are more abundantly supplemented, such as Yeongwangjeong in Pyongyang(Pyeongan-do section) and Miwonchon in Yanggeun(Gyeonggi-do section). In addition, there are cases that the view of a specific area is evaluated contrary to that of I Jung-hwan such as the Hwanghae-do section in the Chiwon version of Taengniji. On the other hand, in the different versions of the Dongguk-sansurok(東國山水錄) lineage, it can be seen that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completely different form of Taengniji by boldly reorganizing the cataloging and composition. The results of ‘The integrated database of Taengniji’s different versions’ project are evaluated to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classical text DB project in the future. First, through translation and research on the different versions of Taengniji,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historical, ideological, and cultural meanings of each different versions. Second, it is possible to derive new knowledge information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using the different versions, away from the research that has been devoted to the existing Gwangmunhoe version of Taengniji. Third,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different versions, which was neglected in general during the originalization work, will be recalled, and revitalize the research on the different versions in future.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e performance of this project will serve as a smal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applying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