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석권,조병미,김우정,Yoon, Suk-Kwon,Cho, Byoung-Mi,Kim, Woo-Jung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5
내한유채를 $25^{\circ}C$에서 발아시키는동안 질소화합물, 전기영동pattern 및 색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유채의 단백질은 수용성비단백해 질소가 9.3%, albumin 25.1%, globulin이 24.7%, Prolamine of 2.2%, glutelin이 1.7%였는데 발아에 의하여 수용성비단 백태 질소는 증가하였으나 albumin과 globulin은 감소하였고 prolamine과 glutelin은 발아초기에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증가하였다. 2. 2%SHMP에 의해 추출되는 유채단백질은 발아시간에 관계없이 53.5$\sim$54.5의 추출율을 나타냈다. 3. 유채단백질을 7.5%polyacrylamide gel로써 전기영동한 결과는 2개의 큰peak와 2개의 작은peak를 보이던 것이 발아30시간에는 각peak의 모양이 둥그스럼해지고, 발아45시간 이후에는 큰Peak 1개만이 둥근 모양으로 나타났다. 4. 유채발아중 단백질추출액의 색도는 400$\sim$700mm의 전파장에서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500mm에서 현저하였다. The changes in protein fractions and its gel electrophoretic pattern of rapeseeds (Brassica napus L) were investigated during germination at $25^{\circ}C$ under dark condition. The major protein fraction was found to be albumin 25.0%) and globulin (24.6%). Both fractions were decreased throughout germination, particularly significant for albumin, while prolamine(2.2%) and glutelin (1.8%) showed an initial decrease followed by a slow increase at the later stage of germination. The initial 5-6 peaks of gel electrophoresis were reduced to a few after 45 hours. The absorption spectrum at the range of 400-700 n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bsorbance for sodium hexametaphosphate (SHMP) extract of rapeseeds. The protein extractability with SHMP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germination.
유채(油菜) 발아중(發芽中) 아미노산과 지방산 조성(組成)의 변화(變化)
조병미,윤석권,김우정,Cho, Byoung-Mi,Yoon, Suk-Kwon,Kim, Woo-Jung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5
내한유채를 $25^{\circ}C$에서 60시간동안 발아시켜 건물량, 뿌리신장도, 아미노산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채의 건물량은 발아30시간에서 비교적 급격한 감소를 나타냈고 그 이후는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우리는 15시간까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발아30시간이후는 일정한 속도의 신장도를 나타낸다. 유채는 발아함에 따라 수분, 조회분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조지방 조단백질은 감소하였으며 조섬유는 증가하였다. 유채의 아미노산은 Glu, Lys, Asp가 많고 lie, Met가 적었으며 제 1제한 아미노산은 Ile 이었다. 유채의 아미노산은 발아함에 따라 Lys, His, Arg, Asp, Thr, Ser, Ala, Val, lie, Leu는 증가하였지만 Clu, Met Tyr, Phe은 감소하여 발아함에 따라 Met이 제 1제한아미노산이 되었다. 지방산은 oleic acid (49.3%). linoleic acid(22.0%), eicosenoic acid (10.5%), Palmitic acid(5.9%), linolenic acid(5.7%), stearic acid(3.2%), erucic acid(2.8%)가 검출되었는데. 발아에 따라 oleic acid는 감소하였으며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발아중기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였고 linolenic acid eicosenoic acid 및 erucic acid는 발아중기까지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증가하였다. Rapeseeds (Brassica napus L.)were germinated at $25^{\circ}C$ for 60 hours under dark con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al changes in amino acids and fatty acids. The weight loss was most significant after 30 hours of germination and root growth was observed from that time. Analysis showed that Glu, Lys and Asp were the major amino acids and Ile was the limiting one. Germination caused an increase in Lys, Thr, Val and Leu while Met and Phe decreased among essential amino acids, resulting Met to be the limiting amino acid. The major fatty acids were oleic (49.3%), linoleic (22.0%) and eicosenoic (10.5%) acids. The decrease in oleic and stearic acids was measured while linoleic, linolenic, eicosenoic and erucic acids showed initial decrease followed by gradual increase.
습답(濕畓)에서 개량제(改良劑) 시용(施用)이 벼 수량(收量) 유해물질(有害物質) 생성(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안상배,윤석권,류진창,Ahn, Sang-Bae,Yoon, Suk-Kwon,Ryu, Jin-Chang 한국토양비료학회 1985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8 No.4
습답(濕畓)에서 유효개량제의 효과 및 볏짚시용시(施用時)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미치는 저해인자(沮害因子)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볏짚, 퇴비(堆肥), 석회(石灰) 및 규산물질(珪酸物質)(규회석(珪灰石), 용성인비(熔成燐肥))를 처리(處理)하여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 추청(秋晴)벼로 포장시험(圃場試驗)한 결과(結果) 1. 수량성적(收量成績)은 모든 개량제처리(改良劑處理)가 표준구(漂準區)보다 3~13% 증수되었으며 생고단용구(生藁單用區)를 제외(除外)하고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증수가 인정(認定)되었다. 2. 수도수량(水稻收量)에 대(對)한 개량제별(改良劑別) 처리효과는 용인(熔燐) +NK 증시 <고농도규산(高濃度珪酸)+NK증시=퇴비(堆肥)>볏짚+석회순(石灰順)이었다. 3. 수량(收量) 증수요인은 수량적성요소중(收量積成要素中) 주당수수(株當穗數)와 입수(粒數)의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으며, 4. 볏짚시용구(施用區)에서 초기(初期)에 질소기아현상(窒素飢餓現象)으로 분예(分蘂)은 감소(減少)시켰으나 후기질소공급(後期窒素供給)으로 수당입수(穗當粒數)가 증가되어 수량(收量)이 증가되었다. 5. 습답조건하(濕畓條件下)에서의 볏짚시용(施用)은 유기산(有機酸), $PCO_2$, $HCO_3$의 생성(生成)을 조장(助長)시켰으며 이들 물질(物質)은 초기분예(初期分蘂)에 영향(影響)을 주어 수량(收量)이 증가되었으나 유의성(有意性)은 없었다. 6. 인산함량(燐酸含量)이 극(極)히 적은 토양(土壤)이므로 인산(燐酸)의 시용(施用)은 초기분예(初期分蘂)에 영향(影響)을 미쳤으며 인산(燐酸)의 효과는 나타났고 토양(土壤)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이 높아 규산(珪酸) 시용효과는 크지 않았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effects of soil amendment on wetland rice soil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 were conducted on ill drained paddy field on which rice straw, Compost, Lime and Silicate materlials such as wallostonite and fused phosphate were applied. 1. As compared with check plot, rice yield was increased by application of soil amendments significantly in all plots but rice straw one. 2. The effects of soil amendment on rice production were in the order of fused phosphate and N.K, addition > silicate material and N.K, addition=Compost > rice straw and lime plot. 3.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ed among the rice yield and the numbers of panicle and grain. 4. The application of the rice straw restrained the rice growth because of nitrogen defficiency in early stage but increased rice yield due to the number of panicle due to supplying nitrogens late stage. 5. The application of rice straw in wetland soil promoted to occur organic acids such as $PCO_2$ and $HCO_3$, and decreased tillering due to these organic acids occuring in early growth stage.
폐기물 활용을 위한 종합적 처리방법이 김치쥬스 발효 향상
전윤기(Yun-Kee Chun),윤석권(Suk-Kwon Yoon),김우정(Woo-J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5
김치공장에서 폐기물로 처리되는 배추 겉잎을 이용한 김치쥬스의 제조방법 개발을 위하여 절인 배추를 마쇄한 다음 배추마쇄액의 소금 농도가 2%되게 조절한 후 효소 분해와 설탕의 첨가 그리고 발효된 김치액을 첨가하여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발효된 김치액을 pH 5.4의 것은 발효 시작시, pH 4.4의 것은 발효 중반기에 5~15% 첨가했을 때 발효 속도가 현저히 증가하고 쥬스의 고형분 함량 역시 증가하였다. 발효된 김치액 첨가와 효소 분해 및 설탕을 첨가한 종합적 방법은 발효의 속도를 더욱 향상시켰으며 쥬스의 고형분 함량이 대조구보다 5배 이상 높아졌다. 또한 신맛의 전체적인 향미도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The effective fermentation methods of Kimchi juice for utilization of outer layer of Chinese cabbage, an waste of Kimchi industry were studied. The Kimchi juice prepared with brining and grinding the waste of Chinese cabbage and addition of spices was fermented at 25℃. Addition of 5~15% fermented Kimchi juice of pH 5.4 at initial stage and pH 4.4 at middle stage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fermentation rate and solid content after 12 hours of fermentation. The combined method of enzymatic hydrolysis(0.1% viscozyme) of the brined and ground cabbage and addition of 2.0% NaCl, 1.0% sucrose and 10% fermented juice of pH 5.4 first and 4.4 during fermentation, respectively resulted in more rapid fermentation. The solid concentration was 5 times higher than control at maximum point and acidic and total flavor intensity were also significantly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