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Science Teacher Education System

        Im, Sungmin,Yoo, Junehee,Pak, Sung-Jae 한국과학교육학회 200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1 No.5

        An important issue for qualified scien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a proper system of pre-service education for the science teacher. There are various type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ir socio-cultural backgrounds. In this paper, science teacher education systems were analysed into 3 different types: Focusing Undergraduate Certification of Education (FUCE), Open Undergraduate Certification of Education (OUCE), and Post Graduate Certification of Education (PGCE). Science teacher education systems and their outcomes, such as the quality of the science teacher, were discussed with their socio-cultural backgrounds, compared by the 3 type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systems. For this the results of meta-analysis from TIMSS-R and OECD data sets were used. Special interests focused on countries; Japan, Korea,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which would represent stereotypes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systems and different backgrounds of oriental and western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행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분석

        임성민(Im Sungmin),박경옥(Park Kyoung-Ock),엥흐체첵(Gankhuyag Enkhtsetseg) 한국통합교육학회 2019 통합교육연구 Vol.14 No.2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행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장애인에 대해 갖는 사회적 거리감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 환경에서 준비가 필요한 예비교사들의 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회적 거리감은 ‘어떤 대상에 대한 이해, 정서, 행동 의지를 포함하는 주관적 태도’로서, 사회적 의지, 지식, 정서, 접촉의 4가지 하위 요인을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행사에 참여한 예비교사 73명과 이 행사와 무관한 예비교사 185명 등 총 258명의 응답 자료로부터 사회적 거리감의 하위요인별 분포와 응답자의 배경 변인에 따른 분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사회적 의지와 정서 요인이 지식이나 접촉 요인에 비해 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의 사회적 거리감은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행사 참여 경험보다는 특수교육 전공 여부와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에 영향을 받으며,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행사 참여는 접촉 요인에서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지식 요인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social distance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science fair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result we aimed to induce the implication of teacher education in prepar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this study social distance is defined as subjective attitude toward a target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 which consists of 4 factors like social willingness, knowledge, emotion and contact. We gathered the responses from 73 pre-service teachers who experienced a science fair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185 pre-service teachers irrelevant to the fair.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social distance by factors and compared the responses according to pre-servic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social distance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more positive in social willingness and emotion comparing to knowledge or contact factors. It was affected by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or taking courses about special educati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science fair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fected positively in contact factors but negatively in knowledge factor.

      • SCOPUSKCI등재

        고등학생들의 물리 선호도와 양자물리 학습에 대한 흥미

        임성민(Sungmin Im),권문호(Munho Kwon) 한국물리학회 2022 새물리 Vol.72 No.10

        최근 양자기술의 중요성이 부감됨에 따라 양자물리 교육의 필요성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고등학교 물리교육에서 양자물리의 비중이 확대될 예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양자물리 학습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물리 선호도와 양자물리 학습에 대한 흥미를 조사하였다. 전국 단위로 온라인 설문을 활용하여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고등학생 931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감정 반응과 가치 인식 차원에서는 물리학의 여러 주제 중에서 양자물리를 보다 선호하였으나, 학습 필요성에 대해서는 다른 주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양자물리 교수학습에 대한 흥미의 경우, 주제 차원에서는 원자 구조, 양자 기술, 양자 현상 순으로 흥미가 높았고, 동기 차원에서는 호기심과 지식 습득을 진로 연관성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활동 차원의 경우 실험 활동과 문화 활동에 대한 흥미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학생들의 양자물리에 대한 선호도와 흥미는 학년과 희망 진로 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수준에서 양자물리 교육 도입에 대한 당위성과 더불어 물리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s the importance of quantum technology is rising globally, it has become imperative to include quantum physics in the upcoming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To explor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learning quantum physics, we surveyed their preference for physics and interest in learning quantum physics. We collected the student responses using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931 responses overall. Notably, students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quantum physics over other areas of physics in terms of the emotional response and valuational comprehension, while they showed a lower preference of quantum physics in behavioral volition. Students showed a higher interest in the study of atomic structure over quantum technology or quantum phenomena. They regarded the intellectual curiosity as a more important motive for interest than career relevancy and showed a high interest in experimental and cultural activities over others. The preference and interest of the students in learning quantum physics significantly differed with their grades and the future career path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to teach quantum physics in high schools as well as the implication for constructing a quantum physics curriculum.

      • SCOPUSKCI등재

        특수 상대성 이론에 대한 예비 물리교사의 개념 이해와 확신도

        임성민(Sungmin Im) 한국물리학회 2024 새물리 Vol.74 No.3

        이 연구에서는 예비 물리교사를 대상으로 특수 상대성 이론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와 확신도를 조사하였다. 상대론 개념 조사(Relativity Concept Inventory)를 적용하여 사범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하는 예비 물리교사 51명의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특수 상대성 이론의 개념별 이해도와 확신도의 분포, 응답자의 개인 변인에 따른 차이, 개념 이해도와 확신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물리교사들은 동시성의 상대성, 속도 합성, 인과율 개념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며, 시간 팽창과 동시성의 상대성에서는 오개념이 발견된다. 개념 이해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으나, 확신도에서는 남성의 확신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상대론에 대한 선수학습 정도는 개념이해와 관련 있으나 확신도와는 무관하다. 개념 이해와 확신도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가장 최근에 상대론을 학습한 집단에서 잘 드러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ts degree of certainty on special relativity theory among preservice physics teachers. By applying the Relativity Concept Inventory, we collected responses from 51 preservice physics teachers majoring in physics at college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ponse data,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ts degree of certainty on special relativity theory and the respondents’ personal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sis, preservice physics teacher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relativity of simultaneity, speed composition, and causality, and misconceptions are found in time dilation and the relativity of simultaneit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conceptual understanding, but men’s degree of certainty is relatively higher. The level of prior learning about relativity theory is related to conceptual understanding but has nothing to do with the degree of certainty.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he degree of certainty, and this is clearly evident in the group that most recently learned relativity.

      • KCI등재

        과학교육 연구와 실천 맥락에서 공동생성적 대화의 의미와 의의

        임성민(IM, Sungmin),Sonya N. Mart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최근 국내외적으로 모든 학생에게 보다 평등한 과학교육의 실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과학교육 연구에서도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수학습을 일종의 사회적으로 구성된 활동으로서 보는 관점에서 과 학 수업에서 벌어지는 상호작용의 사회적 측면들을 조사하는 연구의 중요성이 점차커지고 있다. 평등한 과학교육에 관심을 기울이는 일부 연구자 집단에서는 지난 10여 년 동안 공동생성적 대화라는 것을 제안하면서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과학 수업을 형성해 가는지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이 논문을 통해 공동생성적 대화를 한국의 과학교육 맥락에 소개하고 사회문화적 접근에서 그 의의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공동생 성적 대화의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공동생성적 대화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와 실제 적용 방안을 소개하였다. 또한 공동생성적 대화가 과학교육의 실천 맥락에서 갖는 의의를 과학 수업, 과학교사 교육, 과학교육 연구 측면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 고, 마지막으로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공동생성적 대화의 적용이 갖는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Currently around the world, there are call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in policy reform documents about the need to expand science learning to all students, and many researchers have been addressing this issue. Because teaching and learning is a social constructed activity, research that examines social aspects of science classroom interactions is necessary. During the last decade, researchers interested in equity issues in science education have employed cogenerative dialogues to gain insights into how teacher and student interactions shap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origins of cogenerative dialogues and traces the evolution of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s that underpin this tool. In this paper the authors introduce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of cogenerative dialogue as a sociocultural approach to research in the Korean science education context. Additionally, the authors discuss implications for employing cogenerative dialogues in the context of science teaching,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introducing cogenerative dialogues in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 KCI등재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선호도와 인과요인 분석

        임성민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No.4

        과학교육에서 흥미나 신념과 같은 정의적 특성에 대한 강조는 점점 부각되고 있으나 실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는 감소하는 추세이며 특히 과학 관련진로 기피 현상은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과학에 대한 기피가 더욱 금하고 국가사회나 과학교육계에서 관련 연구도 별로 없다. 본 연구는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 관련된 정보의 특성을 과학선호도로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면 과학선호도의 인과요인을 분석하여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 선호도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여기서 과학선호도는 다차원성을 가진 정의적 특성으로 과학과 과학학습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포함하여 과학 관련 행동 의지와 과학 관련 가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범주별로 리커트형의 가설문을 개발하였다. 또, 과학선호도의 인과요인을 개인의 능력이나 성향, 가정환경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학교안 과학교육의 내용과 보상, 학교밖 과학관련 활동과 같은 교육적 요인, 과학기술에 대한 경제적 보상이나 사회문화적 붕괴은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역시 리커트형 설문 및 자유응답형 질문을 통해 측정하였다. 과학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는 성형회귀분석과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There are an increasing emphasis on affective domain. for example interest or belief, in science education. But decreasing interest on learning science and tendency to avoid science-related job are serious problems of secondary science education, especially in cas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e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preference for science is assumed to be a multidimensional property that reveals ones' behavioral volition and valuation as well as emotional response upon learning science. To investigat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its causal factors, a Likert styl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rough factor analysis.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was analyzed by 3 categories, and its causal factors are investigated by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ANALYSIS OF COGNITIVE BELIEF AND INTEREST IN LEARNING PHYSICS

        임성민,박성재 大邱大學校附設 基礎科學硏究所 2004 基礎科學硏究 Vol.21 No.1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emphasizing affective domains as major aims of science education, however these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interest or attitude. A recent tendency of the research concerning the affective domain is to broaden the area to include more various affective constructs , and to develop more meaningful assessment methods measuring such constructs, and to try to understand some relationship or underlying structures .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structure and relation of students' cognitive belief and interest in physics learning. We defined students' cognitive belief as the thought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and learning, and categorized it into 4 dimensions (structure, content, learning, construction). Also we defined students' interest in physics learning as preference about the content and activity, and categorized it into 3 dimensions (topic, motive, activi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framework above we analyzed the pattern of the respon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anitive belief and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