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名詞に接續する「せいで」の意味と機能

        ( Bahng Yoon-hyu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9 日語日文學硏究 Vol.110 No.-

        본 논문은 명사에 접속하는 “세이데(せいで)”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분석, 고찰 한 것이다. “세이데(せいで)”가 기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지적한 것은 종래에 연구사례가 많이 있으나,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 같은 예문이 있다는 지적은 종래의 연구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다. 또한 “세이데(せいで)”가 단문에서 사용될 때와 복문에서 사용될 때는 다른 특징이 보이지만 이것을 구분하여 고찰한 연구는 이루어진 적이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선 단문에서 사용되는 경우와 복문에서 사용되는 경우를 구분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와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로 세분하여 각각의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세이데(せいで)”가 단문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기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는 예문도 10례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단문에서 사용되는 경우, 전접명사가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 와 “바람직한 결과”의 양쪽에 중복되는 경우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세이데(せいで)”가 복문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①“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바람직하지 않은 결과”, ②“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바람직한 결과”, ③“바람직한 결과”+“바람직하지 않은 결과”, ④“바람직한 결과”+“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중에서 ③과 ④의 경우에도 “오카게데(おかげで)”가 아니라 “세이데(せいで)”가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단문과 복문의 양쪽에서 사용된 전접명사는 개별어수로 14개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종래의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단문에서는 명사에 접속하는 “세이데(せいで)”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결과”도 나타낼 수 있으며, 복문에서는 “세이데(せいで)”의 바로 뒤에도 “바람직한 결과”가 올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meanings and the functions of "seide" connected with nouns are examined and analyzed. A lot of previous research papers reported that “seide” commonly represents “undesirable results” in the sentences, but none of them showed that “seide” has the opposite meaning of “desirable results” in some example sentences. “Seid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when it is used in the simple sentence and used in the complex sentence. However, no previous literature has separately focused on two cases of sentences. In the paper the different cases of “seide” in the simple sentence and in the complex sentence are distinguished and analyzed. More detailed investigations are classified with the meanings of “undesirable results” and “desirable result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seide" is used in a simple sentence, it basically indicates the meaning of "undesirable result". However, ten example sentences exist and confirm that “seide” surprisingly has the opposite meaning of "desirable results". Second, when "seide" is used in a complex sentence, four cases can be considered as in the below: ①"undesirable result"+"undesirable result", ②"undesirable result"+"desirable result", ③"desirable result”+"undesirable result", and ④"desirable result”+"desirable result". Among them, ③ and ④ cases show that "seide" is used instead of "okagede". In conclusion, "seide" connected with nouns shows the meaning of “desirable results” in the special cases of the simple sentences although it represents “undesirable results” in most simple sentences. Similarly in several complex sentences, the predicates right after “seide” are somtimes used to have the meaning of “desirable results”.

      • KCI등재

        동사에 접속하는 "도코로다(ところだ)"의 의미와 기능-의미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방윤형 ( Bahng Yoon-hyu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8 No.1

        본 논문은 동사에 접속하는 "도코로다(ところだ)"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의미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분석, 고찰 한 것이다. 동사에 접속하여 시간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도코로다(ところだ)"에 대해서는 종래에 연구사례가 많이 있으나, 실제의 예문을 분석하여 공간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나 점을 나타내는 경우와의 관계를 언급한 연구는 종래에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점, 시간이라고 하는 3개의 의미 및 기능에 대하여 그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공간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동사가 가리키는 구체적인 장소를 나타낸다. 전접동사에는 다양한 타입의 동사가 사용된다. 이 경우의 「ところ だ」는 형식명사 술어문으로 기능한다. 둘째, 공간에서 점으로 이행하는 경우는 크게 다음과 같이 2가지 경우가 있다. ①부분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동사가 가리키는 추상적 부분을 나타낸다. 언어자료의 특정부분을 가리킨다는 공간성이 남아있다. 이 경우의 「ところ だ」는 형식명사 술어문으로 기능한다. ②점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동사가 나타내는 어떤 점, 어떤 것을 나타낸다. 공간성은 없어져 있다. 이 경우의 「ところだ」는 형식명사 술어문으로 기능한다. 셋째, 공간에서 시간으로 이행하는 경우는 우선 공간적으로도 시간적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예문이 있다. 그리고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동사의 형태에 따라 "직전", "진행", "직후"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의 「ところ だ」는 이 형태 전체로 아스펙트를 나타내는 형식으로 사용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동사에 접속하는 "도코로다(ところだ)"는 공간이 출발점적인 의미이지만 공간에서 점으로, 공간에서 시간으로 이행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고, 이 이행에는 연속성이 보인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okoroda" connected with a verb using derivative relationships. In this paper, the usages of "tokoroda" are described in terms of derivative relations about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space, ten, and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okoroda" represents the concrete place. In this case, the various types of verb are used in the front verb. "V+tokoroda" functions as a predicative sentence of pseudo noun. Second, two different cases can be considered regarding the transformations from the meaning of space to the meaning of ten. (1) In the case of implying the part, "tokoroda" means an abstract part indicated by the front verb. "V+tokoroda" also operates as a predicative sentence of pseudo noun. (2) In the case of implying the ten, "tokoroda" represents a certain ten or a certain thing associated with the front verb. "V+tokoroda" functions as a predicative sentence of pseudo noun. Third, "tokoroda" represents the transformations from the meaning of space to the meaning of time. When they are interpreted by the temporal meaning, the three meanings of "just before", "progress", or "immediately after" can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formats of the front verb. In this case, "V+tokoroda" is used to represent an aspect in a whole format. In conclusions, "tokoroda" connected with a verb represents a space as a starting point, but then it transforms from space to ten, and from space to time. This transformation occurs in a continuous way.

      • KCI등재

        동사에 접속하는 “고토다(ことだ)”의 의미와 기능 - 의미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

        방윤형 ( Bahng Yoon-hyu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8 日語日文學硏究 Vol.106 No.1

        본 논문은 동사에 접속하는 “고토다(ことだ)”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의미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분석, 고찰 한 것이다. 동사에 접속하여 모달리티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고토다(ことだ)”에 대해서는 종래에 연구사례가 많이 있으나, 실제의 예문을 분석하여 형식명사술어문에서 파생적 용법으로 추상화되는 이행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는 종래에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형식명사술어문을 나타내던 것이 추상화되어 모달리티 형식으로 이행하는 경로에 대하여 연속성의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첫째, 형식명사술어문의 용법은 형태적으로는 「AはBことだ」를 기본으로 하며 그밖에 총 5가지의 형태가 보인다. 이 형태는 A가 나타내는 개념의 질을 규정한다. 그리고 이 형태의 A에는 최상급의 표현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이 형태는 구문적으로 자유롭다고 말할 수 있다.둘째, 파생용법으로의 이행은 다음과 같이 ① 추측을 나타내는 경우, ② 감탄을 나타내는 경우, ③ 충고를 나타내는 경우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모달리티 형식으로 이행한 경우는 “고토다(ことだ)”의 형태가 고정화되며 특별한 의미와 기능을 획득했다고 말할 수 있다.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동사에 접속하는 “고토다(ことだ)”는 형식명사술어 문에서부터 모달리티 형식으로의 이행이 확인가능하며, 이 이행에는 연속성이 보인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meanings and the functions of “kotoda” connected with a verb using derivative relationships. Although there were quite a lot of previous research in the past about the "kotoda" which has the meaning of modality by connecting to a verb, almost none of literature examined the abstraction transitions from a predicative sentence with pseudo noun to the derivative usage by analyzing practical examples. In this paper, the objective is to describe the transitions by abstracting from a predicative sentence with pseudo noun to a modality format in terms of continui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basic usage of the predicative sentence with pseudo noun is morphologically based on "A wa B kotoda", and there are total five forms including the basic and four other forms. These forms define the quality of the concept that “A” represents. Superlative expressions are commonly utilized in “A” with these forms. Those forms are also syntactically free.Second, the transitions to the derivative usage can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ses: ① to express conjecture, ② to express exclamation, and ③ to express advice. In the transitions to the modality format, it is observed that the forms of "kotoda" have been fixed, and thus special meanings and functions are obtained.In conclusions, we identify “kotoda” as the transitions from the predicative sentence with pseudo noun to the modality format while it is connected with a verb, and these transitions significantly show the meaning of continuity.

      • KCI등재

        名詞に接續する形式名詞『うち』の意味·機能 - 明治期と現代との用例比較を通じて-

        방윤형 ( Yoon Hyung Bah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07 日語日文學硏究 Vol.61 No.1

        本稿では、名詞に接續する形式名詞『うち』の意味·機能について、明治期と現代との比較を通じて、分析·考察した。その結果は以下のようにまとめられる。第一に、明治期までの變化としては、形式名詞『うち』は、明治期に旣に出發点的な意味用法である<空間>から<狀況>、そして<時間>を表す用法までを有しており、また、これらとは違う意味用法である<範圍>も持ってい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この事實は、①『うち』の形式(格)、②『~(の)うち』と述語との關係、といった2つの側面から裏付けられる。第二に、明治期から現代までの變化としては、①<空間>:明治期は具體的な空間を表せたが、現代は基本的に固定化したタイプしか用いられない、②<狀況>: 現代は『無意識のうちに』への固定化が目立つ、③<時間>:明治期との違いは殆んど見られない、④<範圍>:明治期は『比較の元を表すタイプ』の用法が中心であったが、現代は『量的限定を行うタイプ』の用法が中心である、といったような四点に要約できる。以上のことから、明治期は出發点的な<空間>が中心的な意味·機能であったが、現代では出發点的な<空間>はその勢力を失い、中心的な意味·機能を<時間>に讓っ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また、<範圍>に關しても、中心的な意味·機能に變化が見られる。要するに、形式名詞『うち』は、明治期から現代に移るにつれて、基本的には明治期までの變化の結果を保持しながらも、各意味用法の中では漸進的な變化が續いてきたと言えるようである。

      • KCI등재

        명사에 접속하는 형식명사 "소바(そば)"와 "요코(よこ)"의 의미와 기능

        방윤형 ( Yoon Hyung Bah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4 No.1

        본 논문은 명사에 접속하는 형식명사 “소바(そば)”와 “요코(よこ)”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분석, 고찰 한 것이다. 동사에 접속하여 시간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소바(そば)”에 대해서는 종래에 연구사례가 있으나 이 두 명사를 비교한 연구는 종래에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유의형식인 이 두 명사를 비교하면서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명사에 접속하는 “소바(そば)”는 크게 다음과 같이 2가지 경우로 나눌수 있다. ①구체적인 장소를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명사를 기준으로 한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사람명사, 장소명사, 사물명사의 전접명사와 정해진 타입의 술어가 사용된다. 「Nのそば」는 문중에서 보어적인 역할을 하고 술어는 「Nのそば」를 지배한다. ②추상적인 장소를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명사의 영향이 미치는 범위를 나타낸다. 사람명사의 전접명사와 정해진 타입의 술어가 사용된다. 「Nのそば」는 문중에서 보어적인 역할을 하고 술어는 「Nのそば」를 지배한다. 다음으로, 명사에 접속하는 “요코(よこ)”는 크게 다음과 같이 2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①구체적인 장소를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명사를 기준으로 한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사람명사, 장소명사, 사물명사의 전접명사와 정해진 타입의 술어가 사용된다. 「Nのよこ」는 문중에서 보어적인 역할을 하고 술어는 「Nのよこ」를 지배한다. ②추상적인 장소를 나타내는 경우는 1례도 확인되지 않았다. 이 점은 “요코(よこ)”는 추상적 의미로 발달하지 않았음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명사에 접속하는 “소바(そば)”는 구체적인 장소와 추상적인 장소를 모두 나타낼 수 있지만, “요코(よこ)”는 구체적인 장소만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장소를 나타내는 “소바(そば)”는 원칙적으로 “요코(よこ)”로 바꿔 말할 수 있지만, 추상적인 장소를 나타내는 “소바(そば)”는 원칙적으로 “요코(よこ)”로 바꿔 말할 수 없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soba” and "yoko" connected with a noun. In this paper, the usages of "soba" and "yoko" a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se two synonym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respectively. Regarding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soba” connected with a noun, the two cases in the study are examined as in the below. ① The first case of “soba” represents the concrete place, and it shows positional relations based on a front noun. In this case, a person noun, a place noun, and the goods noun are used in the front noun, and designated patterns are used in the predicate. ② The second case of “soba” represents the abstract place, and it indicates influential ranges of a front noun. A person noun is used in the front noun, and designated patterns are used in the predicate.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yoko” connected with a noun, the following two cases in the study are considered. ① Similar to “soba”, the first case of “yoko” represents the concrete place with positional relations based on a front noun. A person noun, a place noun, and the goods noun are used in the front noun, and designated patterns are also used in the predicate. ② In contrast with “soba”, no example of "yoko" representing the abstract place is found. This implies that "yoko" has not been developed into the abstract meaning. In summary, we can conclude that the pseudo noun “soba” connected to a noun can represent both a concrete place and an abstract place, but the pseudo noun "yoko" can only represent a concrete place.

      • KCI등재

        현대일본어의 “가기리(かぎり)”의 의미와 기능

        방윤형 ( Bahng Yoon-hyu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0 日語日文學硏究 Vol.114 No.-

        본 논문은 현대일본어의 “가기리”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실제의 예문에 입 각하여 분석, 고찰 한 것이다. 본 논문의 고찰대상인 “가기리”에 대하여 종래에 명사와 동사의 뒤에 접속하여 최고한도나 범위를 나타낸다고 하는 지적은 있었으나, ①명사용법인 경우, ②후치사화한 경우, ③접속조사화한 경우라고 하는 이 3자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제시한 연구는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이 3가지 경우의 의미 및 기능에 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사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전접하는 명사가 가리키는 최고한도라는 것을 나타낸다. “명사+가기리”는 비교적 다양한 격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의 “가기리”는 명사용법으로 기능한다. 둘째, 후치사로 사용되는 경우는 전접하는 명사가 가리키는 범위라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전접명사는 인지를 나타내는 명사, 상태계속을 나타내는 명사, 그 밖의 명사로 구분할 수 있다. 형태적으로 “명사+가기리”라고 하는 하나의 형태로 한정된다. 이 경우의 “가기리”는 후치사로 기능한다. 셋째, 접속조사로 사용되는 경우는 전접하는 동사가 가리키는 범위라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전접동사도 인지를 나타내는 동사, 상태계속을 나타내는 동사, 그 밖의 동사로 구분할 수 있다. 형태적으로 “동사+가기리”라고 하는 하나의 형태로 한정된다. 이 경우의 “가기리”는 접속조사로 기능한다. 이상의 내용으로부터 현대일본어의 “가기리”는 최고한도의 의미를 나타내며 명사용법으로 기능하는 것이 일차적인 의미와 기능이지만 후치사화하거나 접속 조사화하는 현상도 보이고 있다. 명사용법의 “가기리”가 후치사화하거나 접속조사화하면 형태의 면과 의미의 면에서 변화가 생긴다. This paper profoundly examines the special meanings and the functions of "kagiri" in modern Japanese languages by analyzing actual example sentences. In the previous research, “kagiri” was traditionally considered to be a word connected to nouns or verbs which represents the maximum limit or range. However, none of the previous research describes the corelations of the three cases: ①noun usage, ②postposition, and ③conjunctive particle. In this paper the meanings and the functions of the above three cases of “kagiri” are mainly focused and investigated, and then the results of the stud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used as a noun usage, "kagiri" connects front nouns and also indicates the maximum limit. In this case, N+kagiri can take relatively different cases, and “kagiri” accordingly has the functions as a noun usage. Second, when used as a postposition, "kagiri" represents the meaning of the range which front nouns indicate. Here, N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a noun indicating cognition, a noun indicating continuity, and other nouns. It is morphologically limited to the one form called N+kagiri. The “kagiri” functions as a postposition in this case. Third, when used as a conjunctive particle, "kagiri" infer the range indicated by the front verb. Here, V can be classified into a verb indicating cognition, a verb indicating continuity, and other verbs. It is morphologically limited to the one form called V+kagiri, and the “kagiri” functions as a conjunctive particle in this case. From the above results, “kagiri” in modern Japanese was found to have the meanings and the functions of postposition or conjunctive particle in addition to the basic meaning of the maximum limit as a noun usage. The forms and meanings are significantly changed whenever "kagiri" of the noun usage are used as a postposition or a conjunctive particle.

      • KCI등재

        명사에 접속하는 형식명사 "도코로(ところ)"의 의미와 기능 -메이지기와 현대의 용례비교를 통하여-

        방윤형 ( Yoon Hyung Bah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90 No.1

        본 논문은 명사에 접속하는 "도코로(ところ)"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분석, 고찰 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종래의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메이지기와 현대를 비교하면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명사에 접속하는 "도코로(ところ)"는 크게 다음과 같이 4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①장소를 나타내는 경우는 기본적으로 전접하는 명사가 존재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람명사, 장소명사, 모노명사의 전접명사와 정해진 타입의 술어가 사용된다. 「Nのところ」는 문중에서 보어적인 역할을 하고 술어는 「Nのところ」를 지배한다. ②부분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명사가 존재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신체부분을 나타내는 전접명사와 다양한 타입의 술어가 사용된다. 「Nのところ」는 문중에서 보어적인 역할을 하고 술어는 「Nのところ」를 지배한다. ③시간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명사가 가리키는 시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전접명사에는 시간명사가 사용되고 술어에는 다양한 타입의 술어가 사용된다. 한편 메이지기에는 전접명사에 지시사를 사용할 수 없었으나 현대에는 지시사를 사용할 수 있다. 「Nのところ」는 상황어적인 역할을 하고 술어는 「Nのところ」를 지배하지 않는다. ④상황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명사가 가리키는 상황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전접명사에는 동작성명사와 추상명사가 사용되고 술어는 다양한 타입의 술어가 사용된다. 메이지기보다 현대에 와서 전접명사의 종류가 증가했다. 「Nのところ」는 상황어적인 역할을 하고 술어는 「Nのところ」를 지배하지 않는다. 이상의 ①~④를 종합하면 명사에 접속하는 형식명사 「ところ」는 메이지기에서 현대에 이름에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메이지기까지의 변화의 결과를 보존하면서도 점진적인 변화가 계속되어 왔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okoro" connected with a noun. In the paper, the usages of "tokoro" a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two periods between Meiji-era and the present. Regarding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okoro" connected with a noun, the four cases in the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① The first case of "tokoro" represents the place where a front noun exists. In this case, "N+tokoro"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hogo in the sentence, and the predicate controls the "N+tokoro". ② The second case of "tokoro" represents the part in which a front noun exists. "N+tokoro" has a function of a hogo in the sentence, and the predicate controls the "N+tokoro". ③ The third case represents the time which a front noun indicates. In Meiji-era, a demonstrative pronoun was not allowed to use in the front noun, while in the present it is widely used in the front noun. "N+tokoro" functions as a jyokyogo in the sentence, and the predicate doesn``t control the "N+tokoro". ④ The last case represents the situation which a front noun indicates. The types of the front noun much more increased in the present than in Meiji-era. "N+tokoro" does function as a jyokyogo in the sentence, and the predicate excludes the "N+tokoro". Summarizing the above four cases, we can conclude that the pseudo noun "tokoro" connected to a noun preserves the historical changes up to Meiji-era, but also gets gradual changes from Meiji-era to the present.

      • KCI등재

        日本語學,日本語敎育學 篇 : 動詞に接續する「ところへ」の意味と機能 -空間から狀況への發展經路を中心に-

        방윤형 ( Yoon Hyung Bah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1 日語日文學硏究 Vol.77 No.1

        本稿は動詞に接續する「ところへ」の意味と機能について分析·考察したものである。特に、往來の硏究であまり取り上げていない、空間を表す場合から狀況を表す場合への發展經路といった觀点で記述することを目指した。その結果は以下のようにまとめられる。現代日本語の動詞に接續する「ところへ」は大きく次のような6つの場合に分けることができる。①空間的意味のみを表す場合は樣樣なタイプの前接動詞と決まったタイプの述語が用いられる。「Vところへ」は述語の支配を受け、「へ格」として동く。②空間的意味と狀況的意味の兩方を表す場合は具體的動作を表す前接動詞と移動動詞の述語が用いられる点では共通するが、空間的意味か狀況的意味かで異なる特色を見せる。空間的意味の場合は述語の支配を受け、「へ格」として동くが、狀況的意味の場合は述語の支配を受けず、「Vところへ」全體で形態が固定化する。③心理的狀況を表す場合は抽象的動作や狀態を表す前接動詞と移動動詞の述語が用いられる。「Vところへ」は述語の支配を受けず、「Vところへ」全體で形態が固定化する。④具體的狀況を表す場合は具體的動作を表す前接動詞と移動動詞以外の述語が用いられる。「Vところへ」は述語の支配を受けず、「Vところへ」全體で形態が固定化する。⑤付加·添加のニュアンスを持っている場合は抽象的動作や狀態を表す前接動詞と移動動詞以外の述語が用いられる。「Vところへ」は述語の支配を受けず、「Vところへ」全體で形態が固定化する。⑥名詞述語の場合は原則的に用いられないが、出現性を持った「頻發だ」のような名詞主語は使用できるようである。以上の①~⑥を總合すると、「Vところへ」という形態が空間を表す「へ格」をとった形式名詞から狀況を表す「Vところへ」全體の形態へ固定していく發展經路を明らかにすることができる。この經路には、①前接動詞と述語のタイプ(タイプの變化)、②格體系(へ格から「Vところへ」全體の形態への固定)、③「Vところへ」と述語との關係(支配の有無)といった側面が總合的に關わっていると言える。

      • KCI등재

        Biological effects of indirect contact with QELBY® powder on nonmacrophagic and macrophage-derived cell lines

        ( Hyung Tae Lee ),( Dalmuri Han ),( June Bong Lee ),( Gunwoong Bahng ),( Jong Doo Lee ),( Jang Won Yoon ) 한국예방수의학회(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2016 예방수의학회지 Vol.40 No.1

        Bioenergetics has been defined as the biology of energy transformations and energy exchanges within and between living organisms and their environment; this field now includes the concept of bioenergetic medicine, e.g., therapeutic approaches involving biophotons. QELBY® powder is a patented quantum energy-radiating material (patent No. 10-1172018), to be precise, a biologically active silicon dioxide-containing mineral powder that radiates reductive energy in infrared wavelength. In this study, we examined possible biological effects of indirect contact with QELBY® powder on various mammalian cell lines derived from macrophagic (MØ) and nonmacrophagic cells, including Raw 264.7 (mouse-derived MØ cell line), HD11 (chicken-derived MØ cell line), and HeLa (human cervical cancer cell line). Our comparison among the cells with and without indirect contact with QELBY® powder showed that this indirect contact significantly (i) increased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up to 1.36-fold) regardless of the cell type (p < 0.05), (ii) decreased the intracellular concentration of ATP in HeLa cells but not in the MØ-derived cells (p < 0.05), and (iii) protected DNA from damage during oxidative stress according to a standard comet assay (single-cell alkaline gel electrophore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mply that indirect contact with QELBY® powder can make cells more metabolically active by increasing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by alleviating DNA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 KCI등재

        동사에 접속하는 “모노다(ものだ)”의 의미와 기능 -의미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방윤형 ( Bahng,Yoon-hyu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7 日語日文學硏究 Vol.102 No.1

        본 논문은 동사에 접속하는 “모노다(ものだ)”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의미 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분석, 고찰 한 것이다. 동사에 접속하여 모달리 티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모노다(ものだ)”에 대해서는 종래에 연구사례가 많이 있으나, 실제의 예문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물체에서 추상화되는 이행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는 종래에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인 물 체를 나타내던 것이 추상화되어 모달리티 형식으로 이행하는 경로에 대하여 연속성의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구체적인 물체에서 추상화되는 이행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구체적인 물체를 나타내는 경우는 “모노다(ものだ)”가 주로 사물명사를 가리키며 구체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모노다(ものだ)”가 작품이나 언어를 나타내는 경우는 의미가 약간 추상화된다. 다음으로 “모노다(ものだ)”가 가리키는 대상이 더욱 추상화되면 제도, 조직, 심리를 나타내게 된다. 계속해서 “모노다(ものだ)”가 어떤 행위를 나타내게 되는 경우가 보인다. 둘째, 모달리티 형식으로의 이행은 다음과 같이 ①본성, 당연을 나타내는 경우, ②당위를 나타내는 경우, ③놀람을 나타내는 경우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모달리티 형식으로 이행한 경우는 “모노다(ものだ)”의 형태가 고정화되며 특별한 의미와 기능을 획득했다고 말할 수 있다. 특히 ③놀람을 나타내는 경우는 부사와의 공기가 특징적이며 구문적으로 제약이 생긴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동사에 접속하는 “모노다(ものだ)”는 구체적인 물체 에서부터 모달리티 형식으로의 이행이 확인가능하며, 이 이행에는 연속성이 보 인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monoda” connected with a verb using derivative relationships. A lot of research were previously conducted about the "monoda" which shows a modal meaning by connecting to a verb. However, little research examined the transition from a concrete object to an abstraction by analyzing actual example sentences. In this paper, our goal is to describe the transition from a concrete object to a modality form in terms of continui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bstraction transition from a concrete objec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representing a concrete object, "monoda" refers mainly to nouns and has specificity. And if "monoda" expresses a work or a language, the meaning becomes a little abstract. Next, when the object pointed to by "monoda" is further abstracted, it represents institution, organization, and psychology. There is a case in which "monoda" continues to represent an action. Second, the transition to the form of modal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s follows: ① to express natures and naturally, ② to express obligation, and ③ to express surprise. In the case of transition to the modality form, the form of "monoda" is fixed and special meaning and functions are obtained. Especially when the transition represents ③ surprise, it is characteristically used together with an adverb and it generates a syntactic restriction. In conclusions, it is confirmed the transition from specific objects to the modality format, which is connected with a verb, and this transition also shows continu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