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독서토론에 관한 연구:‘신호등 토론’을 응용한 방식을 중심으로

        정효진(Jeong Hyo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신호등 토론을 응용한 방식을 통하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독서토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2학기 Google Meet로 진행된 D 대학 교양 필수 교과목인 ‘독서와 토론’ 수강생을 대상으로 신호등 토론을 응용한 방식을 적용하였다. 결과 토론 내용을 분석한 결과 ‘비형식적 논증 형태의 활용’, ‘논제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참여 형태 변화’, ‘상대방 주장에 대한 반박 논거 생성의 부족’ 등의 특징이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토론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았고, 실시간 원격수업 환경에서의 독서토론은 ‘논리, 주장, 설득, 반론, 근거’보다 ‘공감, 경청, 소통, 이해, 상호작용’이 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숙의를 구성하는 5가지 요소 중 ‘참여도 및 상호작용성’, ‘다양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고, 숙의는 합의 지향적 관점보다 협력 지향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를 통하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독서토론을 위한 지향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effective reading discussion methods in realtime remote learn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traffic light discussion.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a method of applying traffic signal debate on students of ‘reading and discussion,’ a liberal arts mandatory subject in D University conducted through Google Meet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bate contents, characteristics as ‘utilization of informal argumentative forms,’ ‘changes in the form of studen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opic for discussion,’ and ‘lack of rebuttal argument for other party s argument’ have appear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discussion was high, and it was identified that ‘sympathy, listening courteously,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interaction’ are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factors than ‘logic, contention, persuasion, counterargument, and basis’ in reading discussion in the realtim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Also, it was identified that ‘degree of participation and interactivity’ and ‘diversity’ are considered most importantly among the 5 elements of deliberation, and it was identified that people consider that it is desirable to view deliberation from a cooperation-oriented perspective than agreement-oriented perspective. Conclusions This study discussed the pointing spot for effective reading discussion in realtime remote learning.

      • KCI등재

        <6ㆍ25 전쟁> 토론수업에 나타난 예비 역사교사의 역사인식 사례 연구-유엔군의 38선 이북으로 북진에 대하여-

        김수미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7 No.-

        This case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ognition of pre-service history teachers participating in classroom debates on the UN forces’ moving north of the 38th parallel during the 6ㆍ25 War, which used to be regarded unquestionable. The analysis highlights the following findings and implications. First, the participants share the historical cognition that North Korea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6ㆍ25 War and that the liberal democratic system is superior to the communist one. Mostly, the participants attribute the existence of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grateful involvement of the UN forces in the war, whereas they have mixed views on the legitimacy of the UN forces’ moving north. Also, the participants articulate the historical cognition against any unification via armed forces in reference to the pre-war stance of Syngman Rhee advocating a preemptive strike on North Korea. Second, as for the benefits of classroom debates on historical events, there is a shift in the historical cognition among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who corroborate arguments with compelling evidence while contemplating and discussing diverse evidence-based arguments and interpretation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ird, beneficial classroom debates should be underpinned by participants’ profound appreciation of historical contents and contexts. Despite the challenge of raising questions about the legitimacy of the UN forces’ moving north during the 6ㆍ25 War given the awkward reality of our divided nation, it seems worthwhile for pre-service history teachers to engage in classroom debates with compelling evidence-based arguments about historical events that used to be deemed unquestionable. 이 연구는 6ㆍ25 전쟁 과정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였던,‘유엔군의 38선 이북으로 북진’에 대하여 예비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토론수업을 진행하고, 이 토론수업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예비 역사교사의 역사인식을 살펴본 사례 연구이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6ㆍ25 전쟁의 책임은 우선적으로 북한에 있고, 자유 민주주의 체제가 우월하다고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예비 역사교사는 유엔군의 전쟁 개입은 현재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고마운 존재로 인식하는 반면, 유엔군의 38선 이북으로 북진의 정당성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가 나누어졌다. 또한 전쟁 전 이승만의 북진 통일 주장에 대해서는 무력을 이용한 통일은 반대한다는 역사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토론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역사 토론수업의 효용성에 대한 부분이다. 자신의 주장을 설득력 있게 입증하고 나와 다른 주장의 근거에 대해서도 사유해 보는 토론을 거치면서 다양한 해석을 살피면서 역사인식이 실제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효용성 있는 토론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역사내용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분단국가의 특수성이 있는 상황에서 6ㆍ25 전쟁 당시‘유엔군의 북진 정당성’문제에 의문을 던진다는 것에 부담감이 있었다. 그러나 당연하게 생각했던 것을 논제로 삼아 근거를 찾아 설득하는 토론수업 경험은 역사교사를 지망하는 예비교사에게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