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독서토론에 관한 연구:‘신호등 토론’을 응용한 방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Reading Discussion in Realtime Remote Learning: focusing on a method that applied ‘traffic signal deb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6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신호등 토론을 응용한 방식을 통하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독서토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2학기 Google Meet로 진행된 D 대학 교양 필...

      목적 본 연구는 신호등 토론을 응용한 방식을 통하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독서토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2학기 Google Meet로 진행된 D 대학 교양 필수 교과목인 ‘독서와 토론’ 수강생을 대상으로 신호등 토론을 응용한 방식을 적용하였다. 결과 토론 내용을 분석한 결과 ‘비형식적 논증 형태의 활용’, ‘논제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참여 형태 변화’, ‘상대방 주장에 대한 반박 논거 생성의 부족’ 등의 특징이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토론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았고, 실시간 원격수업 환경에서의 독서토론은 ‘논리, 주장, 설득, 반론, 근거’보다 ‘공감, 경청, 소통, 이해, 상호작용’이 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숙의를 구성하는 5가지 요소 중 ‘참여도 및 상호작용성’, ‘다양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고, 숙의는 합의 지향적 관점보다 협력 지향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를 통하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독서토론을 위한 지향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effective reading discussion methods in realtime remote learn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traffic light discussion.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a method of applying traffic signal debate on stud...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effective reading discussion methods in realtime remote learn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traffic light discussion.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a method of applying traffic signal debate on students of ‘reading and discussion,’ a liberal arts mandatory subject in D University conducted through Google Meet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bate contents, characteristics as ‘utilization of informal argumentative forms,’ ‘changes in the form of studen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opic for discussion,’ and ‘lack of rebuttal argument for other party s argument’ have appear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discussion was high, and it was identified that ‘sympathy, listening courteously,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interaction’ are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factors than ‘logic, contention, persuasion, counterargument, and basis’ in reading discussion in the realtim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Also, it was identified that ‘degree of participation and interactivity’ and ‘diversity’ are considered most importantly among the 5 elements of deliberation, and it was identified that people consider that it is desirable to view deliberation from a cooperation-oriented perspective than agreement-oriented perspective. Conclusions This study discussed the pointing spot for effective reading discussion in realtime remote lear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숙희,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전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75-194, 2012

      2 서미경,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독서토론 수업의 모형" 7 : 103-126, 2011

      3 류성진, "전자게시판 토론 참여자의 토론 능력과 숙의적 토론과의 관계" 언론정보연구소 44 (44): 5-36, 2007

      4 이하준, "자기이해로서의 독서와 교양독서교육 비판" 새한철학회 101 (101): 139-161, 2020

      5 손혜숙, "읽기·말하기·듣기·쓰기를 연계한 통합형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중앙대 <독서와 토론> 강의사례를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58 : 401-431, 2014

      6 김현석, "인터넷 정치 토론의 담론적 특성" 한국언론학회 51 (51): 356-384, 2007

      7 김병철, "인터넷 신문 댓글의 상호작용성 특성 분석" 14 : 147-180, 2004

      8 원용진, "인터넷 공론장의 현실적 기술(記述)을 위한 이론적 제안 : 의사소통적 ‘합의’에서 '협력'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8 (18): 71-109, 2010

      9 이종혁, "인터넷 게시글의 숙의적 요인과 이념 일치성이 토론 참여자들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추천/비추천 예측모델 분석" 한국방송학회 27 (27): 186-226, 2013

      10 박재현, "인지적 공감을 촉진하는 교육토론의 기제" 한국국어교육학회 (121) : 37-66, 2019

      1 강숙희,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전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75-194, 2012

      2 서미경,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독서토론 수업의 모형" 7 : 103-126, 2011

      3 류성진, "전자게시판 토론 참여자의 토론 능력과 숙의적 토론과의 관계" 언론정보연구소 44 (44): 5-36, 2007

      4 이하준, "자기이해로서의 독서와 교양독서교육 비판" 새한철학회 101 (101): 139-161, 2020

      5 손혜숙, "읽기·말하기·듣기·쓰기를 연계한 통합형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중앙대 <독서와 토론> 강의사례를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58 : 401-431, 2014

      6 김현석, "인터넷 정치 토론의 담론적 특성" 한국언론학회 51 (51): 356-384, 2007

      7 김병철, "인터넷 신문 댓글의 상호작용성 특성 분석" 14 : 147-180, 2004

      8 원용진, "인터넷 공론장의 현실적 기술(記述)을 위한 이론적 제안 : 의사소통적 ‘합의’에서 '협력'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8 (18): 71-109, 2010

      9 이종혁, "인터넷 게시글의 숙의적 요인과 이념 일치성이 토론 참여자들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추천/비추천 예측모델 분석" 한국방송학회 27 (27): 186-226, 2013

      10 박재현, "인지적 공감을 촉진하는 교육토론의 기제" 한국국어교육학회 (121) : 37-66, 2019

      11 이영주, "이러닝 환경에서 대리적 상호작용 교수 설계 원리 및 전략에 대한 이론적 탐색" 원격교육연구소 14 (14): 29-50, 2018

      12 장은정, "웹기반 협력학습 환경에서 대리적 학습을 통한 학습효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137-166, 2008

      13 유병민, "웹기반 토론 활동이 초등학생 토론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39 (39): 135-156, 2008

      14 박소영, "웹 기반의 통합적 독서토론 수업 모형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295-332, 2020

      15 정재삼, "웹 기반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 관련 요인의 효과 분석" 16 (16): 107-135, 2000

      16 노명완, "웹 게시판을 이용한 독서 토론에서의 학습자 반응 양상 분석" 한국독서학회 (20) : 171-199, 2008

      17 유미나,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학습분석기반 대시보드 유형이 학습자들의 그룹토론 참여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17-126, 2020

      18 서현진, "온라인 토론학습 경험이 합리적 대화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31-52, 2016

      19 박근영, "온라인 공론장에서 토론이 합의와 대립에 이르게 하는 요인 분석: 개방형 공론장과 커뮤니티 공론장의 토론 숙의성 비교" 한국언론학회 58 (58): 39-69, 2014

      20 김경년, "오마이뉴스 독자의견 분석:‘난장으로서의 공론장’가능성 탐색" 한국방송학회 19 (19): 7-41, 2005

      21 윤석빈, "언어공동체 존재의 토대로서 실존적 대화" 대한철학회 149 : 297-341, 2019

      22 이영준,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버즈 학습의필요성" 20 (20): 457-458, 2012

      23 이동훈, "숙의적 공론장으로서 블로그 공간의 의사소통적 관용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3 (53): 27-49, 2009

      24 윤영철, "숙의민주주의를 위한 온라인 토론의 조건 : 평가지표를 적용한 온라인 토론 비교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121-172, 2010

      25 장덕근, "숙의를 지향하는 사회과교육에 대한 이론적 검토"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7 (27): 19-32, 2020

      26 이종혁, "숙의(deliberation) 관점에서 본 인터넷 토론 게시판과 글 분석:의견 조정성 예측을 위한 다수준모델(multi-level model) 검증" 한국언론학회 56 (56): 405-435, 2012

      27 박승관, "숙의 민주주의와 시민성의 의미" 45 (45): 162-194, 2000

      28 차경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08

      29 오현철, "사회과 ‘논쟁 문제’ 수업 개선을 위한 제언 - 토의민주주의 경험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14 (14): 125-164, 2016

      30 임고운, "비실시간 온라인 그룹토론활동에서 피드백 유형에 따른 학습자들의 성찰 수준 탐색" 한국교육학회 59 (59): 31-62, 2021

      31 진성희,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 지원 피드백 시스템 개발 및 사용성 평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67-893, 2020

      32 김현정, "배심원 토론 모형에 기반을 둔대학 토론 교육 방안"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301-320, 2016

      33 박기철, "바람직한 토론문화를 위한 토론대회의 패러다임 전환 제안" 한국소통학회 (14) : 177-212, 2010

      34 박현희, "민주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토론대회 토론모형의 구성 방안-심의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1 (11): 65-104, 2018

      35 이은주, "독서토론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덕성여대 ≪독서와 표현≫ 강좌에서 참고자료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141-158, 2010

      36 이승규, "독서를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 방안"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191-216, 2020

      37 이순옥, "대학인을 위한 고전독해 및 토론 수업 방안 :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중심으로" 6 : 61-102, 2013

      38 오현진, "대학생 독서 토론을 위한 논제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 - 조선대 사례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50) : 339-371, 2015

      39 김양선, "대학 독서 토론 교육의 모형 연구 -텍스트 읽기, 말하기, 쓰기 통합 모형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3) : 27-50, 2009

      40 이원봉,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고전독서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0 (10): 115-142, 2017

      41 김수현, "대학 교양 독서교육에서 독서토론의 지향" 청람어문교육학회 (77) : 157-184, 2020

      42 한래희, "대학 교양 고전 교육과 상호텍스트성의 활성화 -읽기, 토론, 쓰기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50) : 383-423, 2013

      43 이재성, "다양한 토론 방식을 적용한 <독서와 토론> 수업 모형의 토론 자기 효능감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247-268, 2010

      44 김지윤, "다매체시대 효율적 토론 수업 연구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 모델 비교와 그 의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3 (13): 213-252, 2020

      45 김윤주, "논리적 사고와 토의력 증진을 위한 웹기반 독서 교육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3 (3): 94-102, 1999

      46 구임주, "내용 생성을 위한 토의·토론식 수업 모형 연구 : 내용 교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7 최종환, "극한 질문으로 바라보는 토론 교육의 의미 : 글쓰기 수업 클래스의 ‘동기부여’ 피드백을 중심으로" 2018 (2018): 13-33, 2019

      48 김병구, "교육토론의 내적 원리 연구 -교육토론 모형을 활용한 대학 토론 교육의 구조화 방안을 중심으로-" 시학과언어학회 (22) : 71-100, 2012

      49 이선영, "교실 토론을 위한 토론 형식의 이해와 수업 적용 방안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2) : 199-230, 2013

      50 오연주,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 토론수업에서 학생들은 왜 말하지 않는가?"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121-136, 2010

      51 고원, "공감과 소통의 토론 교육과 연구 과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4 (4): 103-122, 2011

      52 정인모, "고전읽기를 활용한 수업모형"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1-74, 2013

      53 이황직, "개방형 논제 제시 독서토론 모형 연구" 한국독서학회 (17) : 311-332, 2007

      54 한승우, "大學 敎養敎育으로서의 讀書討論 授業運營 方案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2 (42): 333-356, 2014

      55 서정혁, "‘찬반 대립형 독서토론’ 모형 연구- 교보ㆍ숙명 전국독서토론대회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21) : 257-284, 2009

      56 Dixon, C. S., "The three E’s of online discussion" 15 (15): 1-8, 2014

      57 Marcus, G. E., "The sentimental citizen : Emotion in democratic politic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02

      58 Sutton, L. A., "The principle of vicarious interac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s" 7 (7): 223-242, 2001

      59 Dalberg, L., "The internet and democratic discourse : Exploring the prospects of online deliberative forums extending the public sphere" 4 (4): 615-633, 2001

      60 Cohen, J., "The Good Polity" Blackwell 17-34, 1989

      61 Gamson, W. A., "Talk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62 Fox Tree, J. E., "Overhearing single and multiple perspectives" 45 : 160-179, 2008

      63 Tolins, J., "Overhearers use addressee backchannels in dialog comprehension" 40 : 1414-1434, 2016

      64 송창석, "Metaplan을 이용한 새로운 토론 교육 방법에관한 소고" 8 : 65-84, 2003

      65 Fox Tree, J. E., "Listening in on monologues and dialogues" 27 : 35-53, 1999

      66 Young, I. M., "Inclusion and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67 Ferree, M. M., "Four models of the public sphere in modern democracies" 31 : 289-324, 2002

      68 Samuelsson, M., "Education for Deliberative Democracy and the Aim of Consensus" 26 (26): 1-9, 2018

      69 Kelly, T. E., "Discussing Controversial Issues : Four perspective on the teachers’ role" 25 (25): 113-136, 1986

      70 Gutmann, A., "Democracy and Disagreement" Belhnap Press 1996

      71 Fishkin, J. S., "Democracy and Deliberation : New Directions for Democratic Reform" Yale University Press 1991

      72 Sanders, D., "Against deliberation" 25 : 347-376,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