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율(律)의 개변(改變)가능성과 <승려법(僧侶法)>의 당위성 검토

        염중섭(Jung Seop You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1

        붓다가 제창한 불교교리는 진리를 내포한다는 점에서 通時적이다. 그러나 律과 같은 경우는 배경문화와 사회성이 반영된다는 점에서 단순히 固守될 수만은 없는 가치이다. 그럼에도 敎祖의 권위와 관련해서 율은 변화되기 어렵다는 인식이 존재해왔다. 이로 인하여 문화권이 다른 동북아의 僧團은 唐나라에 오게 되면서, 중국문화권에기초한 淸規를 성립하게 된다. 즉, 戒律에 의해서 출가하지만, 생활은 청규라는 현실적인 부분으로 영위하는 이중구조를 보이게 된 것이다. 여기에 大乘佛敎의 『梵網經』이 더해지면서 상황은 보다 복잡해지게 된다. 즉, 승려생활과 관련된 서로 다른 3중의 가치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현대에 와서는 오늘날의 실정에 기초한 <僧侶法>이 추가된다. 하나의 출가승단에 4가지의 기준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은, 가치관의 혼란을 초래하고 상황에 따른 이해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를 내포한다. 본고는 이 문제의 해소를 위해 율의 개변과 관련된 붓다의 근본정신을 고찰하고, 이의 타당한 해법에 관하여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서 우리는 붓다와 승단에 있어서의 율이란, 단지 수단이지 결코 목적이 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게 된다. 또 현대라는 빠른 변화양상과 다양성의 사회에서 불교적인 기준을 어떻게 확립해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함께고민해보게 된다. 불교의 생명은 깨달음에 있다. 그러나 승단의 운영과 관련해서는 기준의 명확성이 무엇보다도 더 절실한 가치가 된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다종교 사회에서 기준의 명확성은 승단의 청정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타종교에 대한 우위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측면이라고 하겠다. The Buddhist dogma established by Buddha is diachronic in that it contains the truth. But, as vinayas are reflecting the background culture and the social nature, they cannot be maintained unconditionally. Despite it, there has been an idea that vinayas cannot be changed anyway for they are in relation with the authority of originator. Due to this, as the monk groups went into Tang Dynasty from other North East Asia with different culture, cheonggyu(淸規) or Chinese regulation based on the Chinese culture came to be established. Thus, there happened a two-layered structure that monks left their homes according to vinayas but led their actual life according to cheonggyu. When <Brahmajala Sutra> of Mahayanist Buddhism was added to it, the situation became more complex. That is, there came to exist triple different value systems in relation with monks` life. Furthermore, nowadays the monks law is added based on the present situation. The fact that 4 criteria are applied to one monk group has a serious problem, for it may cause the confusion of value systems and the understanding may diffe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For such a problem, this paper considers Buddha`s fundamental intention about the modification of vinaya, trying to find out the best solution of it. With this effort, we can clearly find that the vinaya was not a goal but a means in Buddha and the monk group. And we can think of how the Buddhist standards can be established in the modern society with fast changes and diversities. The essence of Buddhism is the awakening. But, in the operation of monk group, what is most valuable is the clarity of standard. Especially, in the multi-religion society like modern age, the clarity of standard is very important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monk group and the superiority to other religions.

      • KCI등재후보

        장서각 소장 불교 典籍文化財의 書誌 연구

        남권희(Nam, Kwon-heui)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장서각 Vol.0 No.29

        이 글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불교문헌 중 문화재로 지정된 자료 7종을 대상으로 하여 서지적 고찰을 연구한 것이다. 7종의 대상 문헌 중 5종은 고려시대 목판 간행본이며 2종은 조선시대의 간행본으로 언해본과 한글 口訣本이다. 이 중에 한글 구결본인 『圓覺經』은 금속활자 乙酉字로 찍은 판본이다. 7종을 대상으로 형태서지적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華嚴經疏』는 중국에서 수입된 목판에서 인출한 책으로 국내에 전본은 많지만 일관된 집서는 없으며 장서각본과 같은 帙에서 흩어진 책들이 여러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둘째, 『藥師經』은 의천의 교장판들과 형태적으로 유사하다. 셋째, 『梵網經』은 본문 중에 고려시대 때 이 책을 보면서 달았던 구결이 기록되어 있다. 넷째, 『直指』는 청주의 흥덕사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한 다음 해인 1378년에 여주의 취암사에서 간행된 책이다. 다섯째, 『大佛頂?羅尼』는 五大眞言의 일부분으로 고려 말경에 간행되었는데, 이 책은 완전본이 아니라 책의 한 부분을 독립하여 제본한 것이다. 여섯째, 조선시대에 간행된 언해본 『楞嚴經』은 간경도감에서 다시 목판으로 간행한 것으로 내용과 판각, 인쇄상태가 양호하다. 일곱째, 한글 구결본 『圓覺經』은 세조가 직접 구결을 달고 을유자로 간행한만큼 수준 높은 판본이라 할 수 있다. 장서각 소장 불경들은 책의 편찬과 전래 등 다양한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고려 중기로부터 조선 전기에 이르는 佛敎史 및 書誌史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t with 7 kinds of buddhist books in Jangseogak archive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y were designated as national cultural asset. Among 7 kinds of literature, 5 kinds were published in Goryeo dynasty, 2 were in Joseon period which have Korean annotation and Kugyol. The book has Kugyoul is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圓覺經) was printed Yeolyoo (乙酉) metal type. Analysis of 7 books in the point of physical bibliography are like these ; 1. Whauemgyungso (華嚴經疏) is the book which was printed with the woodblocks that have been carried from China to our country. Therefore many copies remain in various institutions of Korea to the present. But they are mainly missing volume like the edition in Jangseogak Archives. 2. The Scripture of the Bhaisajyagura Budda (藥師經) was in similar shape and format that of various Buddhist books compiled by monk Euichun (義天; 1055~1101). 3. The Brahmajala Sutra (梵網經) has some marks that were written by the people who have read the book at that time, that is called ‘Kugyo l(口訣)’ 4. Jikji (直指) in Jangseogak Archives engraved in 1378 of Goryeo dynasty was the edition of Chiam temple (鷲巖寺版) at Yeoju (驪州) in Gyunggi provinces. 5. Daebuljungdharani (大佛頂?羅尼) was published in late Goryeo which also was a part of Odaejinun (五大眞言), but the Dharani was bound separately from the original book. 6. The Hangeul edition of The Surangamasutra (楞嚴經) in Joseon period was in good shape which was re-engraved at Gangyungdogam (刊經都監). 7. The Kugyol in the edition of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圓覺經) was written by King Seojo personally, so it is estimated in top value at the present. Resultingly, Buddhist literature in Jangseogak archives was regard important materials which let us know about various background and knowledge in Buddhism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