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령세례의 신학적 의의에 대한 고찰 마틴 냅(M. Knapp)과 윌리엄 갓비(W. Godbey)를 중심으로

        최인식 ( In Sik Choi ) 한국조직신학회 201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3 No.-

        This thesis is about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We methodologically deals with it in three directions. Firstly, we typologically approach the existing various theories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You can find two grand types, such as experience-oriented type of the Evangelical churches and dogmaoriented type of the Reformed churches. Secondly, we historically handle the American ecclesiastical contexts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in which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was most actively debated and practiced in the church history. Especially, the ideas of Martin Knapp and William Godbey on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are studied in detail. As leaders of the Holiness Movement they enthusiastically founded theology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in spite of the oppression of the ecclesiasticism in terms of the Episcopal Methodist Church in America. Finally, we theologically investigate the meanings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ey are to divide in three areas, such as ecclesiastical, soteriological, and ethical area in terms of the church renewal. The ecclesiastical meaning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is that the essential identity lies exclusively on Jesus Christ. Because the subject of the Spiritual baptism is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is sent by Him for the purpose of the witnessing Jesus Christ. Its soteriological meaning is revealed with the incarnation of the Holy Spirit. That means Holy Spirit dwell in believer through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Since then the sanctification finally starts in believer. In addition, we find its ethical meaning in his or her act of resistance against all kinds of secular or ecclesiastical humanism. It defies the true identity of Jesus-centered Spiritual community of the church. In its final analysi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believers or Christian communities should experience the incarnation of the Holy Spirit through the Pentecostal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whether it happens on the regeneration or after.

      • 개혁주의 성령론과 오순절주의 성령론 비교

        배승언 베뢰아학회 2007 베뢰아논단 Vol.2 No.1

        The christian faith always is aopposed to the atheistic ideas and scientific almighty ideas. We christians have an invaluable responsibility to give the apology and the evidence that what are our knowledge and faithful basic for the God, to the unbeliefs and the atheists and the unchristians. Therefore this study for the understanding of Pneumatology is comperatively discussed of the Reformed Churches' and the Pentecostal Churches' Pneumatology. The believers deal well with the services and works through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and then have fruits of the Holy Spirit. They distinguish between the regeneration and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d identify the baptism with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s regarded as the above levelled experience after the experience of the baptism in the Holy Spirit. Therefore, it is identified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with the regeneration and is distinguished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from the baptism in the Holy Spirit. In the Pentecostal theology, it is more interested in the power and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but in the Reformed theology is more interested in the santification and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If everyone seeks the baptism on the Holy Spirit, the Holy Spirit is fully filled to him at once. The duty that seeks the more full indwelling of the Holy Spirit wholly is laid to the human beings, but at the same time to give the Holy Spirit to the human beings is utterly depend on the God. The person guided by the Holy Spirit makes the fruits of the Holy Spirit. The person with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s the person with the fullness of love. The churches with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are the churches with the fullness of love. The first fruit of the Holy Spirit is love. It is nothing that the human beings have to help to the works of God, God only guides all the things entirely. Although the human beings have their all responsibility, God's gospel would have become His grace for grace to His sons and daughters because God only gives to His sons and daughters all His powers.

      • KCI등재후보

        성령세례와 중생을 구분하는 로이드 존스의 주장에 대한 반론

        김향경(Kim, Hyang Kyung)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4 No.-

        로이드 존스는 성령세례와 관련하여 자신의 신학여정을 소개하면서 예전에는성령의 인침은 회심과 동시에 일어난다고 생각했으나−1950년대 중반에 행한 에베소서 강해설교에서부터−성령의 인침과 회심은 명확히 구분된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즉, 성령의 구원사역과 성령세례를 분리시켜 설명하면서 믿음으로 신자가되는 것과 성령으로 세례를 받는 것은 서로 다른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로이드 존스는 신자가 되었다고 해서 동시에 반드시 성령세례도 받게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견해를 밝혔다. 그는 구원사역은 성령의 사역이지만 성령세례는 그리스도의사역이라고 하며 중생과 성령세례를 분리시키고 있다. 즉, 성령세례는 우리의 구원과 관련된 문제가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사역과 관련된 문제라고 강조한다. 그렇기때문에 성령세례의 목적을 “사람에게 권능으로 충만히 채워서 그리스도의 더 좋은증인이 되게 하는 것”이라고 규정한다. 여기서 그는 신자가 되기 위해 중생되는 것과 신자로 살아가기 위해 성령세례를 받아야 하는 것이 별개의 것들로 보고 있음을알 수 있다. 믿음만으로도 곧 중생만으로도 주님의 놀라운 권능을 드러낼 수 있고 주님의 능력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로이드 존스는 성령세례와 중생의 구별을주장하기 위해 많은 부분에서 개혁주의 신학과 다른 주장들을 하지만 그 주장들은무리가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 논문을 통해 중생은 성령주심이고 성령주심이곧 성령세례임을 증명하게 되었다. 하지만 로이드 존스는 성령의 나타남이 없는 영국교회의 현실을 보면서 설교자로서 성령의 임재를 중요시했다. Lloyd-Jones introduced his journey of theology related to the baptism of the Spirit. He said that although at first he thought that the seal of the Holy Spirit coincides with conversion, but later, from the expository sermon of Ephesians in the half of 1950, he realized that the seal of the Holy Spirit is separated from conversion. He claimed that while he dissociate the Holy Spirit s work of salvation from the baptism of the Spirit, being a believer by faith is different from being baptized with the Holy Spirit. Therefore, Lloyd-Jones expressed his view that whoever becomes a believer does not mean that he is necessarily given the baptism of the Spirit. He separated regeneration from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by saying the work of salvation i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s the work of Christ. He emphasized that the baptism of the Spirit is related not to our deliverance but to the work of a Christian. We can know that here he sees that being born again to become a believer differs from being baptized with the Spirit. We can reveal and experience the wonderful power of the Lord either only by faith or only by regeneration. As a result, it turns out that Lloyd-Jones asserts the different opinion from the Reformed theology in many ways so that he declared that we must make a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d regeneration but his idea is excessive one. Eventually, it proves in this thesis that regeneration is giving the Holy Spirit and giving the Holy Spirit is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t seems that because he saw the circumstance of the British churches without the appearance of the Holy Spirit, Lloyd-Jones as a preacher emphasized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 KCI등재

        성령세례 논쟁과 그 해결점에 대한 연구

        김현진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5 영산신학저널 Vol.33 No.-

        The core of the controversy of pneumatology has always been the relationship of regeneration and baptism in the Holy Spirit. The traditional evangelical theology considers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as the indwelling of the Holy Spirit as a process of regeneration. The pentecostal theology insists that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is the empowerment of power for the witness of gospel. As we studied the insistenc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in pneumatology such as Max Turner and Robert Menzies, the problem is that each of them lays stress on only one side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The two criticized each other with their own standard and measure, but contradictive problems are still left. In Greek, the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s marked as plhvrhj pneu,mavtoj a,giou which means the inward work of the Holy Spirit and plhvqhj pneu,mavtoj a,giou which means the outward work of the Holy Spirit. When we change a contrary view on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into an integrative view through the usage of the Greek terminology, we are able to solve the controversy of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The inward work of the Holy Spirit is related to the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whereas the outward work of the Holy Spirit is related to the empowerment of power. Both of them are the same works of the Holy Spirit. Regeneration is the inward work that the Holy Spirit endows salvation and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is the outward work that the Holy Spirit allows a power for the witness of the gospel.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is an empowerment of power for the witness of gospel to the regenerated believers. Through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we are able to promote a development of balanced pneumatology. 성령론의 논쟁의 핵심은 항상 중생과 성령세례의 관계성 문제이다.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해 성령세례에 대한 전통적 복음주의 신학의 주장과 오순절주의 신학의 주장을 열거하고, 최근 주요 학자들의 성령세례 논쟁을 다룬 후에 통합적인 시각에서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전통적 복음주의 신학은 성령세례를 중생과 성화를 위한 입문/회심의 과정으로 보았고 오순절주의 신학은 성령세례를 봉사와 복음 증거를 위한 능력 부여라고 주장해 왔다. 전통적 복음주의 신학은 성령의 내주를 통한 중생과 성화에 치중했고, 오순절주의 신학은 성령을 통한 사역적 능력 부여를 강조해 왔다. 최근의 성령 신학자인 멘지스와 터너의 주장을 각각 살펴본 결과, 문제점은 양자가 성령의 역사의 한 측면에만 치중한 것이었다. 양자는 서로 자신들의 강조점의 잣대로 상대를 비판하였으나 모순된 문제점들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헬라어 원어로 성령의 ‘충만’은 성령의 내적 역사를 의미하는 플레레스와 성령의 외적 역사를 의미하는 플레테스로 표기된다. 이 용법을 통하여 성령세례에 대한 상이한 관점을 통합적 관점으로 바꿈으로써, 성령세례 논쟁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성령의 내적 역사는 궁극적인 구원과 관계있고, 성령의 외적 역사는 사역을 위한 능력과 관계있다. 성령이 중생하게 하시는 내적 역사와 성령이 능력을 주시는 외적 역사는 모두 한 성령의 역사이다. 중생과 성령세례는 분리되지는 않으나 구분되는 역사이다. 중생은 성령이 구원을 주시는 내적 역사이고, 성령세례는 성령이 능력을 주시는 외적 역사이다. 성령세례란 거듭난 신자에게 봉사와 복음 증거를 위하여 주시는 능력의 역사이다. 성령의 내적 역사와 외적 역사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하여 우리는 균형잡힌 성령의 역사를 온전히 이루어 나갈 수 있으며, 성령 신학의 바람직한 발전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오순절에 강림하신 성령에 대한 이해

        정연락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신학지평 Vol.32 No.-

        사도행전의 오순절 성령강림에 대한 이해는 특히 오순절주의자들의 주장으로 많은 논쟁을 촉발하여, 조직신 학자들이나 신약학자들, 그리고 목회자들 사이에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오순절 성령 체헐과 관련하여, '성령 세례' 와 '성령 충만' 은 같은가 다른가? 이 오순절 성령은 구원받은 성도가 받아야 할 소위 '제2차적인 은사' (donum superadditum, an additional gift, a second blessing)인가?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은 단회적인가 영 속적인가? 이런 문제들과 더불어, 오순절에 강림한 성령의 역할은 무엇인가? 등의 문제들이 제기되어왔다. 많이 논쟁이 되어온 문제들이지만,학자들의 논쟁들을 검토하여 정리하기보다 누가복음-사도행전 본문 해석 을 중심으로 문제들을 풀어가고자 한다. 이런 문제들을 풀어가는 데, 먼저 다음 두 가지 관점들을 주목한다. 첫째,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은 병행 구조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기록된 책이기 때문에, 성령세례 사건으로 제 시된 오순절 성령 강림은 예수님의 세례 받으신 사건의 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둘째, 땅 끝까지 예수 그리 스도에 대한 증거가 확산되어가는 과정을 가진 사도행전 구조에 있어서 예루살렘 교회의 위상을 파악하는 것이 사도행전의 성령 이해에 중요하다. 이상의 관점에서 해석해 볼 때, 예수님의 세례사건은 그의 십자가 에 죽으시고 부활하심을 예표적으로 이해하여 그의 세례를 통하여 예수님의 인류 구원사역을 선취적으로 완 성하신 것으로 이해된다. 이를 바탕으로 예수님의 제자들은 오순절 이전에 선취적으로 성령체험을 하고, 오 순절에 실체적으로 성령체험을 한 것으로 이해된다오순절 성령 강림은 일차적으로 성령세례의 경우로 이해 하는데, 그 사건은 또한 성령 충만으로 설명이 되어져야 한다. 이렇게 이중적으로 이해될 때 여러 논란이 사 라진다. 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은 분명히 구별되어야한다. 성령세례는 우리의 구원을 확증하는 의미를 지닌다 . 오순절 성령 강림은 그것의 연원을 생각할 때 단회성을 주장할 수 있지만,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새로운 신 자들마다 성령세례를 받고 성령충만함으로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올바른 사역과 신앙생활을 영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오순절에 강림한 성령의 역할을 한 가지 측면에서 이해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게다가 성령 의 사역을 표현함에 있어서 많은 경우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성령의 역할을 함의하지는 않는지 고려 해야 한다. Understanding the Holy Spirit that came upon at Pentecost has raised some debates among Systematic theologians, Pastors as well as New Testament scholars, Is 'filling with the Holy Spirit' same as 'baptism in the Holy Spint' or not? Is the Pentecostal experience of the Holy Spirit an additional gift as a second blessing to the already-saved believers? Is the Pentecostal experience repeatable or not? What is the role of the Holy Spirit that came upon at Pentecost in Luke-Acts? In this paper, we will not review previous scholarly debates, Instead, we will attempt to examine the major passages to find out the primary role of the Holy Spirit in Luke-Acts, especially the Pentecostal experience. For our exegetical interpretation of the passages, there are two important perspectives. One is that since Luke and Acts are two consecutive works structured in parallel in most part, the Pentecost event in Acts is to be interpreted in parallel with the event of Jesus' baptism m Luke. The other is that the Pentecost event as the prerequisite to the consecutive progress of Acts is to be interpreted in light of the significance of Jerusalem toward the end of the earth As Jesus who had been with the Holy Spint even from his being conceived in his mother did receive the Holy Spirit at his baptism, his disciples who proleptically had experienced the Holy Spirit came to receive the Holy Spirit officially on the day of Pentecost. As the Spirit proleptically recognized Jesus' being crucified and resurrected at his baptism and led Jesus' salvific ministry during his life, the Holy Spirit came upon the believers to proleptically recognize their salvation by the baptism in the Spirit and led their life by their being filled with the Holy Spirit. Thus, the Pentecost event must be taken as both the baptism in the Holy Spirit and the filling with the Spirit but in different senses.

      • KCI등재후보

        영산의 성령충만 복음의 목회적 유익성

        임형근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2 영산신학저널 Vol.26 No.-

        “Baptism in the Holy Spirit” has been known to be a representative term to show the Pentecostal identity. The terminology, however, has brought about unuseful result in terms of pastoral care and Christian living because of doctrinal debates. However, Youngsan’s Gospel of Fullness of the Holy Spirit brings many useful results without destroying the Full Gospel identity. The terminology,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s more suitable to designate present-oriented experience, more useful expression for the unity of the church, an inclusive phrase to cover both gifts and fruit of the Holy Spirit, more useful for Pentecostal worship, and more related to tongues in 1 Corinthians 12-14 which are a useful spiritual gift to help believers pray a long and deep prayer. For these reasons, use of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s better than the terminology of baptism in the Holy Spirit, both in terms of pastoral leading and Christian living. Besides,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s an idea and expression of witnesses to Jesus and practicing the way of the cross. The idea of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s a concept to include both power and transformation, while the idea of baptism in the Holy Spirit is biased to the idea of power. In addition to that, use of fullness of the Holy Spirit fixes the long-held misunderstanding between God’s Word and the Spirit.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s an experience both full of Christ and full of God’s Word. Fullness of the Holy Spirit leads us to desire God’s Word and makes us realize its truth and have confidence in it. Therefore, it is not right to regard the Holy Spirit and the Word of God to be in a conflicting relationship. Finally, the experience of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s an experience to have the Holy Spirit as a mentor. Therefore those who are full of the Holy Spirit can be the best disciples of Christ. It was because Jesus’ disciples were trained and taught so well by the Holy Spirit that they could bear the cross voluntarily. Worship is alive where the Holy Spirit is fully present. The church full of the Holy Spirit has the living Word. Believers full of the Holy Spirit can be true disciples who practice the teaching of the cross. When pastoral usefulness of the use of the term “fullness of the Holy Spirit” is 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er could not but suggest that the Full Gospel Church should use it churchwide as a denominational doctrinal terminology. 전통적으로 “성령침례”라는 용어는 오순절주의자들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용어이다. 그런데 성령침례라는 용어가 교리적으로 논쟁이 많은 용어이므로 그 용어의 사용이 교회와 성도의 신앙에 유익이 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런데 영산이 주장하는 “성령충만”의 복음은 순복음의 정체성을 깨뜨리지 않을 뿐 아니라 목회적으로 여러 가지 점에서 유익한 점이 많다. 그 용어는 현재 지향적인 체험을 지칭하는 표현이며, 교회의 하나 됨에 유익한 표현이며, 성령의 은사와 열매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표현이며, 오순절 교단의 예배에 적합한 표현이며, 개인 신앙생활을 돕는 은사 방언과 연관이 있는 표현이다. 이런 점에서 성령침례라는 표현보다는 성령충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신앙적으로나 목회적으로 유익하다. 또한 성령충만은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십자가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과 직접 연관되는 개념이며 체험이다. 왜냐하면 성령침례가 보다 능력에 치우친 개념인데 비하여, 성령충만은 능력과 인격의 변화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성령충만이라는 용어 사용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서로 대립되는 것으로 오해되어 왔던 성령과 말씀과의 관계를 바로 세워준다. 성령충만의 체험은 그리스도로 충만한 체험일 뿐 아니라 성경 말씀으로 충만하게 되는 체험이다. 성령충만은 말씀을 사모하게 하며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깨달음과 확신을 준다. 그러므로 성령과 말씀을 서로 대립적인 관계로 이해하는 것은 오해이다. 마지막으로 성령으로 충만한 체험은 성령을 멘토로 삼는 체험이다. 그러므로 성령 충만한 자가 가장 훌륭한 그리스도의 제자가 될 수 있다. 예수님의 제자들이 모두가 다 자원하여 그리스도를 위하여 십자가에 못 박히는 제자가 되었던 것은 성령으로부터 제자교육을 잘 받았기 때문이다. 성령의 임재가 충만한 곳에 예배가 살아 있으며, 성령충만이 있는 교회에 말씀이 살아 있고, 성령 충만한 성도가 십자가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그리스도의 참제자가 된다. 목회적으로 신앙적으로 성령충만이라는 용어 사용의 유익성을 생각할 때 순복음교회는 성령충만이라는 용어를 교단의 교리적인 용어로 사용할 것을 적극 제안한다.

      • KCI등재

        만국성결교회(International Holiness Union, 1897) 전통의 성령세례 이해: 마틴 냅(Martin Wells Knapp)과 윌리엄 갓비(William B. Godbey)를 중심으로

        오성욱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5 영산신학저널 Vol.35 No.-

        This article is aiming at investigating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understood by Martin Wells Knapp (1853-1901) and William B. Godbey (1833-1920) of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 Prayer League (1897) and International Apostolic Holiness Union (1900). To do this, this article surveys five theological paradigms of the Pentecostal-Holiness movement in the 19th revival era of the North America suggested by Donald Dayton, and then strives to find which one of Dayton’s paradigms can match Knapp and Godbey’s hermeneutics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In addition to this broad approach, this article will move to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nature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perceived by Knapp and Godbey. Dayton categorizes the 19th Pentecostal-Holiness movement in America as follows: (1) the exact equality between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d Holiness, suggested by the mainline holiness movement, (2) Threefold blessing movement, (3) interpretation of the Holy Spirit as receiving the power from God, (4) Keswick movement, and (5) A. B. Simpson’s Fourfold Gospel. Of these five classification, Knapp and Godbey’s interpretation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belongs to the mainline holiness movement. In more detail, Knapp and Godbey’s understanding of the baptism with the Holy Spirit both reveals the Trinitarian, soteriological, eccle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mphasizes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본 논문은 만국성결교회의 마틴 냅(Martin Wells Knapp, 1853-1901)과 윌리엄 갓비(William B. Godbey, 1833-1920)가 이해했던 성령세례의 특징과 의미를 탐구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냅과 갓비의 성령세례를 분류하고 규정함에 있어서, 도날드 데이턴(Donald W. Dayton)이 제출한 19세기 북미 오순절-성결운동의 다섯 가지 패러다임을 고찰해 보고, 냅과 갓비의 성령세례는 데이턴의 분류 중에서 어디에 소속될 수 있는지를 규명해 볼 것이다. 이러한 원시적(遠視的)인 차원에서 냅과 갓비의 성령세례의 특징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고 난 후, 근시적(近視的)으로 냅과 갓비의 저서를 주밀하게 탐색하여 이들이 이해하고 있는 성령세례에 대한 세밀한 특징들을 밝혀 볼 것이다. 데이턴은 19세기 북미 오순절-성결운동을, 성령세례를 성결과 능력으로 간주했던, 전통적인 성결파 패러다임, 성결을 성결과 성령세례로 분리해서 사유한 세 가지(삼중) 축복 패러다임, 성령세례를 봉사를 위한 능력으로 이해했던 개혁교회 부흥운동 패러다임, 케직 운동의 패러다임, 그리고 심슨의 사중복음 패러다임으로 분류했다. 이 중에서 냅과 갓비의 성령세례 이해는 전통적인 주류 성결파 패러다임으로 묶을 수 있다. 즉, 냅과 갓비는 성령세례를 성결로 이해했고, 이는 곧 능력이라고 이해했다. 이러한 주류 성결파의 성령세례 이해는 보다 구체적으로, 심위일체론적 시각, 구속론적 시각, 교회론적 시각, 그리고 성령의 열매론적 시각을 담보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본 고전적 오순절주의의 성령침례론

        임형근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1 영산신학저널 Vol.21 No.-

        To help understand the classical doctrine of baptism in the Holy Spirit, the paper has surveyed a historical background. The paper revealed that it was John Wesley’s contribution to separate baptism in the Holy Spirit from regeneration. Though Wesley did not distinguish baptism in the Holy Spirit from regeneration, his schema that saw entire sanctification as the second work of God’s grace influenced classical Pentecostals’ thought. When the theme of entire sanctification/holiness crossed over to the North America,the idea of power was added to it. As the time went by, the aspect of controversy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holiness to power changed. In the beginning the idea of power was thought to be accompanied by the theme of holiness. Gradually the two motifs becam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 run, three stage theory of regeneration-holiness-power (baptism in the Holy Spirit and tongues) came into being. This was the early form of classical Pentecostal doctrine of baptism in the Holy Spirit. Representatives for this view were Charles Parham and William Seymour. Later William Durham insisted two stage theory of regeneration-baptism in the Holy Spirit by educing sanctification to regeneration. It was owing to Reformed revivalists who were influenced by the Keswick Movement. Generally the following conclusion may be brought to concerning abou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lassical Pentecostalism and its growth. Though the Classical Pentecostal Movement arose in the soil and atmosphere of the Wesleyan Holiness Movement, the theological root of its doctrine of baptism in the Holy Spirit is better sought in the theology of the Reformed revivalists whose teaching on sanctification and baptism in the Holy Spirit were more or less related to or influenced by Keswick Movement. 고전적 오순절주의의 성령침례론을 이해하기 위하여 발제자는 역사적인 배경을 살펴보았다. 구원과 성령침례를 별개의 사건으로 구별하여 이해하는 도식은 거슬러 올라가면 존 웨슬리의 공헌이었다. 웨슬리는 비록 성령침례를 구원과 구별되는 별개의 사건으로 보지 않았지만 성화(완전성화)를 구원과 구별되는 두번째 하나님의 은혜의 역사로 본 도식은 나중에 고전적 오순절주의자들의 사고에 영향을 미쳤다. 웨슬리가 강조한 성화와 성결의 주제가 미국으로 건너오게 되자 거기에 능력이라는 주제가 덧붙여지게 되었다. 성결과 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논쟁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양상이 달라지게 되었다. 초기에는 성결에 능력의 개념이 동반되는 것으로 여겨졌다가 차차 두 개념이 분리되게 되었다. 그래서 나중에는 구원-성결-능력(성령침례와 방언)이라는 삼 단계 구원의 도식이 형성되게 되었다. 이것이 초기 고전적 오순절주의의 성령침례론이다. 대표적인 주창자가 찰스 파함, 윌리엄 시무어 등이었다. 그러다가 윌리엄 더함은 성결(성화)이라는 주제를 구원에 결부시켜서 구원-능력(성령침례)이라는 이단계설을 주장하였다. 더함이 성결(성화)의 주제를 별개의 주제로 취급하지 않게 된 것은 케직 운동가들의 영향이었다. 고전적 오순절주의자가 생겨나게 된 배경과 그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면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즉 고전적 오순절운동이 웨슬리주의 성결 운동의 토양과 분위기 가운데서 일어났지만, 성령침례론의 신학적 뿌리는 크든지 작든지 케직 운동에 영향을 받은 개혁주의 신학 가운데서 더 잘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의 웨슬리 신학과 성결-오순절 신학의 성령론 비교 연구 : 통합적 성령론으로서의 웨슬리안 성결-오순절 성령론

        최인식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heories of the Methodist, Holiness, and Pentecostal churche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follow the Wesleyan theological tradition of Korea, and to find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hem in an integrated way. Methodist Pneumatology is considered in two directions. One is the domain of traditionally studying Wesley, and the other is the pursuit of indigenous theology in the context of Korean people and culture. The Wesleyan research area is based on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and identifies Wesley as influenced by Eastern and Western traditions. Minjung Pneumatology and Cultural Pneumatology are presented. The Holiness Church and the Pentecostal Church are based on Wesleyan theology, but focus on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is paper traces the theory of the Holy Spirit developed by each of them, in particular, the Holiness Church focuses on Pastor Sung-Bong Lee, and the Pentecostal Church analyzes their Pneumatology centering on Yonggi Cho.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common grounds that Pneumatology of Wesleyan traditional denominations can be understood as a Wesleyan holiness-Pentecostalism. First, sanctification is the event of the “second blessing” of the Holy Spirit, distinct from justification. Second, the testimony of the Holy Spirit and the assurance of the Holy Spirit can ask internal convictions about faith in God's children, faith in forgiveness of sins, and so on. Third, sanctification is a cooperative work of the Holy Spirit within us. Fourth, sanctification includes instant and gradual sanctification by the Holy Spirit. Fifth, the Holy Spirit empowers. And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can recognize different spiritual experiences when we do not have an exclusive understanding of both in terms of holiness-power. In other words, Methodists understand the baptism of Holy Spirit as grace for holiness, the Pentecostal Church for power, and the Holiness Church for the sake of holiness as pow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웨슬리 신학전통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이어 가는 감리교회, 성결교회, 오순절교회의 성령론을 비교하고, 이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감리교의 성령론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고찰된다. 하나는 전통적으로 웨슬리를 연구하는 영역이요, 다른 하나는 한국의 민중과 문화의 맥락에서 토착적신학을 추구하는 영역이다. 웨슬리 연구영역은 전통적인 성령이해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전통에 영향 받은 웨슬리를 규명하고 있다. 민중신학적 성령론과 문화신학적 성령론이 제출되어 있다. 성결교회 성령론과 오순절교회 성령론은 웨슬리신학을 배경으로 성령론을 전개하고 있으나, 핵심적으로는 성령세례에 집중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들 각자가 전개하는 성령론을 추적하되, 특별히 성결교회는 이성봉목사를 중심으로 오순절교회는 조용기를 중심으로 그들의 성령론을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웨슬리 전통교단들의 성령론은 하나의 ‘웨슬리안성결-오순절성령론’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다음과 같은 공통근거를 제시한다. 첫째, 성화는 칭의와 구분되는 성령의“ 두번째 축복”의 사건이다. 둘째, 성령의 증거와 성령의 확증을 통해 하나님의 자녀 됨에 대한 믿음, 죄 용서에 대한 믿음, 등에 대한 내적 확신을 물을 수 있다. 셋째, 성화는 우리 안에서 이루어 지는 성령의 역사로서 신인협력적이다. 넷째, 성화에는 성령에 의한 순간적 성화와 점진적 성화가 존재한다. 다섯째, 성령은 능력을 부여한다. 그리고 성령세례는 ‘성결-능력’의 관점에서 양자를 배타적으로 이해하지 않을 때 서로 간의 다른 영적 체험들을 인정할 수 있게 된다. 즉, 감리교는 성령세례를 성결을 위한 은총으로 이해하고, 오순절교회는 능력을 위한 것으로서 그리고 성결교회는 성결 곧 능력이라는 관점에 성령세례를 이해함으로써 명실공히 ‘웨슬리안성결-오순절성령론’ 이라는 통합적 성령론을 말할 수 있게 된다.

      • Understanding Spirit-Baptism for the 21st Century Wesleyan Holiness Movement

        Changhoon Park 서울신학대학교 글로벌사중복음연구소 2019 World Christianity and the Fourfold Gosepl Vol.5 No.1

        From a doctrinal and experiential point of view, if someone finds the identity of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Wesley, it would be a story of looking for Wesley s energizing sense of balance. This is a form of holiness that extends beyond the personal holiness experience and extends into the community of faith and the social/political sphere. However, on the other hand, for those who emphasize the tradition of the holiness movement understanding holiness as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is could not be fulfilled without this (bodily) experience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in the process of a gradual godly life pursuing change. And in fact, this entails not only the general phenomenon of the Holy Spirit, but also the (bodily) expectation of a extraordinary instantaneous apparent faith experience. The expectation for this (bodily) experience is clearly one of KEHC s identities. (out of the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