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 과학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두 중등학교의 사례 : 무엇이 통합 과학교육을 가능하게 하는가?

        안정용 ( Jung Yong Ahn ),나지연 ( Ji Yeon Na ),송진웅 ( Jin Woong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통합을 실천하고 있는 두 학교의 사례를 통해 학교 차원의 통합 과학교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을 실천하고 있는 학교에서 일어나는 통합은 어떤 형태인지 그리고 일반 학교와 구별되는 그 학교의 상황 요소는 무엇인지를 수업 참관, 교사 면담, 학교교육계획서 수집, 수업 동영상 분석, 학생 결과물 수집과 같은 다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는 통합의 유형, 수준, 교사의 역할, 학생 활동에서 차이를 드러냈으며 이러한 차이가 다른 모습의 통합 과학교육 사례를 보여주었다. 둘째, 두 학교가 통합을 실천할 수 있게 한 학교 상황 요소가 있었다. 통합교육을 실천한 학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리더십``, ``교사 팀의 협력 활동``, ``교육계획을 위한 시간확보``, ``유동적인 시간 운영``, ``지역사회와 연계``와 같은 유사한 학교 상황요소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두 학교의 사례에서는 통합을 기존의 안정적 성격의 교육적 시도가 아닌 보수적인 교사 문화를 극복하여 학교 교육의 혁신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보수적 문화극복/혁신 추구``를 새로운 학교 상황 요소로 제안하였다. 또한 두 학교는 안정적인 교사 관계를 형성하였으나 선행 연구에 비해 단기간에 대규모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소규모의 안정적인 학습 환경`` 대신 ``협력적 친밀한 관계``로 요소를 수정하였다. This is a case study on two schools practising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hereafter I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features of ISE in the schools actively practising ISE, to identify the contextual factors of the schools, and to giv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ISE in schoo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xtual factors in practicing ISE with a focus on the two schools, a middle school in Gyeonggi-do and a high school in Busan. They were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among teaching subjects and providing student-oriented instruction with problems in the real world. Th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ing classes, by interviewing teachers, and by reviewing school documents and students` repor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schools took part in ISE actively. They teach science to students providing integrated experiences mainly by using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or by solving the problems pertaining to the real world. While the former integrated subjects centering on topics, the latter focused on a project-based learning driven by students. They have differences in regard to the role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level of integration and the type of integration. Second, the contextual factors that enabled ISE to be implemented there were found. The previous studies revealed six contextual factors in practising ISE: small and stable learning environment, leadership, team activities, in-school planning time, flexible timetable and community links. This study also found similar factors. However, the cases of this study provided 1SF on a large scale an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stead of a small and stable learning environment. Teachers viewed the process of ISE not only as a tool to overcome the conservative culture of teachers but also as a pursuit of innovation.

      • KCI등재

        비행청소년의 재비행과 개인적·사회생태학적 특성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이창배(Lee, Chang-Bae)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3

        이 연구는 지역의 사회생태학적 특성이 비행청소년의 재비행과 가지는 상관성에 대해서 종단적인 분석을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범죄학에서는 사회생태학적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지만, 개인적인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특히 종단적인 관찰을 적용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그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무단결석으로 인해 법원의 관리를 받고 있는 사례들을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관찰하여 재비행 여부에 개인적인 요인들과 지역사회의 요인들(실업률, 가족해체, 문화의 이질성)이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포함하였고, 사회생태학적 요인들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개인적 요인들이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지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개인적인 행태의 종단적인 관찰과 사회생태학적 요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하기 위해서 모수 사건사(parametric event history) 분석 모형을 적용한 결과, 지역사회의 요인들은 표본사례들의 부 정적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 하였다. 하지만, 표본이 속한 거주지역은 평균적으로 사회해체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표본에 포함된 비행청소년들이 대부분 환경적으로 열악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청소년들의 학교생활과 관련한 경험들이 결과에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비행에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의 기능을 회복하고, 더불어 지역사회의 자원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청소년들에게 지원하는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mmunity contexts on delinquency recidivism based on the longitudinal research design. Prior studies in criminology have tested the social context factors, but many of them focused mostly on community-level measurements for the outcome variable and have utilized the cross-sectional design. In order to fill this gap, the researcher made observations for the cases under the supervision of a truancy court in Florida between 2006 and 2010, and analyzed the data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where the juveniles in the cases resided. Parametric event history models were drawn for the analysis in which the influence of the community contexts was controlled. As a result, community context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 outcome of the truancy cases in the parametric event history models. However, the description of community characteristics(unemployment rate, family disorganization, and cultural heterogeneity) revealed that the condition of the sampled communities were worse than the average of the U.S., which means that the sample resided in somewhat disorganized communities. The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school-related factors were significant. The approach for dealing with juvenile delinquency needs to be based on restoring the function of home and school as well as reorganizing resources in the community better and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s to juveniles.

      • KCI등재

        학교상담자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효과요인

        유정이(柳定利),홍지영(洪芝英),김진희(金鎭熙)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초 · 중 · 고등학교에 배치된 학교상담자들의 관점에서 상담성과를 내는 효과요인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상담경력이 1년 이상인 초 · 중 · 고등학교의 학교상담자 14인을 대상으로 세 그룹에서 각 1회씩 총 3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3인의 공동연구자가 연구의 기획단계에서부터 자료 분석 과정에 이르기까지 수차례 연구회의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상담의 효과요인으로 4개의 영역, 27개의 범주, 65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4개의 영역은 상담자요인, 내담자요인, 상담자-내담자 관계요인, 그리고 주변 환경 활용 요인으로 나타났다. 상담자요인으로는, 내담자를 존중하고 따뜻하게 대함, 경청하고 수용함, 감정을 충분히 드러내게 함, 쉬운 말로 간결하게 설명함, 개인상담으로 발전시킴,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춰 진행함, 자기 자신을 이해하도록 함 등이 효과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내담자요인으로는 인지능력과 상담동기가 높음, 상담에서의 긍정적 경험,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긍정적인 경험 등으로 나타났다. 상담자-내담자 관계요인으로는 안전하고 든든한 관계를 형성함, 낙인을 방지함, 그리고 평소 자연스러운 관계를 맺음이 학교상담의 효과요인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학교상담에서 주변 환경을 활용하여 상담의 효과를 발휘하게 하는 요인으로는 담임교사와 학부모의 상담과 협조, 관련 학생들 중재, 또래상담을 활용함, 적절한 외부기관으로 의뢰함, 학교 내 사례회의를 운영함, 그리고 전학교적 접근을 활용함으로 요약되었다.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 factors of school counseling conceived by school counselors. Fourteen school counselor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interviewed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Three researchers were involved in research design and data analysis. As results of the study, 4 domains (counselors, clients,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and utilizing context), 27 categories, and 65 concepts of effect factors were derived. As effect factors of counselors, respect and warm heart toward clients, listening and accepting, making clients reveal their emotion, explaining with simple and easy words, develop into personal counseling, focusing on problem solving, and making them understand themselves were derived. As clients, high cognitive ability and motivation and positive experience of counseling and ordinary life were derived. As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making safe and good relationship, preventing tagging, and having natural relationship in usual life were derived. As utilizing context, counseling and cooperation of teachers and parents, mediation of related students, executing peer counseling, referring to proper institutions, executing case meeting in school, and utilizing whole-school approach were deriv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