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눌(小訥) 노상직(盧相稷)의 예학(禮學)과 『상체편람(常體便覽)』

        김윤정 ( Kim Yun-jung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1

        노상직은 망국의 시기에 강학과 간행사업을 통해 유학의 전통을 계승하는데 주목한 지식인이었다. 허전의 제자로서 『사의』 간행에 참여하고 『상체편람』을 저술하는 등 예학에 조예가 깊었다. 또한 집성과 고증의 방식을 통해 허전 심의설의 특징과 정당성을 드러내는 「심의고증」을 저술했다. 그는 허전의 예설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실천했지만, 다른 예설에 대한 배척이 아닌 통합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유학자들의 분열을 원치 않았던 노상직의 학문 경향을 토대로, 예학은 논쟁의 대상이기보다는 지켜야 할 가치로서 인식되었을 것이다. 노상직의 예서인 『상체편람』은 變節보다 예의 기본인 常體를 강조하는 행례서로서, 복잡다단한 예설 논쟁보다는 예의 근본을 지키는 것이 더 필요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것이었다. 『상체편람』은 55개의 의절로 구성되었는데, 집안에서 날마다 행하는 관혼상제 중심의 가례 관련 의절이 51개에 해당된다. 『가례』의 내용을 행례 단위로 의절화하면서, 『사의』의 書式과 祝文을 보충하였다. 사당제도와 오복제도 등은 과감하게 생략했고, 필요할 경우 『가례』에 없는 별도의 조목을 추가하기도 했다. 『사의』의 예설을 중심으로, 「청기의」를 보충하고 「조석곡전」을 하나의 의절로 마련했다. 그러나 「기제의」의 考妣並祭와 「묘제의」의 親盡墓祭 문제에서는 자신의 예설을 드러내기도 했다. 『상체편람』은 가례뿐만 아니라 서당의 의례를 함께 수록함으로써 서당 중심의 예교에 주목했다. 「향음주의」와 「사상견의」는 서당의 행례에 맞게 변용되었고, 유교적 제향을 위한 「창주정사석채의」와 「문묘석전의」는 서당의 문생들이 지켜야할 지식으로 인식되었다. 망국의 시기에, 서당은 유학의 예교를 실천하는 마지막 보루가 되었고, 노상직은 서당의 예교를 통해 유학자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끝까지 지켜나갔다. Sonul Noh Sang-jik was an intellectual who focused on inheriting the tradition of studying abroad through lectures and publication projects during the period of his ruin. As a disciple of Heo Jeon, he was well versed in ritual study, participating in the publication of Saeui and writing Sangchepyunram. Through the method of aggregation and examination, he wrote Simeuigojeung which reveals the characteristics and merits of false examination theory. He practiced Heo Jeon's ritual theory and tried to verify its legitimacy through a Bibliographical Study, but did not mention them as controversial subjects. During the chaotic period of the country, Noh Sang-jik's academic tendency, which did not want to divide Confucian scholars, was reflected, and ritual study was recognized as a value to protect rather than as a subject of controversy. Sangchepyunram emphasizes the basics of riual rather than the transformation, and it reflected the changes in the times when it was more necessary to keep the basics of ritual than the complex debate. Sangchepyunram consisted of 55 Protocols, 51 of them were about the family rituals. The contents of Family Rituals were made on a ritual basis, supplementing the forms and written prayer of Saeui. Sangchepyunram focused on the Confucianism centered on the Seodang by incorporating not only the cases but also the rituals of the Seodang. The Seodang was recognized as the last bastion of Confucianism, and Noh Sang-jik maintained his social role as a Confucian scholar until the end.

      • KCI등재

        예찬(倪瓚) 시ㆍ서ㆍ화 일률에 대한 회화의 의경(意境) 미 고찰

        김순섭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6 No.-

        This paper is designed to find out the aesthetics of painting on the uniformity of poem, writing, and painting by Ni Zan (1303~1374) who lived in 14th century. The uniformity of literature (poem) and arts (writing and painting) may be considered as the most innovative and predominant artistic trend in 14th century. Of course, although the uniformity between the poem, writing and paint had been tried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with Su Shi recognizing the paining as one of the literature, it was during the period of Yuan Dynasty that the uniformity showed the literary and rich beauty of the uigyeong. As the Mongol tribe which was enemy to Han Chinese tribe ruled Han Chinese tribe during the Yuan Dynasty, the period was sad for Han Chinese people. In addition, as the official examination system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was not conducted during that period, the noblemen having a lot of knowledge had nothing more than to reside in the study, garden or mountain to write their own poems, draw the paintings and write the essays. In addition, as the cultural activities of groups, they made the criticism over the study, literature and arts, thus leading the consciousness of the beauty during that time. Especially, Zhao Mengfu, Ke Jiusi, Yang Weizhen, TANG Hou, and four painters (Huang Gongwang, Ni Zan, Meng Wang and Wu Zhen l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Yuan Dynasty. At that period, as there was not the gardening system and ‘Saseung’ relation, the ‘Goi’ arts and the indivdiual’s ‘Saeui’ art were very predominant. Among them, a person who is distinct with the ‘Uigyeong’ beauty in the painting is Ni Zan due to his uniformity over poem, writing and painting. His simplistic painting of nature showed his thoughts along with his zeitgeist, his own experience in life and ideology through the vanity and nothingness. In his painting or poem, the detailed physical aspect or rhythm was not so important. I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he was not much bothered by the technical dexterity. He simply put emphasis on his thought over the looks. Therefore, he got his own technique and rule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sufficient value by merging the literature with the arts. The practice of this art led him to realize the human individuality and make him free from the previous norm or order. This was the achievement of creative arts for him. So, though his painting itself is the masterpiece of itself, his calligraphy, and poem are also recognized by descendants as the best arts so that his prestige has been known up to now. 본 논문은 14세기에 살았던 예찬(倪瓚:1301~1374)의 시(詩)ㆍ서(書)ㆍ화(畵) 일률(一律)에 관한 회화 미학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시)과 예술(서화)의 일률은 14세기에 가장 혁신적이면서 당대의 주류(主流)를 이룬 예술 경향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시·서·화 일률의 시도는 이미 북송시대에 소식이 회화를 문(文)으로 인식하여 시도하였지만, 문학적이며 풍부한 의경(意警)의 미가 잘 드러난 시대는 원나라이다. 원대에는 이민족인 몽골족이 한나라를 지배하였기에 한족에게는 매우 불우한 시대였다. 그리고 과거제도도 시행되지 않아서 학식과 지식을 갖춘 많은 사대부가 서재, 정원, 산수 등에 은거하여 자신의 흥에 따라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며 글씨를 쓰기도 했고 또 아집(集團) 문화 활동으로 학문, 문예, 예술 비평을 하여 당대의 미의식을 선도해 나갔다. 특히 조맹부(趙孟頫)로부터 시작하여 가구사(柯九思), 양유정(楊維楨), 탕후(湯垕), 사대 화가[황공망, 예찬, 왕몽, 오진] 등이 원나라 미의식을 선도해 나갔으며 이 당시에는 화원 제도뿐만 아니라 사승(師承)의 관계도 없었기 때문에 고의(古意)예술과 개성주의인 사의(寫意) 예술이 가장 부흥한 시기였다. 이중에서 시·서·화 일률로 인해 회화에서 가장 의경(意境) 미가 풍부한 문인은 예찬이다. 그의 간결한 자연의 형상에는 허실(虛實), 유무(有無)를 통해 그의 시대정신과 자신 인생의 경험, 사상이 함께 융합되어 자유롭게 그의 뜻이 표현되었다. 그는 그림을 그리거나 시를 읊은 것에 대해서 구체적인 물상과 음률은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고 서예와 회화에 대하여 기술이 능숙하든지 졸렬하든지에 크게 상관하지 않았다. 단지 그는 그 형상 너머 그의 뜻을 표현하는 것을 중시했다. 그렇기에 그는 스스로 독립적인 자신의 기교와 법칙을 가지게 되었고 아울러 문학과 예술이 상호 융합되어 풍부한 심오한 담(淡)의 의경 미가 회화에 표현되었다. 이러한 예술의 실천은 인간개성의 주체적 의식을 각성시키게 되었고 나아가 이전 시대의 의례적 질서로부터 그를 해방했다. 이점이 예찬에게 가장 커다란 창조적 예술성취이며 그의 회화 자체로도 일품이지만, 서예와 시 또한, 일품(逸品)의 예술임을 후대에 많은 사람이 품평하였다.

      • KCI등재

        倪瓚의 회화적 意境美의 특성에 관한 고찰

        김순섭(kim soon-seob)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6 No.-

        This paper is designed to find out the aesthetics of painting on the uniformity of poem, writing, and painting by Ni Zan (1303~1374) who lived in 14th century. The uniformity of literature (poem) and arts (writing and painting) may be considered as the most innovative and predominant artistic trend in 14th century. Of course, although the uniformity between the poem, writing and paint had been tried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with Su Shi recognizing the paining as one of the literature, it was during the period of Yuan Dynasty that the uniformity showed the literary and rich beauty of the uigyeong. As the Mongol tribe which was enemy to Han Chinese tribe ruled Han Chinese tribe during the Yuan Dynasty, the period was sad for Han Chinese people. In addition, as the official examination system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was not conducted during that period, the noblemen having a lot of knowledge had nothing more than to reside in the study, garden or mountain to write their own poems, draw the paintings and write the essays. In addition, as the cultural activities of groups, they made the criticism over the study, literature and arts, thus leading the consciousness of the beauty during that time. Especially, Zhao Mengfu, Ke Jiusi, Yang Weizhen, TANG Hou, and four painters (Huang Gongwang, Ni Zan, Meng Wang and Wu Zhen l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Yuan Dynasty. At that period, as there was not the gardening system and ‘Saseung’ relation, the ‘Goi’ arts and the indivdiual’s ‘Saeui’ art were very predominant. Among them, a person who is distinct with the ‘Uigyeong’ beauty in the painting is Ni Zan due to his uniformity over poem, writing and painting. His simplistic painting of nature showed his thoughts along with his zeitgeist, his own experience in life and ideology through the vanity and nothingness. In his painting or poem, the detailed physical aspect or rhythm was not so important. I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 he was not much bothered by the technical dexterity. He simply put emphasis on his thought over the looks. Therefore, he got his own technique and rule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sufficient value by merging the literature with the arts. The practice of this art led him to realize the human individuality and make him free from the previous norm or order. This was the achievement of creative arts for him. So, though his painting itself is the masterpiece of itself, his calligraphy, and poem are also recognized by descendants as the best arts so that his prestige has been known up to now. 본 논문은 14세기에 살았던 예찬(倪瓚:1301~1374)의 시(詩)·서(書)·화(畵) 일률(一律)에 관한 회화 미학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시)과 예술(서화)의 일률은 14세기에 가장 혁신적이면서 당대의 주류(主流)를 이룬 예술 경향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시·서·화 일률의 시도는 이미 북송시대에 소식이 회화를 문(文)으로 인식하여 시도하였지만, 문학적이며 풍부한 의경(意警)의 미가 잘 드러난 시대는 원나라이다. 원대에는 이민족인 몽골족이 한나라를 지배하였기에 한족에게는 매우 불우한 시대였다. 그리고 과거제도도 시행되지 않아서 학식과 지식을 갖춘 많은 사대부가 서재, 정원, 산수 등에 은거하여 자신의 흥에 따라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며 글씨를 쓰기도 했고 또 아집(集團) 문화 활동으로 학문, 문예, 예술 비평을 하여 당대의 미의식을 선도해 나갔다. 특히 조맹부(趙孟頫)로부터 시작하여 가구사(柯九思), 양유정(楊維楨), 탕후(湯垕), 사대 화가[황공망, 예찬, 왕몽, 오진] 등이 원나라 미의식을 선도해 나갔으며 이 당시에는 화원 제도뿐만 아니라 사승(師承)의 관계도 없었기 때문에 고의(古意)예술과 개성주의인 사의(寫意) 예술이 가장 부흥한 시기였다. 이중에서 시·서·화 일률로 인해 회화에서 가장 의경(意境) 미가 풍부한 문인은 예찬이다. 그의 간결한 자연의 형상에는 허실(虛實), 유무(有無)를 통해 그의 시대정신과 자신 인생의 경험, 사상이 함께 융합되어 자유롭게 그의 뜻이 표현되었다. 그는 그림을 그리거나 시를 읊은 것에 대해서 구체적인 물상과 음률은 그리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고 서예와 회화에 대하여 기술이 능숙하든지 졸렬하든지에 크게 상관하지 않았다. 단지 그는 그 형상 너머 그의 뜻을 표현하는 것을 중시했다. 그렇기에 그는 스스로 독립적인 자신의 기교와 법칙을 가지게 되었고 아울러 문학과 예술이 상호 융합되어 풍부한 심오한 담(淡)의 의경 미가 회화에 표현되었다. 이러한 예술의 실천은 인간개성의 주체적 의식을 각성시키게 되었고 나아가 이전 시대의 의례적 질서로부터 그를 해방했다. 이점이 예찬에게 가장 커다란 창조적 예술성취이며 그의 회화 자체로도 일품이지만, 서예와 시 또한, 일품(逸品)의 예술임을 후대에 많은 사람이 품평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