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推案及鞫案』 소재 讖謠 관련 자료 연구

        김승우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This paper sough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ophetic songs(讖謠) mentioned in Chuan and Gukan(推案及鞫案), interrogation and trial records of fel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rophetic song is generally defined as a folk song with a sense of criticism and a prospect of future work. These examples are also shown in Chuan and Gukan, but there are more cases that deviate from the definition of “voluntary songs among the peopl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treat them in the same way as ordinary prophetic songs, the act of arbitrarily distributing songs by individuals or groups with specific purposes can be an important discussion topic. In fact, the intention to use the prophetic song is based on a clear perception of its utility. By tracking what the reason for trying to utilize the prophetic songs was, it is possible to obtain a clue to retrospectively look back on the people’s view of prophetic songs.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are roughly three categories in the character of the prophetic songs in Chuan and Gukan. First, there is a case that aims to spread the prophetic song with blurred words to suggest the purpose or direction of rebellion. They also have intentions to distinguish friendly and enemy parties while enhancing the cohesiveness of their own. The second category is songs to inspire public opinion. These songs have the purpose of spreading the rhetoric and hypocrisy to stir the people’s mind and to lead public opinion to their advantage. Finally, there are songs that accuse unreasonable politics or raise lamentations about reality. The criticism of the people, which has been discussed as the most basic characteristic of the prophetic songs, can be clearly cited in this category. These songs tend to be spreading rapidly among the people much faster than other categories. Thus, in analyzing the prophetic so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only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song as a natural manifestation of the people’s mind, but also the case of spreading the song to achieve some kind of intention. As can be seen in this paper, the latter, as well as the former, were phenomena that actually and frequently happen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onclusion, the multifaceted appearances associated with the prophetic song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both explaining the problems of power in literature and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ture research in the late Joseon period. 본고에서는 중죄인에 대한 조선후기의 심문 조서인 『推案及鞫案』에 수록된 참요 관련 자료의 분포를 정리하고, 이들을 세 가지 부류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참요는 세태에 대한 비판의식과 미래의 일에 대한 전망이 녹아 있는 민요라고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추안급국안』에 소재한 참요 관련 자료에서도 이러한 사례들이 물론 나타나지만,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불린 노래’라는 규정에서는 벗어나는 경우가 오히려 더 많다. 이들을 통상적 의미의 참요와 동궤에서 다루기는 어려우나, 특정 목적을 지닌 개인 또는 집단이 참요로 인식될 만한 노래들을 작위적으로 지어 유포하였다는 행위는 그것대로 중요한 논의거리가 될 수 있다. 참요를 활용하겠다는 의도란 참요의 효용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굳이 참요에 착목했던 이유가 무엇인지 추적함으로써 참요에 대한 당대인들의 시각을 역으로 되짚어 볼 수 있는 단서가 확보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추안급국안』에 소재한 참요 관련 자료의 성격을 대별해 보면 대략 세 가지 부류가 나타난다. 먼저 은어적 성격의 참요로서, 은어가 섞인 노래를 퍼뜨려 거사의 목적이나 방향을 암시하기 위한 목적을 띠는 부류이다. 거사를 일으키려는 당사자들 사이의 결속력을 높이는 한편 피아를 구분 짓기 위한 의도까지도 지니는 노래들이다. 두 번째 부류는 여론을 선동하기 위한 노래들이다. 이 경우에는 풍문 내지 낭설을 퍼뜨려 민심을 동요케 함으로써 시국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이끌어 가려는 목적이 앞세워진다. 세 번째 부류는 세태의 불합리를 고발하거나 현실에 대한 울분을 토로하는 노래들이다. 참요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으로 논의되어 왔던 ‘민중의 비판 의식’이 간취될 수 있는 사례들이다. 이 부류는 특정한 목적을 지닌 노래가 아니기 때문에 노래 속 비판의식에 동조하는 백성들의 호응만 있다면 항간에 급속하게 전파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참요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는 민심의 자연스러운 발로로서 참요가 지니고 있는 본래적 요건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모종의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참요를 빙자하여 노래를 유포한 경우들에 대해서까지도 폭넓게 살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추안급국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전자는 물론 후자 역시도 조선후기에 참요를 둘러싸고 실제로 빈번하게 일어났던 현상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참요를 지어낸 경위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당대인들이 참요에 대해 지니고 있었던 인식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나 보이기도 하였다. 이렇듯 참요와 관련된 다단한 현상들은 문학 속 권력의 문제를 해명하는 데에도, 조선후기 문학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에도 모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참요(讖謠)의 원의(原義)에 대한 고찰

        김승우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4 No.-

        The meaning of Korean prophetic songs(讖謠)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one is the primary and original meaning among the populace without concern of any historical events while the other is the secondary and ex post facto meaning added by the aristocracy after a certain occurrence usually related to a serious political matter. This paper is aimed at looking into the former - the primary meaning that has been paid less attention to. Several lyrics of Korean prophetic songs were translated and recorded in classical Chinese, but much more were transcribed with Chinese characters borrowed in both their sound and meaning. Therefore, I tried in this paper to confirm the literal significance of each prophetic song by exactly recomposing the original Korean vernacular lyric from its transcriptions or translations and to analyze what features of each song the aristocracy concentrated their attention on. Ayamayo, which has been told to imply the commonality’s prediction of their atrocious king Chunghye’s miserable death on his way to China, can be construed in fact as a short love song expressing the wrench of parting. Namsanyo seems to have had concern with the complaint of the people who were mobilized to build the protective walls of Seoul in the reign of King Taejo rather than with the forecast for influential politicians Jeong Dojeon and Nam Eun’s sudden downfall. Similarly, Sumukmukyo looks like a simple children’s song calling a hawk and mimicking its voice without any political outlooks. Considering its context,Makjwaripyeongyo can be interpreted as a song reflecting Korean common people’s constant desire for a hero of humble birth who is able to emancipate them from the state of slavery instead of their longing for a Chinese general Li Rusong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 Hallym University 참요(讖謠)의 원의(原義)에 대한 고찰 37Besides, Mangmadayo, Usodayo, Chapaljayo, and Hwarojangsayo also seems to have been mere brief folk songs irrelevant to any predictions. In conclusion, when studying the features of prophetic songs, we firstly need to examine their primary and original meaning because only after such a careful examina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asonably review the aristocracy’s interpretations of them. 참요의 의미는, 특정한 역사적 계기와는 관계없이 민중들 사이에서 떠돌던 때의 일차적.본래적 의미와 사건이 발생한 후 식자층에 의해 부여된 이차적.사후적 의미로 분리하여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종래의 연구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졌던 전자의 의미를 해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차자표기 또는 한역의 방식으로 전하는 노래들의 원 형태를 재구함으로써 그 본래 의미를 추정하고, 해당 노래의어떠한 특질이 식자들에 의해 참요적 성격으로 규정되었는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충혜왕에 대한 백성들의 조롱과 저주가 묻어나는 작품으로 일컬어져 온 <아야마요>의 경우, 떠나는 이를 향한 서러운 마음과 하염없는 기약이 원래 가사의 뜻이라 풀이되며, 따라서 <가시리>.<서경별곡>류의 속요와 그 정조가 잇닿아 있다고 논의하였다. 정도전과 남은의 비극적 종말을 예언한 노래로 지목되어 온 <남산요>는 도성 축조에동원된 백성들의 세태비판요이었을 가능성이 높고, 중종의 등극을 선견하였다는 <수묵묵요> 역시 차자표기를 다시 풀어 보면 매를 부르면서 장난을 거는 단순한 유희요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명 제독 이여송의 도하를 예언한 노래로 해석된 <막좌리평요>의 경우, 아기장수설화와 연계되는 특징들이 문면에서 여럿 발견되는 만큼 본래는평민영웅의 출현을 염원한 노래이었으리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그밖에 <망마다요>,<우소다요>, <차팔자요>, <화로장사요> 등도 단순한 신세한탄이나 일상적 사건에 대한 푸념이 담긴 짤막한 노래이었을 것이다. 참요는 대개 백성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불리어 온 노래이자 미래에 대한 선견을나타내는 노래라는 두 가지 의의를 지니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그러한 시각이 언제나적확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때로 참요란 백성들의 노래이기보다는 그것에 의미를부여한 위정자들의 노래에 가깝기도 하고, 민의의 자연스러운 발현이기보다는 민의가* 한림대학교 / e-mail : nakimsw@hanmail.net 6 Journal of Korean Culture 24재해석되거나 과장 또는 훼절된 결과물일 수 있으며, 미래를 선견하기보다는 사건이발생된 이후의 시점에서 그 사건을 추인하는 성격의 노래로 파악해야 할 필요성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참요의 의미를 일차적.본래적 의미와 이차적.사후적 의미로 분리하여 다루어야한다는 본고의 당초 방침은 바로 이 같은 소견에 입각하여 설정된 것이거니와, 전자의의미, 즉 참요의 민요적 원의가 정교하게 분석되지 않고서는 참요의 생성이나 소통과직접 잇닿아 있는 후자의 의미 역시도 온전히 해명되기 어렵다는 점에 유념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바로 그러한 입론을 실제 작품에 적용해 보고자 한 한가지 시도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한국 비결가사 연구 : 비결에서 비결가사로의 전환과 전개

        박병훈 ( Park Byoung Hoon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1 종교와 문화 Vol.- No.41

        This paper aims to see how thoughts of Chŏng’s Predictions (鄭鑑錄) changes to divinatory prose-poetry (秘訣歌辭). The opportunity for this transformation was achieved through Eastern Learning (東學), and the thoughts of Chŏng’s Predictions are critically accepted and transformed and developed into the divinatory prose-poetry. Like the Chŏng’s Predictions, the divinatory prose-poetry is the prose-poetry that informs the time of danger in the future and suggests ways to get out of that danger. Divinatory prose-poetry suggest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secret phrases or secret words hidden in the existing Chŏng’s Predictions. The theme and content of the divinatory prose-poetry are closely related to the secrets of the existing Chŏng’s Predictions. While accepting the prophetic signifier that is familiar and important to the popular audience, it goes through a process of appropriation that converts the signified into the content of the new religion. The divinatory poetry accepts and subverts the thought of Chŏng’s Predictions. The subject is the following divinatory prose-poetry: The Song of Kung-ŭl (弓乙歌), The Song of Gathering Medicinal Herbs (採芝歌), The Song of knowing to stop (知止歌), prose-poetry in Kyŏgamyurok (格菴遺錄). This thesis aims to estimate the writing date of these prose-poetry and investigate the transition and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

        고려시대의 예언과 그 사회적 반향 -‘讖’을 중심으로-

        김수연 한국사학회 2022 史學硏究 Vol.- No.145

        본고는 고려 사회에 퍼졌던 ‘讖’들의 내용과 작동 방식을 고찰함으로써, 예언이 당시의 사회에 미쳤던 영향과 그 결과를 살펴본 연구이다. 고려 사회에서 예언이 가졌던 성격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 고려 사회에 유통되었던 讖書들을 살펴보았다. 고려시대에는 『道詵記』, 『神誌秘詞』, 『海東秘錄』 등 다양한 도참서들이 유통되었다. 특히 예종대에는 『해동비록』을 편찬하여 당시까지 전해지던 陰陽과 地理에 대한 책들을 刪定하게 한 점이 주목된다. 이는 나라에서 ‘참’을 단속하고 통제하기 위한 작업이었다. 고려시대에 나왔던 ‘참’의 내용들을 살펴보면, 나라의 운명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 왕조의 멸망과 새로운 나라의 건국에 관련된 내용, 재난에 대한 예언이나 개인의 미래에 대한 예언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고려 사회에서 ‘참’이 폭넓은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 사회에 유통된 참서와 ‘참’의 내용들을 통해 도출된 ‘참’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에는 해석의 ‘餘地’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필요한 부분을 필요한 내용으로 해석하여 활용한다. 둘째, 고려 사회는 기본적으로 ‘참’을 신뢰하였으나 부정적, 비판적 시각도 있었다. 그러나 개국과 관련된 예언은 인정하는 기조로, 이는 나라의 근간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불가침의 영역으로 받아들여졌던 듯하다. 이것이 예언과 그 해석이 다분히 정치적이라는 증거가 될 수 있다. 한편 ‘참’이 반란을 꾀하는 등 부정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꺼려, 위정자들은 민간에 ‘참’이 도는 것을 단속하기도 하였다. 이는 ‘참’이 상당한 사회적 파급력을 가지고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참’에는 그것을 이야기하는 사람들과 활용하는 사람들의 욕망이 담겨 있다. 예언이라고 하지만 반드시 미래의 일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며, 당시 사람들의 바람에 예언이라는 형태의 옷을 입혀 나름의 합리성을 부여하였던 것이 ‘참’의 사회적 의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