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オンライン授業による日本語作文にみられる誤用例研究 ― 韓国の大学生を中心にして ―

        齊藤良子 ( Saito¸ Ryoko ),齊藤明美 ( Saito¸ Akemi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3 일본어교육연구 Vol.- No.64

        Many South Korean universities have conducted online classes since 2020 to prevent COVID-19. Before the COVID-19 pandemic, Japanese composition classes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were mainly held face-to-face, and with the teacher’s supervision, students used textbooks and dictionaries during class to look up words and check grammar. Students may complete the assigned compositions outside of class, but they mainly used these tools in writing. However, in the case of online classes compositions are all written outside of class, and with no teacher present to monitor the writing, some students may write using dictionaries and textbooks as usual, some may use translation apps, and some may ask for advice in writing. Students will have many opportunities to use translation apps even after graduation. Considering these possibilities, it would be meaningful to study misuse found in Japanese compositions that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write in online classes. This study presents misuse examples found in the submitted compositions assigned in online classes, and discusses the reasons that led to misuse. Results show that misuse was found in nouns, adjectives, adverbs, particles, honorifics and expressions for acceptanc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a single reason for misuse, but various factors such as mother-tongue interference, lack of study and use of translation apps can be considered.

      • KCI등재

        日本語の表現敎育と誤用-誤用例の分析を通して-

        김경혜 동아시아일본학회 2007 일본문화연구 Vol.23 No.-

        韓國語를 母國語로 하는 日本語 學習者는 文法, 發音法, 表記法, 表現 등의 學習에 있어서 反復學習의 不足과 正確性이 缺如된 學習習慣 그리고 문화의 差異로 因한 多樣한 誤用例가 나타난다. 이러한 誤用을 없애기 위해서는 對照言語學 分野에서 日本語와 韓國語의 言語的 表現方法과 文化의 差異에서 起因하는 類似点과 相違点에 關한 對照分析이 忠實히 이루어져서 그 結果를 바탕으로 한 日本語 敎育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文化敎育의 必要性이 切實히 要求되는 바이다. 誤用이 나타나는 分野는 文法, 語彙, 表記, 表現으로 分類할 수 있는데 各 項目에 該當하는 誤用의 解決方法으로는, 첫 번째로 文法의 活用法, 接續法의 反復學習을 통한 完璧한 習得이 必要하고, 두 번째로 語彙의 意味를 辭典에만 依存할 것이 아니라 構文內容에 따른 正確한 認識이 必要하며, 세 번째로 日本語의 音聲特徵인 拍 槪念의 理解와 淸濁/長短에 關한 反復訓練으로 辨別力을 기른 후 誤記와 脱字를 줄이기 위한 쓰기學習이 필요하고, 마지막으로 文化的 特性의 差異에서 나타나는 言語表現의 多樣性이 母國語 干涉으로 잘못된 表現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本 硏究에서는 誤用의 實例로 大學生을 對象으로 2年間 收集한 例文를 各 種類別로 分類하여 提示하고 先行硏究와 資料를 土臺로 하여 韓國語를 母國語로 하는 日本語 學習者에게서 一般的으로 나타나는 誤用에 관하여 記述하고 이러한 誤用을 解決할 수 있도록 學習 및 敎育案을 提示하였다. 提示한 案이 日本語敎育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

        학습자 오용을 통한 「ながら」절의 대응과 교수방안 ― 학습자 오용 분석과 자기정정 방법을 중심으로 ―

        오선주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4 일본학연구 Vol.72 No.-

        본 고는 일본어 접속사 「ながら」의 학습자 작문 314개를 분석한 것이다. 먼저 학습자 오용의 패턴을 보면 ① 한 문장에 「ながら」를 여러 번 사용한 경우, ② 부대상황과 양태의 구별에 대한 인식 부족, ③ 「ながら」로 표현되는 두 동작 사이의 시간성을 고려하지 못한 경우, ④ 두 동작 사이의 시간성 및 공간성을 고려하지 못한 경우로 나뉘었다. 이들 학습자 오용을 정정해본 결과 학습자의 오용은 대체로 「て形」, 「ます形」, 「つつ」, 「一方(で)」, 「中・中(で)」, 「した時」의 6가지로 정정이 가능했다. 일본어 접속사 「ながら」절의 오용을 줄이기 위한 학습자 자가 정정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 문장 안에 「ながら」를 중복해서 사용하지 못하기에 주절의 동사를 강조할 수 있는 쪽에는 「ながら」를 쓰고 다른 쪽은 「て形」 혹은 「ます形」으로 바꿀 수 있도록 지도하고 또한 「ながら」로 이어지는 두 동작 사이의 시간차가 현저히 벌어진 경우 「て形」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일본어 접속사 「ながら」는 두 동작 사이에 시간적・공간적 차이가 발생할 시에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一方で」로 대체하도록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오용이 가장 많았던 양태에 관한 교수 및 인식 강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번에 수집된 학습자 작문 예에 한해 양태의 상황에서 사용된 작문 예의 경우 「ながら」를 「つつ」, 「する中」, 「した時」로 대체가 가능했기에 학습자의 사용 예에 따라서 이것들을 비교・제시하면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Japanese conjunction ‘-nagara’ in 314 learner compositions. First, the patterns of learners’ misuse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cases: 1) ‘-nagara’ being used several times in one sentence, 2)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where simultaneous events occur and distinguishing the particularity of the circumstance, 3) a failure to consider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ctions expressed with ‘-nagara’ and 4) a failure to consider both time and space factor between the two actions. As a result of correcting misuses of the learners, the misuses were generally corrected in six ways: ‘te-form’, ‘masu-form’, ‘-tutu,’ ‘-ippoude’, ‘chu・-naka(de)’ and ‘-sitatpki’. In order for learners to correct their mistakes on ‘-nagara’ conjunction themselves, first it should be explained that ‘-nagara’ cannot be used repeatedly in one sentence and therefore it should be used in the main clause where the verb can be stressed; then learners could be instructed to use ‘te-form’ or ‘masu-form’ in the subordinate clause. If there is a significant time difference between two actions connected with ‘-nagara’ conjunction, learners can be instructed to use ‘te-form’ instead. If the misuse is related to both time and space it should be explained that ‘-nagara’ conjunction cannot be used in such case, and ‘-ippoude’ can be used instead. Finally, the learning efficiency can be expected to improve by instilling grammatical awareness regarding ‘circumstances’, which was the most misused pattern of learners (74 cases, 28.8% of the total 262 cases), by comparing ‘-nagara’ with ‘-tutu’, ‘chu・-naka(de)’, ‘-sitatoki’ according to various circum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