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1911년 旱獺皮와 만주 페스트 유행

        김현선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동방학 Vol.- No.46

        This paper examines the occurrence and spread of the Manchurian plague due to the fashion of marmot fur and the indiscriminate hunting in 1910-1911 at the end of the Qing Dynasty. In the early 20th century, marmot fur began to very popular i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the popularity of marmot fur increased, demand surged, and prices began to rise. This motivated many Chinese coolies to rush to the northeast areas, such as Manchurian highland, where marmots were abundant, and hunting marmots for their fur indiscriminately. However, this economic benefit that attracted people from much farther areas resulted in an unintended consequence, the outbreak of bubonic plague. Previously, there have been cases of the plague being transmitted to humans by local people eating infectious marmots. However, any spread of infection would have remained limited due to the remoteness of the area and the limited interaction of inhabitants with a wider population beyond the region. In contrast, the lure of the economic benefit on one hand, and the development of the Railway on the other hand, changed this situation. Not only did the Railway make the movement convenient, but it also spread the plague quickly and far away, resulting in plague spreading around the northeast along the railway. This study will provide a diverse perspective on the outbreak of the Manchurian Plague in 1910-1911. Particularly, this study allows us to reflect on the current pandemic, given that the COVID-19, SARS, and some other recent outbreaks that plagued us have been connected to the human contact with animals. 본 연구는 淸末 旱獺皮의 유행과 무분별한 旱獺 사냥으로 인해 1910년 만주 페스트가 폭발하여 유행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20세기 초 세계 각국에서 旱獺皮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旱獺皮 인기가 높아지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많은 중국인 쿨리들은 동북지역으로 가서 旱獺을 사냥하며 경제적 이익을 도모했다. 더 많은 수익을 올리기 위해 사람들은 무분별하게 旱獺을 사냥했고, 그 과정에서 페스트가 유행하기 시작했다. 설치류 사이에서 유행하던 페스트는 인간에게 전파되면서, 인간은 페스트 전파 순환에 들어가게 되었다. 1910년 만주 페스트가 유행하기 이전에도 旱獺이 서식하는 지역에서 페스트가 인간에게 전파된 사례가 종종 확인되었다. 설령 페스트가 사람에게 전파되었 할지라도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지 않았다. 하지만 당시 건설된 철도는 사람들의 이동뿐 아니라 페스트 병균 역시 빠르게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철도를 따라 페스트가 전파되면서 동북지역에서 대규모 유행이 일어났다. 旱獺皮 유행으로 인한 旱獺 포획과 페스트 유행은 1910~1911년 만주 페스트 유행을 조금 더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더하여 오늘날 우리를 괴롭히는 SARS, 코로나19(COVID-19) 등 신종전염병이 동물과 접촉하여 발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현재의 이슈들에 대해 인문학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ick-borne Roseomonas haemaphysalidis sp. nov. and rodent-borne Roseomonas marmotae sp. nov.

        Zhu Wentao,Zhou Juan,Lu Shan,Yang Jing,Lai Xin-He,Jin Dong,Pu Ji,Huang Yuyuan,Liu Liyun,Li Zhenjun,Xu Jianguo 한국미생물학회 2022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60 No.2

        Four novel Gram-negative, mesophilic, aerobic, motile, and cocci-shaped strains were isolated from tick samples (strains 546T and 573) and respiratory tracts of marmots (strains 1318T and 1311). The 16S rRNA gene sequencing revealed that strains 546T and 573 were 97.8% identical to Roseomonas wenyumeiae Z23T, whereas strains 1311 and 1318T were 98.3% identical to Roseomonas ludipueritiae DSM 14915T. In addition, a 98.0% identity was observed between strains 546T and 1318T. Phylogenetic and phylogenomic analyses revealed that strains 546T and 573 clustered with R. wenyumeiae Z23T, whereas strains 1311 and 1318T grouped with R. ludipueritiae DSM 14915T. The average nucleotide identity between our isolates and members of the genus Roseomonas was below 95%. The genomic G+C content of strains 546T and 1318T was 70.9% and 69.3%, respectively. Diphosphatidylglycerol (DPG)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PE) were the major polar lipids, with Q-10 as the predominant respiratory quinone. According to all genotypic, phenotypic, phylogenetic, and phylogenomic analyses, the four strains represent two novel species of the genus Roseomonas, for which the names Roseomonas haemaphysalidis sp. nov. and Roseomonas marmotae sp. nov. are proposed, with 546T (= GDMCC 1.1780T = JCM 34187T) and 1318T (= GDMCC 1.1781T = JCM 34188T) as type strains,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