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udy of Personality Traits In Constitutional Types

        Lee Sang Kwan,Jeong Eui Suk,Sung Kang Keyng The Physiological Society of Korean Medicine and T 2004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sonality traits in constitutional types. The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Ⅱ and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by 155 university students. Statistical analyses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Ⅱ and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scale scores and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Personality differences in constitutional types are revealed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scales such as neuroticism, addiction, and criminality.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um(음) type and Yang(양) type along psychoticism and neuroticism. Third, sex difference is significant along the dimension of extraverion-intraversion.

      • KCI등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소비 유형 탐구: 이용자 개인 성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양문희 ( Moonhee Yang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2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애플리케이션의 시장도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지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중요성과 비교해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 동기, 만족도, 수용 의도에 대해서 주로 분석하였다. 그렇지만,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소비 행동 역시 다른 일반상품의 소비 행태와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애플리케이션 소비자의 구매 유형의 특성을 반영하여 소비자 집단을 구분하고, 이들 집단은 어떤 특성을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제품의 소비 유형을 구분하는 문항을 이용하여 대학생 소비자의 유형을 구분하여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의 애플리케이션 이용 동기와 개인 성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구매 성향은 선도 성향, 팔로어 성향, 비용 중시 성향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 성향으로 소비자를 4개의 소비 유형(적극적 선도형, 비용중시 팔로어형, 수동적 이용자형, 가격 민감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들 소비 유형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동기 유형에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개인성향 중에서는 인지욕구와 충동성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소비자의 소비 유형 집단을 구분하여 이들의 특성과 이용동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Every day use of smart phone leads to the growth of the application market. Considering the enormous volume of smart phone application area, the research about this area is still insufficiently consulted by far.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smart application use motiva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However, the consumer behavior of smart phone application can be very similar to that of common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smart phone application consumer’s types by using cluster analysis and examine thei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three consumption types of smart phone application and 4 types of smart phone application consumer groups. These groups had difference in the user motivation as well as the personality(need for cognition and impulsivene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임상치과위생사의 성격유형과 직업소명에 관한 연구

        조미숙 ( Mi Suk Cho ),천세희 ( Sae Hee Cheon ),김창숙 ( Chang Suk Kim ) 한국치위생학회 2014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4 No.5

        Objectives : The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 and sense of vocation of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 Methods :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21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the City of Changwon(unified), Busan·Gyeongsangnam-do.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19.0 program. Results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and a sense of vocation was higher for the dental hygienists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attainment, higher monthly salary,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extroverted personality, and the dental hygienists in a low neurotic group(p<0.001).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results among job satisfaction, personality type and the sense of vocation, a sense of voca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 sense of vocation and neurotic tendency have a negative correlation(p<0.01). The results of logistic-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nse of vocation are as follows: education attainment(p<0.001), salary(p<0.05), extroversion(p<0.001) and neurotic tendency(p<0.05). Conclusions : Nature of consciousness, depending on the type of professional vocation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