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평사(淸平寺) 선원(禪園)의 시대적(時代的) 형성(形成)과 변천상(變遷相)

        윤영활 ( Young Hwal Y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1

        청평사는 고려 초 창건되었지만 현재와 같은 공간의 틀은 고려 중기 진락공 이자현(1061~1125)이 1089년 입산해 선사상을 바탕으로 구축한 것이다. 이 연구는 이자현이 청평사의 기반을 구축한 문수원 이후 형성, 발달했던 선원 내 인공유적의 출현과 존속의 시대사적인 변천과정을 고문헌을 근거로 하여 개념적으로 구현해 보고자 하였다. 이자현의 문수원 때 조성된 경외 8암자 중 식암, 견성암, 양신암 등 세 암자만이 조선 후기까지 복원, 수리를 거쳐 건재하며 상징적 암자로 보존되어 왔다. 또 이자현 때 조성된 영지도 고려시대 연못의 원형적 의미를 지닌 소중한 조경유적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다. 이자현이 식재했다는 구송은 후계수를 이어가며 1800년대 중반까지 살아있었다. 조선 중기 보우대사(1509~1565)는 이자현이 구축한 문수원을 기반으로 청평사로 개칭하고 중창하면서 경내를 능인전(대웅전)만 제외하고는 모두 새로 짓고 확장하여 현재와 같은 경내 공간구조로 만들었다. 또 경외 영지의 개축, 궁원으로부터의 조경식물 이식 등 경관의 질을 한층 높여 청평사를 역대 가장 번성한 모습의 선원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조선 후기인 1800년대 중반 이후 청평사는 더 번성하지 못하고 쇠락의 길로 접어들면서 선원의 건축물은 경내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소멸되고 기타 시설물들은 방치된 채로 현대까지 남아 있었다. Cheongpyeongsa Temple was originally built in the early years of Goryeo Dynasty, but its current structural framework was made by the Lord Jinrakgong Lee Ja Hyeon(1061~1125) of the middle Goryeo period based on the Zen thought after he began living in the Cheongpyeong mountain around the temple in 108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based on old documents, historical changes of the appearance and survival of man-made structures within the Zen garden formed and developed after Lee Ja Hyeon laid the foundation for Munsuwon Zen garden. Among the eight, outside-the-temple hermitages built at the time of Lee Ja Hyeon`s Munsuwon Zen garden, only three hermitages, which are Sik-am, Gyeonseong-am, Yangshin-am had been remaining thanks to restoration and repair until late Joseon Dynasty and preserved as symbolic hermitages. Also, the Yeongji Pond built at the time of Lee Ja Hyeon still remains as precious landscape relics which is meaningful as a genuine Goryeo-period pond. The nine pine trees said to be planted by Lee Ja Hyeon remained until middle 1800s through their descendant trees. When the Buddhist monk Bowoo Daesa(1509~1565) changed the name to Cheongpyeongsa Temple in middle Joseon based on the Munsuwon Zen garden built by Lee Ja Hyeon and greatly expanded it, he newly built and expanded all buildings inside the temple except for Neunginjeon(main temple building), resulting in the present temple structure. In addition, by greatly enhancing the level of scenery by reconstructing Yeongji Pond outside the temple area and transplanting garden plants from the royal court, he made Cheongpyeongsa Temple the most prosperous Zen garden in its history. But after the mid-1800s, which is late Joseon period, Cheongpyeongsa Temple failed to thrive further and began to decline, and so currently most buildings of the Zen garden have disappeared except for some parts of the temple and other facilities are neglec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