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솔나방(Dendrolimus spectabilis) 난소의 미세구조 II. 난황막 및 난각형성과정

        김지현,김정상,김우갑,Kim, Ji-Hyun,Kim, Jeong-Sang,Kim, Woo-Kap 한국현미경학회 1994 Applied microscopy Vol.24 No.4

        The developing ovarian oocyte of Dendrolimus spectabilis has been studied by using electron microscopical techniques. After yolk formation the vitelline membrane was laid down in the intercellular space between the follicle cell and the oocyte. But before the vitelline membrane formation the granules with high electron density that the vitelline membrane precusor are observed in the follicle cell. At the late vitellogenesis stage these granules were transported into the intercellular space between the follicle cells and the oocyte. These granules fuse to each other and larger bodies which eventually produce the vitelline membrane. The vitelline membrane was distinguished into the light inner and dark outer membrane. Next the chorion was laid down. It was apparent that the chorion was laid down in the intercellular spac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vitelline membrane, and that it was formed by the follicle cells only.

      •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난자형성 단계에 따른 난황막 구조와 단백질 성분의 변화

        이주영,이양림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2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3 No.-

        참개구리의 난자형성 단계에 따른 난황막의 구조적 변화와 막단백질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난자형성에 따른 난황막의 기능적 분화의 기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난황막의 구조적 변화는 난자형성에 따른 미세융모의 수와 모양의 변화로 확인되었다. 그 수가 초기에는 적으나 중기에 증가하고 말기에 다시 감소하며, 그 모양도 처음에는 길고 가늘지만, 나중에는 짧고 굵어진다. 막단백질은 wheat germ agglutinin에 대해서만 특이하게 반응을 보이는 당단백질로서 작은 난모세포(직경 100-800 ㎛)와 큰 난모세포(직경 1800㎛)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분자량은 106KD,60KD,34KD과같이 어느 단계에서나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단백질이 존재하는 반면에 특히 작은 난모세포의 난황막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130KD,125KD,90KD,28KD, 26KD과 같은 단계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막단백질도있다. 이와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난황막단백질은 난자형성단계에 따라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Vitelline envelopes of Rana nigromaculata were studied with respect to the changes in struc-ture and membrane proteins in order to see a possibility of fu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envelopes during oogenesis.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envelopes were confimed by observ-ing variation of the number and shape of microvilli. The number of microvilli is relatively constant at the early stage, but increases at the intermediate and decreases at the late stages. Compositional changes of the vitelline envelopes were confimed by the difference of glycoproteins of the vitelline envelopes between the small(100-800㎛ in diameter) and the large oocytes(1800 ㎛ in diameter). Whereas proteins such as 106KD,60KD,34KD exist at both staes, proteins of 130KD,125KD,90KD,28KDand 26KD are specific to the small size class. The observation suggests that the vitelline envelopes functionally differentiate during oogenesis.

      • 참개구리(Rana nigromaculata) 난자형성 단계에 따른 난황막 구조와 단백질 성분의 변화

        이주영,이양림 한국통합생물학회 1992 동물학회지 Vol.35 No.2

        참개구리의 난자형성 단계에 따른 난황막의 구조적 변화와 막단백질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난자형성에 따른 난탈막의 기능적 분화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T:다. 난황막의 구조적 변화는 난자형성에 따른 미세음모의 수와 모양의 변화로 확인되었다. 그 수가 초기에는 적으나 중기에 증가하고 알기에 다시 감소하며, 그 모양도 처음에는 킬고 가늘지만, 나중에는 짧고 굵어진다. 막단백질은 wheat germ agglutinin에 대해서만 특이하게 반응을 보이는 당단백질로서 작은 난모세포(직경 100-800 urn)와 큰 난모세포(직경 1500 urn)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분자량은 106 KD, 60 KD, 순 KD과 같이 어느 단계에서나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단백질이 존재하는 반면에 특히 작은 난모세포의 난황막에서만 찾아 볼 수 있는 130 KD, 125 KD, 90 KD, 28 KD, 26KD과 같은 단겐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막단백질도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난황막 단백질은 난자형성단계에 따라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