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김제산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의 난소 성숙과 인공산란 및 산란빈도

        정의영,허영백,곽오열,최기호,Chung, Ee-Yung,Hur, Young-Baek,Kwak, Oh-Yeol,Choi, Ki-Ho 한국패류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9 No.2

        2001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라북도 김제시 심포 앞바다에서 각장 18.6-52.7 mm 의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 를 대상으로 자원증식 및 적정 관리를 위해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생식소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와 군성숙도를 조사하였고 인공산란 유도에 의해 산란량과 산란빈도를 조사하였다.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가무락조개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2-4월), 후기활성기 (3-6월), 완숙기 (5-8월), 부분산란기 (7-9월), 퇴화 및 비활성기 (9-2월) 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7월부터 산란하기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 일어났고 산란성기는 7-8월이었다. 각장 25.1-30.0 mm인 암컷 개체들의 군성숙도는 64.3%이었고, 각장 40.1 mm이상인 개체들의 군성숙도는 100%이었다. 인공산란 유도에 의해 각 개체들로부터 방란된 난수는 개체들의 각장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되었다. 2차 산란유도에 의해 방란된 평균 난수는 1차 산란수의 평균 76.87%이었다. 가무락조개의 각 산란 간격은 대략 15-17일 (평균 16.5) 이었고, 한 산란기 중 2회 이상의 산란이 일어날 것으로 추정되었다. Reproductive cycle with the ovarian developmental phases, first sexual maturity of the female venus clam, Cyclina sinensis, was investigated by a histological study, and the number of spawned eggs and spawning frequency by artificial spawning induction of the clams were estimate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zone of Simpo, Gimje city, Korea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01.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February to April), late active (March to June), ripe (May to August), spent (July to September), and spent and inactive (September to February). The spawning period was once a year between July and August, a spawning peak was seen in July and August. Percentages of first sexual maturity of female clams of 25.1-30.0 mm in shell length were 64.3%, and 100% for the clams > 40.1 mm. The number of the eggs released from each clam by spawning induction increased as the size of clam in terms of shell length increased. The mean number of the eggs released from the second induction of spawning was 76.87% of the number of the eggs released in the first spawning. Our data indicated that the interval of each spawning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15-17 (average 16.5) days.

      • SCOPUSKCI등재

        Comparative study on reproductive effort and spawning frequency of the two palaemonid prawns (Exopalaemon modestus and Palaemon grarieri) with different habitats

        Oh Chul-Woong,Park Kyung-Yang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 2000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3 No.3

        Reproductive effort and spawning frequency of the two palaemonid prawns, Exopalaemon modestus and Palaemon gravieri, were investigated. In both embryos of the two species, egg size was larger in E. modestus than in P. gravien but for a given size, number of eggs (EN) was fewer in E. modestus. The statistical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 size and EN between the two species. E. modestus living in freshwater environments had larger and fewer offspring than P. gravieri inhabiting marine environments.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predictions from r- and K-selections models. Reproductive effort (RE) also was higher in E. modestus, suggesting the possibility for E. modestus to invest larger amount of energy per individual offspring. In the two prawns the ovarian dry weight of females with eyed egg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non-eyed eggs. This indicates that the ovarian maturation occurs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two embryonic stages, suggesting females being potentially of continuous breeding within a single reproductive period. In the both species brood loss did not occur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 KCI등재후보

        한국 서해산 병어, Pampus argenteus의 번식생태

        정의영,배주승,강희웅,이황복,이기영 한국발생생물학회 2008 발생과 생식 Vol.12 No.2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 서해안 영광 낙월면 주변해역에서 안강망으로 채집한 병어, Pampus argenteus를 대상으로 조직학적 조사 및 형태측정에 의해 번식생태를 조사하였다. 병어는 자웅이체이며, 난소는 한 쌍의 낭상구조를 하고 있으며, 수많은 난소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소는 엽상구조를 하고 있으며, 수많은 정소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암 ․ 수 개체들의 생식소중량지수(GSI), 간중량지수(HSI), 비만도지수(CF) 값들의 월별 변화는 2월(초기성장기)부터 8월(회복기 시작)까지는 생식소 발달단계와 아주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변하였다. 이들 지수값의 변화로부터 암컷과 수컷 개체들의 방란, 방정은 5월부터 7월까지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병어의 생식주기는 암컷의 경우, 초기성장기(2-3월), 후기성장기(3-4월), 성숙기(3-7월), 완숙 및 산란기(5-7월), 회복 및 휴지기(7-2월)로 구분되었다. 수컷의 경우는 성장기(2-4월), 성숙기(3-6월), 완숙 및 방정기(5-7월), 회복 및 휴지기(7-2월)로 구분되었다. 월별 난경조성 빈도분포 변화로 보아 병어의 산란빈도수는 한 산란기 중 한개체가 적어도 2회 또는 그 이상 산란하는 다회산란종으로 추정되는 춘하계산란종이다. 체장당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체장이 커짐에 따라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대포란수(cm 당)의 총 난수도 체장이 커짐에 따라 상대포란수(cm 당)의 총 난수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체중당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체중이 증가됨에 따라 절대포란수의 총 난수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체중당 상대포란수(g 당)의 총 난수는 체중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되나, 일정 체중 이상으로 커지면, 오히려 체중 증가에 따라 상대포란수의 총 난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군성숙도 50%에 해당하는 체장은 12.1-15.0 cm(만 1세 이상에 해당)이었고, 군성숙도 100%에 해당되는 체장은 18.1-21.0 cm(만 3세에 해당)이었다. 따라서 병어는 만 1세 이상이 되면 전체 개체의 50%가 성숙에 도달하여 재생산(산란)에 가담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